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조약편승과 실질과세원칙

Treaty Shopping and Korean GAAR

조세학술논집
약어 : -
2015 vol.31, no.1, pp.227 - 271
DOI : 10.17324/ifakjl.31.1.201502.007
발행기관 : 한국국제조세협회
연구분야 : 법학
Copyright © 한국국제조세협회
265 회 열람

이 글은 우리나라의 실질과세원칙과 같은 일반적 남용방지규정(GAAR)에 관한 국제적 논의동향을 검토하여 조약편승을 비롯한 조세회피행위에 대한 GAAR의 적용 범위를 비교법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역사적으로 조약편승을 비롯한 조세회피행위의 방지 노력은 국내법과 조세조약의 이분적 구조로 논의가 전개되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OECD를 비롯한 각국의 입법과 판례가 국내법상 GAAR을 조세조약의 해석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보면서 이와 같은 이분법은 그 의미를 대부분 상실하였다. 이에 따라 수익적소유자 같이 조세조약상 남용방지 규정으로 인정되던 각종 개념들이 그 독자적 의미를 상실하고 조약남용 방지의 역할을 국내법상 GAAR에 내어주게 되었다. 각국의 국내법상 GAAR 규정은 그 나라의 사법전통에 따라 다양한 궤적을 밟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오늘날 각국에서 GAAR 적용대상이 되는 남용적 조세회피행위의 범위와 방식 또한 나라마다 상이하다. 하지만 큰 흐름에서 볼 때 목적론적 해석의 경향이 뚜렷하다. 조약의 남용에 대한 OECD의 태도변화와 BEPS로 상징되는 국제적 노력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OECD의 태도변화와 각국의 GAAR 도입에 영향을 받아 도입된 국세기본법 제14조 제3항은 실질과세원칙에 대한 법원의 엄격해석의 전통을 입법적으로 극복하고자 한 것으로서 국제적 논의흐름을 반영한 적절한 조치로 평가할 수 있다. 2012년 간주취득세 전합 판결은 신설 규정의 적용과는 무관하게 법원의 전통적 입장에서 벗어나 실질과세원칙의 적용범위를 조세회피행위의 부인으로 넓힌 것으로서 그 역사적 의의가 크다. 신설 규정이나 전합 판결은 세계 각국의 GAAR 논의의 흐름과 조화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으나, 조세법령의 예측가능성을 확보하고 과세당국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요건이나 논리구조를 더 다듬을 필요가 있다. 향후 법원과 입법부의 노력이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scope of the application of the Korean general anti-avoidance rule(GAAR) such as actual assessment rule in a fashion of the comparative law.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Historically the efforts for the prevention of the tax avoidance such as the treaty shopping have been performed at the level of domestic laws and tax treaties separately. Recently, however, such dichotomy has come to an end since most leading OECD countries took the view that the domestic GAAR might be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tax treaty provisions. Accordingly anti-abuse provisions under the tax treaties such as beneficial owner and limitation on benefits lost its independent roles and turned over its role for the prevention of the tax avoidance to the domestic GAARs. Each GAAR of OECD leading countries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a variety of historical paths reflecting its own judicial tradition. As a result, the scope of the abusive tax avoidance to which the GAAR is relevant looks quite different country-by-country. Seeing in the whole picture, however, it looks clear that the purposive approach rather than the literal approach is now getting strong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tax law provisions in a global sense. It is anticipated that such trend would keep going for a time-being largely due to the adamant counteractions of OECD and G20, including, inter alia, the introduction of the anti-abuse provisions in the Commentaries on the OECD Model Convention and BEPS Project(Action Plan 6). The Korean GAAR provision, Article 14-③ of the Framework Act of National Taxes, was newly introduced in 2007 in order to overcome the traditional literal approach of the Korean Supreme Court by reflecting such changed position of OECD and other leading OECD countries in a timely manner. Thus the new legislation was proper and consistent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Also the landmark Supreme Court decision(2008du8499 en banc) in 2011 would be affirmatively evaluated since it expanded the scope of th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judicial GAAR, i.e. actual assessment rule, for the prevention of the tax avoidance behaviors even before the enforcement of the new legislation. Notwithstanding the noticeable merits of both the new legislation and the landmark decision, it still needs to sharpen the details of the requirement for the application of Korean GAAR judicially and legislatively in order to secure the predictability and prevent the abuse of GAAR by tax authorities. It’s expected that both Korean courts and legislature would do their best efforts to that end.

조약편승, 실질과세 원칙, 일반적 남용방지규정, 경제적 실질원칙, 조세회피
treaty shopping, tax avoidance, substance over form doctrine, economic substance doctrine, GAAR

  • 1. [단행본] 강인애 / 1989 / 조세법Ⅱ / 조세통람사
  • 2. [단행본] 이창희 / 2014 / 세법강의 / 박영사
  • 3. [단행본] 이창희 / 2015 / 국제조세법 / 박영사
  • 4. [학술지] 강석규 / 2012 / 간주취득세와 실질과세의 원칙 / 대법원 판례해설 (94)
  • 5. [학술지] 김석환 / 2013 / 조세조약상 수익적소유자와 국내세법상 실질귀속자와의 관계 / 조세학술논집 / 29 (1) : 177 ~ 1 kci
  • 6. [학술지] 김의석 / 2012 / 실질과세원칙의 적용에 관한 접근방식 / 조세법연구 / 18 (2) : 7 ~ 2 kci
  • 7. [학술지] 오윤 / 2010 / Beneficial Ownership 개념과 실질과세원칙의 관계 / 조세법연구 / 16 (1) : 346 ~ 1 kci
  • 8. [단행본] 윤병각 / 1992 / 경사 이회창선생 화갑기념논문집 / 법과 정의
  • 9. [학술지] 윤지현 / 2006 / 국제조세조정에관한법률 제2조의 2 제3항의 해석에 관한 일고찰 / 조세법연구 / 12 (2) : 245 ~ 2 kci
  • 10. [학술지] 윤지현 / 2013 / 수익적 소유자(beneficial owner) 개념의 해석: 최근 국내외의 동향과 우리나라의 해석론 / 사법 / 1 (25) : 99 ~ 25 kci
  • 11. [학술지] 윤지현 / 2007 / 實質課稅의 原則과 假裝行爲에 관한 考察 / 중앙법학 / 9 (2) : 852 ~ 2 kci
  • 12. [학술지] 이동식 / 2000 / 조세회피행위방지를 위한 별도입법의 필요성 / 공법연구 / 28-4 ( )
  • 13. [학술대회] 이의영 / 2013 / 조세조약에서 수익적 소유자의 해석, 국제조세의 주요 쟁점과 과제 / 제3회 법원․조세커뮤니티 한국세법학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 14. [학술지] 이창희 / 2013 / 머리말 / BFL (57)
  • 15. [학술지] 이회창 / 1993 / 조세법률주의(그 권리보장적 기능과 관련하여) / 재판자료 (60)
  • 16. [학술지] 정승영 / 2012 / 일본에서의 실질과세원칙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 / 조세와 법 / 5 (2)
  • 17. [학술지] 정승영 / 2013 / 실질과세의 원칙과 ‘실질’ 판단에 대한 고찰 / 조세법연구 / 19 (1) : 9 ~ 1 kci
  • 18. [학술지] 정재희 / 2013 / 조세회피행위규제의 법적용단계별 고찰(국세기본법 제14조 제3항을 중심으로) / 사법논집 / 57
  • 19. [단행본] 金子宏 / 2014 / 租稅法 / 弘文堂
  • 20. [학술지] 增田英敏 / 2013 / 借用槪念としての住所の認定と贈與稅回避の意圖 / Jurist (1454,)
  • 21. [단행본] Becker, Helmut / 1988 / Treaty Shopping: An Emerging Tax Issue and its Present Status in Various Countries / Kluwer
  • 22. [단행본] William Innes / 2006 / The Essential GAAR Manual: Policies, Principles and Procedures / CCH
  • 23. [보고서] OECD / 1992 / Reports on Double Taxation and the Use of Base Companies & Double Taxation and the Use of Conduit Companies
  • 24. [학술지] OECD / 2014 / BEPS Action 6 : Preventing The Granting of Treaty benefits in Inappropriate Circumstances / Public Discussion Draft / 14
  • 25. [기타] HMRC / 2013 / GAAR Guidance
  • 26. [단행본] Avery Johns / 2008 / Comparative Perspectives on Revenue Law(Essays in Honour of John Tiley)
  • 27. [기타] K. Kooiman / 1983 / Art. 16: The U.S. Attitude to Treaty Shopping / IBFD
  • 28. [학술지] Michael Lang / 2008 / Source versus Residence: Problems Arising from the Allocation of Taxing Rights in Tax Treaty Law and Possible Alternatives / Kluwer
  • 29. [학술지] Larking, B. / 2001 / International Tax Glossary / IBFD
  • 30. [학술지] Brian Arnold / 2001 / Reflec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utory Interpretation and Tax Avoidance / Canadian Tax J / 49 (1)
  • 31. [학술지] Brian Arnold / 2006 / Policy Forum : Confusion Worse Confounded-The Supreme Court's GAAR Decisions / Can. Tax. J / 54 (167)
  • 32. [학술지] Jerome B. Libin / 2010 / Congress Should Address Tax Avoidance Head-on : The IRC Needs a GAAR / Va. Tax Rev / 30 (339) : 339
  • 33. [학술지] Genevieve Loutinsky / 2012 / Deterring Tax Abuse though GAAR / Hous. Bus. & Tax L. J / 12 (82)
  • 34. [학술지] Orly Sulami / 2012 / Tax Abuse-Lessons from Abroad / SMU L. Rew / 65 (551)
  • 35. [학술지] 윤지현 / 2013 / A Giant Leap for Fairer Tax or Blind Compromise with Public Opinion? – A Review on the New Case Law on “Substance-over-Form” by the Supreme Court of Korea / Journal of Korean Law / 13 (1) : 139 ~ 1 k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