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4.3 교육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연구: 제주도내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cognition About the 4.3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ju Province

국가정책연구
약어 : -
2008 vol.22, no.2, pp.153 - 183
DOI : 10.17327/ippa.2008.22.2.005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연구분야 : 정책학
Copyright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78 회 열람

이 연구의 목적은 4.3은 널리 교육되어져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즉 제주도내 학생들에게 4.3교육은 필요하며, 이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보다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제주도내 10개 고등학교의 376명의 학생을 설문조사하여 SPSS 12.0으로 카이자승 검증한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4.3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둘째, 소득, 성별, 4.3피해여부는 4.3교육으로 인한 장래영향, 갈등해소영향, 의식형성영향, 4.3행사영향과 관계없으며, 셋째, 4.3 교육을 받거나 4.3을 잘 알고 있는 학생일수록 장래영향과 4.3행사영향에 긍정적이며, 넷째, 4.3교육을 필요로 하는 학생일수록 장래영향, 의식영향, 4.3행사영향에 긍정적일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4.3교육의 부재는 당시 상황에 대해 의심만을 키울 수 있기에, 4.3 교육을 통하여 밝힘과 반성을 하면서 제주를 평화의 지역으로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About 6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4.3, but the 4.3 has not yet educated. Should we keep away indeed from the 4.3? This study finds the influence on the 4.3 educatio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ny students are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the 4.3 education. Second, there is the independent in the income interval(the sex, the 4.3 damage) with the future influence from the 4.3 education.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independent in the making their’s consciousness, attending 4.3 event and the settling an dispute. Third, the more the 4.3 education they receive(and they know well), the more they have affirmative tendency at influencing their’s future and attending 4.3 event. Fourth, the more the 4.3 education they need, the more they have positive tendency at influencing their’s future, making their’s consciousness, and attending 4.3 event after the 4.3 education. Therefore, we should learn the method to live in harmony, to guarantee human rights through the 4.3 education. So, we should make Cheju Island into the area of the peace.

4.3, 제주4.3교육, 인권, 평화의 섬
4.3, 4.3 education, human rights, Island of Peace

  • 1. [학위논문] 강성현 / 2002 / 제주 4·3 학살사건의 사회학적 연구
  • 2. [학위논문] 고성만 / 2005 / 제주4.3 담론의 형성과 정치적 작용
  • 3. [기타] 고창훈 / 1991 / 제주민중항쟁 논의의 현단계(좌담) in 제주항쟁 : 10 ~
  • 4. [단행본] 고창훈 / 1989 / 4.3민중항쟁의 전개와 성격 in 해방전후사의 인식 4 / 한길사 : 243 ~
  • 5. [단행본] 김동춘 / 2000 / 근대의 그늘-한국의 근대성과 민족주의 / 당대 : 20
  • 6. [단행본] 김봉현 / 1963 / 제주도 인민들의 4.3무장투쟁사 / 문우사
  • 7. [단행본] 김봉현 / 1988 / 제주도 인민들의 4.3무장투쟁 in 제주민중항쟁1 / 소나무 : 199 ~
  • 8. [기타] 김점곤 / 1973 / 한국전쟁과 노동략 전략 서울: 박영사.; 김점곤. (1991). 제주민중항쟁Ⅰ. 한국전쟁과 노동략 전략. 서울: 소나무. 301-322
  • 9. [기타] 김종민 / 1999 / 4.3이후 50년 in 제주4.3연구 : 338 ~
  • 10. [단행본] 노형진 / 2005 /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 형설출판사
  • 11. [학위논문] 박명림 / 1988 / 제주도 4.3민중항쟁에 관한 연구
  • 12. [단행본] 박세길 / 1992 / 다시쓰는 한국현대사 / 돌배게 : 148 ~
  • 13. [학위논문] 장윤식 / 2005 / 제주4·3사건 초기 ‘무장대’의 조직과 활동; 제주도인민유격대 투쟁보고서의 분석
  • 14. [단행본] 전영길 / 1995 / 현상학적 학문과 생활 / 한국문화사 : 7 ~
  • 15. [기타] 정근식 / 2003 / 집단적 기억의 복원과 재현 in 4.3과 역사 : 146 ~
  • 16. [단행본] 정대연 / 1997 / 사회과학방법 사전 / 백의 : 840 ~
  • 17. [단행본] 제민일보4.3취재반 / 1998 / 4.3은 말한다 / 전예원
  • 18. [보고서] 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 2003 /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 536 ~
  • 19. [학위논문] 양봉철 / 2002 / 제주경찰의 성격과 활동 연구 - 제주4.3을 중심으로
  • 20. [학위논문] 양정심 / 1994 / 제주4.3항쟁에 관한 연구-남로당제주도위원회를 중심으로
  • 21. [학위논문] 양정심 / 2005 / 제주4.3항쟁 연구
  • 22. [학술지] 양한권 / 1988 / 제주도4.3폭동의 배경에 관한 연구 in 제주도연구 / 서울대정치학과 석사논문 / 5
  • 23. [단행본] 역사문제연구소 / 1999 / 제주4.3연구 / 역사비평사
  • 24. [단행본] 윤명로 / 2006 / 현상학과 유식론 / 시와진실 : 211 ~
  • 25. [학위논문] 이정주 / 1998 / 제주호미마을 여성들의 생애사에 대한 여성학적 고찰-4.3경험을 중심으로
  • 26. [학위논문] 허호준 / 2002 / 제주4.3의 전개과정과 미군정의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5.10선거를 중심으로
  • 27. [학위논문] 현석이 / 2005 / 도제 실시를 통해 본 제주4.3의 정치, 사회적 배경
  • 28. [기타] 제주의 소리 / 2007 / 과거사와 교육. 제주4.3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
  • 29. [기타] 제주4ㆍ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위원회 / 2000 / 위원장(국무총리)의 인사말
  • 30. [기타] Hq. USAFIK / 2006 / G-2 P.R.(1947.11.22, 24., 25); 고창훈. (2006). 4.3 민중항쟁의전개와 성격. 해방전후사의 인식4. 서울: 한길사. 264
  • 31. [기타] John Merril / 1975 / The Chejudo Rebellion. 하버드대 석사학위논문; JohnMerril. (1988). The Chejudo Rebellion. 제주민중항쟁 1. 서울: 소나무. 99-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