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민간공항주변 항공기소음 관리를 위한 공간계획적 접근

Spatial Planning Approach to Noise Mitigation for Areas Adjacent to Civil Airports

환경정책연구
약어 : -
2010 vol.9, no.2, pp.83 - 109
DOI : 10.17330/joep.9.2.201006.83
발행기관 : 한국환경연구원
연구분야 : 정책학
Copyright © 한국환경연구원
182 회 열람

본 논문은 주민 불편과 민원, 소음관련 소송, 이에 따른 정부의 막대한 재정적 부담 등 도시화 및 국민소득의 향상에 따라 악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민간공항주변 소음지역 내 제반 문제에 대한 항구적 대응책으로서 공간계획적 접근방안을 제안하였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정부는 민간공항주변 소음지역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하여 행위제한을 근간으로 하는 소음지역 관리방안과 피해주민에 대한 개별적 보상 위주의 소음대책사업을 전개해왔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소음대책 방안은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개발압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소음지역 내 공항 및 소음친화적 적정 기능 및 시설을 유도·입지시키는 데 그 한계를 보여 소음대책지역이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또한 임시방편적 성격의 소음대책사업에 대한 주민만족도 저조로 소음과 관련된 민원 및 소송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따라서 미국과 영국의 공항주변 소음지역 관리사례를 바탕으로 소음대책사업의 다양화와 섹터개념을 도입한 공간계획적 관리체계의 도입, 이를 위한 공공기관의 긴밀한 협력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국내 민간공항주변 소음지역관리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spatial planning approach to effectively deal with airport noise problems in neighborhoods adjacent to civil airports. Rapid urbanization around the airports, as well as growing concerns on quality-of-life, resulted in ever-growing airport noise complaints, lawsuit, and central government's financial burden. S. Korea government adopted a restriction- and compensation-based airport noise management policy against the problems in mid 1990s. It, however, turns out to be ineffective in guiding incompatible land uses and facilities away from the airports' environs and to encourage compatible ones to locate around the airports. Base on the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s airport noise management practic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new spatial planning approach that emphasizes the following: 1) diversification of current airport noise mitigation programs, 2) introduction of "sector"-based, spatial management system, and 3) central government's close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ies.

민간공항, 소음피해, 공간계획, 소음피해대책, 적정 기능 및 시설
Airport Noise, Spatial Planning, Noise Mitigation, Land Use Compatibility

  • 1. [기타] 국토해양부 / 2007 / 공항소음피해지역 주민지원에 관한 법령재정 방안 연구
  • 2. [학술지] 김영우 / 1999 / 국내 항공기 소음 실태와 대책 / 서울대학학회지 / 4 : 4 ~
  • 3. [학술대회] 박진규 / 2006 / 항공기 소음이 공항 주변의 주민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6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442 ~
  • 4. [학술지] 승서일 / 1996 / 김포국제공항주변 항공기 소음 분포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논문집 / 6 : 22 ~
  • 5. [학술지] 이기정 / 2007 / 항공기 소음 성가심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관한 연구 / 대한환경공학회지 / 29 (3) : 341 ~ 3 kci
  • 6. [학술지] 손진희 / 2007 / 항공기 소음 성가심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관한 연구(II)- 김포공항 주변 거주민을 대상으로 - / 대한환경공학회지 / 29 (12) : 1366 ~ 12 kci
  • 7. [학술지] 이연수 / 2001 / 김포공항주변 양천∙강서 지역의 항공기 소음특성에 관한 연구 / 대한환경공학회지 / 24 (1) : 162 ~ 1
  • 8. [학술지] 장재희 / 2004 / 항공기 소음과 부동산 가치 변화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20 (9) : 289 ~ 9 kci
  • 9. [학술지] 조승서 / 1992 / 국내 공항주변 항공기소음방지대책연구 / 기계저널 / 5 (2) : 6 ~ 2
  • 10. [기타] 한국공항공사 / 2008 / 공항별통계
  • 11. [기타] 한국공항공사 / 2008 / 공항시설현황
  • 12. [보고서] 한국공항공사 / 2008 / 김포공항 항공기 소음평가용역 보고서
  • 13. [기타] 한국공항공사 / 2008 / 소음대책사업 현황
  • 14. [학술지] Basner, M. / 2006 / Aircraft noise effects on sleep: application of the result of a large polysomnographic field study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 119 (5) : 2772 ~ 5
  • 15. [기타] Department for Transport, U.K / 2003 / The Future of Air Transport White Paper
  • 16. [학술지] Eriksson, C. / 2007 / Aircraft Noise and Incidence of Hypertension / Epidemiology / 18 (6) : 716 ~ 6
  • 17. [기타] / FAA. Federal Aviation Regulations, Part 150, Airport Noise Compatibility Planning
  • 18. [기타]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 1999 / Land Use Compatibility and Airports: a Guide for Effective Land Use Planning
  • 19. [학술지] Fidell, S. / 1991 / Updating a dosage‐effect relationship for the prevalence of annoyance due to general transportation nois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 89 (1) : 221 ~ 1
  • 20. [학술지] Fidell, S. / 1995 / Field study of noise‐induced sleep disturbanc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 98 (2) : 1025 ~ 2
  • 21. [기타] Hartsfield‐Jackson Atlanta Airport / 2007 / FAR PART 150 Study
  • 22. [기타] ICAO / 1985 / Airport Planning Manual Part 2 (Doc 9184) ‐ Land Use and Environmental Control
  • 23. [기타] Manchester Airport / 2007 / Environment Plan: Part of the Manchester Airport Master Plan to 2030
  • 24. [학술지] Passchier‐Vermeer, W. / 2000 / Noise exposure and public health /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 108 (1) : 123 ~ 1
  • 25. [학술지] Schultz, T. / 1978 / of social surveys on noise annoyanc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 64 (2) : 377 ~ 2
  • 26. [인터넷자료] / 미국 댈러스 러브필드 국제공항(Dallas Lovefield Airport)
  • 27. [인터넷자료] / 미국 애틀란타 국제공항(H. J. Atlanta International Airport)
  • 28. [인터넷자료] / 미국 연방 항공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 29. [인터넷자료] / 영국 교통부(Department for Transport)
  • 30. [인터넷자료] / 영국 맨체스터 국제공항(Manchester Airport)
  • 31. [인터넷자료] / 영국 환경식품농촌부(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