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habitat of Mankyua chejuense(Ophioglssaceae), endangered plant in Korea

멸종위기 식물 제주고사리삼의 입지와 식생구조의 특징에 대한 연구

  • Lee, Kyoung-Mi (Graduate School Dept. of Biolog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Shin, Jeong-Hoon (Graduate School Dept. of Biolog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eong, Heon-Mo (Graduate School Dept. of Biolog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Hae-Ran (Graduate School Dept. of Biolog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Jeong-Ho (Graduate School Dept. of Biolog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Shin, Dong-Hun (Graduate School Dept. of Biolog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You, Young-Han
  • Received : 2011.11.25
  • Accepted : 2012.01.26
  • Published : 2012.02.28

Abstract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habitat trai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M. chejuense(Ophioglssaceae), endangered plant in Korea, we set 12 permanent quadrats in Jocheon-Sunhyul Gotzawal Wetland Region of Jeju Island, and surveyed the temporal pools, vegetation structure and counted the population size of the endemic rare plant. M. chejuense distributed in the vernal pools with a variety of shape, area of 150-$400m^2$, depth of 0.4-2.0m and slope of 3-$10^{\circ}$, at altitude of 88-165m in lowland area in Gotjawal Wetland Region, Jeju Island. The soil has a thin layer and high water content all the seasons. The population appeared with a density range of 1-423/pool in the boundary area of the wetlands under higher tree coverages(80-100%) in the deciduous forest communities. Vegetation wsa classified into five plant communities such as Ulmus parvifolia community, Cudrania tricuspidata community, Rosa multiflora community, Ardisia japonica community, Ophiopogon japonicus community. These results means that M. chejuense potentially has a shortage to evergreen plant succession, litter accumulation and water drainage, thus it is need to sustainable wetland environmental condition in the deciduous forest community for its sounded conservation.

멸종위기식물이고, 한국 특산속 식물인 제주고사리삼의 생육 환경과, 식물사회학적 군락조사를 통해 그 분포 입지와 생태적 특성을 밝히고자 제주도의 조천-선흘 곶자왈 습지대에서 12개의 영구 방형구를 설치하고 분포입지, 식생 종조성, 식피율, 습지의 면적, 깊이와 경사도, 개체군 밀도를 조사하였다. 제주고사리삼 자생지의 입지환경은 물이 고였다가 마르는 독립된 소택지로 여러 가지 모양을 가지며 습지면적은 150-$400m^2$로 좁았고, 해발고도는 88-165m, 깊이는 0.4-2.0m, 경사는 3-$10^{\circ}$로 완만하였다. 토양은 수분을 항시 보유하고 있었다. 제주고사리삼은 소택지내에서 수관이 밀폐된 가장자리에 주로 군생하며, 개체수는 1-423개로 자생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식물군락은 참느릅나무군락, 꾸지뽕나무군락, 찔레꽃군락, 소엽맥문동군락(이상 목본성), 자금우군락(초본성)의 5개로 구분되었고, 식피율은 80-100%로 매우 높았다. 이상으로 볼 때 제주고사리삼은 지속적인 수분공급과 어느 정도의 광이, 특히 낙엽수의 휴면기 때, 유입되는 환경에서만 살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식물체의 크기가 5cm 이내로 작아 낙엽의 퇴적과 같은 작은 환경변화로도 생육에 큰 지장이 있을 정도로 예민한 종이고, 장기적으로는 상록활엽수로의 천이가 진행될 경우 그 생육지는 더욱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광규, 김광임, 고태호, 맹준호, 박정규, 이병국, 정회성, 노백호, 안소은, 이관규, 이창훈, 최진석, 추장민, 황상일, 황석준. 2005. 제주도환경보전중장기본계획 수립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pp. 6-30.
  2. 국립환경과학원. 2011. 국가장기생태연구사업. pp. 638-648.
  3. 김철수. 2007. 제주도내 멸종위기야생식물의 분포와 식생.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대학원. pp. 132-138.
  4. 문명옥. 2007. 제주도의 양치식물상.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1-115.
  5. 백태규. 2003. 한국산 고사리삼과 식물의 계통학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pp. 39-43.
  6. 소웅영, 김영순. 1993. 고사리삼 지하경의 유관속 분영조직 미세구조. 한국식물학회지. 36(4): 357-362.
  7. 소웅영, 김영순. 1994. 고사리삼 지하경의 유관속 분열조직 미세구조. 전북대학교 기초과학 연구소. 16:555-560.
  8. 송관필. 2007. 한라산 동서사면 상록활엽수림대의 식물상 및 식생. 박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대학원.
  9. 신정훈, 유영한. 2010a 환경요인에 따른 제주고사리삼(Mankyua chejuense)의 생육반응. 제 65회 한국생물과학협회 정기학술대회.
  10. 신정훈, 유영한. 2010b. The Effect of soil and water conditions on growth response of Mankyua chejuense. 2011년 낙동강 연구원 국제 심포지움 및 한국습지학회 정기학술발표 대회.
  11. 신정훈. 2012. 제주고사리삼(고사리삼과) 서식지의 환경특성, 개체군동태와 환경처리에 따른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태학적 반응.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12. 유영한, 이창석. 2003. 제주도 저지대 묵밭 식물군락의 2차 천이. 한국생태학회지. 26(4):209-214.
  13. 유영한, 송민섭, 김해란, 정헌모. 2011. 제주도 상록활엽수림과 아고산식생의 군집구조에 대하여. 한국복원생태학회지. 2(2): 인쇄중.
  14. 이규배, 소웅영. 1995. 고사리삼지하경에서 유한 유관속 형성층의 미세구조 및 조직 화학. 한국식물학회지. 38(2):115-119.
  15. 이상수. 2007. 한국산 양치강식물에 관한 본초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신대학교 대학원. pp. 92-98.
  16. 임은영. 2007. 제주도 동백동산의 선태식물상.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대학원. pp 15-20.
  17. 장형태. 2007. 히어리 개체군의 생태.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18. 정상배, 오홍식, 전형식, 양경식, 김원택. 2010. 제주도 습지의 수서곤충상과 분포 특성. 한국습지학회. 12(2):35-46.
  19. Kim CH. 2004. Conservation Status of the Endemic Fern Mankyua chejuense (Ophioglossaceae) on Cheju Islnad, Republic of Korea. Oryx 38(2): 217-219.
  20. Braun-blane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Wien
  21. Sun BY, Kim MH, Kim CH, Park CW. 2001. Mankyua (Ophioglossaceae): a new fern genus from Cheju Island, Korea. Taxon 50:1019-1024. https://doi.org/10.2307/1224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