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국 대중문화의 혼성적 형성과정과 한류문화 담론

'Korean Wave'(Halyou ) Discourse and the Making Proces of Hybridity

담론201
약어 : -
2007 vol.9, no.4, pp.35 - 74
DOI : 10.17789/discou.2007.9.4.002
발행기관 : 한국사회역사학회
연구분야 : 사회학
Copyright © 한국사회역사학회
281 회 열람

2000년대 초기부터 현재까지 동아시아 여러 곳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한 한국 대중문화 산업 상품들의 역사적 의미를 우리는 어떤 맥락 위에 위치시켜 해석할 수 있을까? 특히 한국에서 나타나고 있는 ‘한류’ 담론은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 안에서 어떤 역사적 의미를 갖게 될 것인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개항기 이후 한국에서 ‘대중문화’라고 할 수 있는 것이 형성되는 초기에서부터 절대적인 자리를 차지했던 해외문화의 유입 현상들을 정리함으로써 한국 대중문화 형성의 역사를 압축적으로 고찰하고, 그 결과 한국 대중한다.이는 대중문화 성립의 전제인 대중사회의 등장과 산업화의 진전, 그리고 그를 포함한 자본주의적 근대화가 한국에서는 어떤 문화적 바탕위에서 이루어졌36 한국 대중문화의 혼성적 형성과정과 한류문화 담론는지를 주목하는 작업이 된다. 즉 한류 대중문화 담론을 낳기까지에 이른 현 단계 한국 대중문화의 내용상 위치를 점검함에 있어서 한국사회의 근대화 과정 자체에 대한 고찰로 잠시나마 다시 회귀해서 그 맥락을 짚음으로써, 그것이 현대 한국의 대중문화 형성에 실질적으로 미친 영향과 작용의 내용들을 다시 검토할 수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발생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중 한국 대중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친 외부문화의 성격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여, 그 실제와 성격이 어떠했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함께,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두고 현재 전개되는 담론은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를 검토함으로써 담론들의 위치를 매길 수 있게 된다.한국 대중문화의 실질적인 발전사를 검토해보면 이는 곧 수입된 해외 대중문화의 절대적 영향력을 받아들이는 역사로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일본의 식민지배를 중심으로 일본의 대중문화가 사실상 한국대중문화를 그 기초적 형태부터 형성시켜왔다고 할 수 있다. 이후 해방이 이루어지고 미국의 대중문화가 더욱 본격적으로 유입되면서도 일본과 중국 문화의 영향은 단절되지 않았으며, 각국간 대중문화 요소의 상호유입 및 시장 통합의 경향은 강화되어왔다. 그러나 후기 근대적 상황에 이른 현재 소비의 전지구화와 문화 콘텐츠의 혼성성 강화에도 불구하고 대중문화의 각국간 영향력 경쟁 담론은 결코 감소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새로운 형태로 재등장하고 있다. 정치경제적 환경의 힘은 애초에 일상성의 상업화를 전제로 출연한 대중문화산업과 문화소비 현상의 기초적 환경으로서 강고하게 존재하며, 매체의 전지구화와 경제의 전지구화가 단일한 형태의 세계문화(Global Culture)가 아닌, 각 지역권과 각 지방의 특성에 맞게 전지구적 요소들이 지역적으로 재구성되고 조합되는 현상을 보여 준다

This article studies the historical context of curent 'Korean Wave' phenomenon. Contemplating the process of Korean mas culture industry from its daunting period, this article tries to analyze influences of 'foreign' cultural industry in the history of Korea's mas culture industry. And folowing short analysis on the 'Korean Wave' discourses is based on this historical context. Korean mass culture had started with the strong influence of Japanese and Western mass culture. It was, therefore, not an exceptional case in the general process of modernization for the Third World countries. Because, as wel known, their modernization process was more or less directed in each country's 'colonialized' condition. In other words, it was a kind of unilateral communication where the dominant cultural power of the World System had a quasi-absolute influence on the weaker part. As the Chinese culture had been highly significant during Korea's middle age, the influence of Western and Japanese mass culture has been also considerable since the beginning of Korea's mass culture industry. Recent success for some part of Korean mass culture products -- known as 'Korean Wave' ('Hallyou' for Korean pronunciation) -- would be probably the first meaningful export of Korean mas culture industry. As the consequence, we can understand the enthusiasm of a part of discourses concerning this success. This discourse of enthusiasm for the 'Korean Wave' can be even more significant when we consider actual context of globalization and aspects of post-modern period. Maybe this Korean case is not exceptional. Competition for the hegemony of cultural industry, and re-territorialization of identity with that, can be a part of understandable reactions from each region, before the strong tendency of today's cultural globalization.

한류, 대중문화, 담론, 역사성, 혼성성, 전지구화
Korean Wave, Mass Culture, Discourse, History, Hybridity, Globalization

  • 1. [학술지] 강명구 / 1993 / 소비대중문화와 포스트모더니즘
  • 2. [학술지] 구문모 / 2000 / 문화산업의 발전 방안
  • 3. [학술지] 구문모 / 2001 / 문화산업과 클러스트정책
  • 4. [학술지] 권오혁 / 2000 / 문지방문화산업 육성방안:화산업지구 조성을 중심으로
  • 5. [학술지] 김광억 / 2004 / 2004 동북아 문화공동체 추진의 비전과 과제
  • 6. [학술지] 김용기 / 한국 대중매체의 사회적 성격
  • 7. [학술지] 김종욱 / 2002 / 실록 한국영화총서 (1903-1945) / 1
  • 8. [학술지] 김창남 / 1984 / 유행가의 성립과정 및 그 성격에 관한 연구 구조분석을 통한 민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9. [학술지] / 2001 / 이야기 한국영화사
  • 10. [학술지] / 2004 / 한국문화산업총람 2004
  • 11. [학술지] / 2005 / 디아스포라의 지식인
  • 12. [학술지] 문화관광부 / 1998 / 문화산업으로 여는 21세기
  • 13. [학술지] 문화관광부 / 1999 / 문화산업 진흥 기본법령
  • 14. [학술지] / 2001 / 문화산업통계
  • 15. [학술지] / 2002 / 문화산업백서 2002
  • 16. [학술지] / 2003 / 문화산업백서 2003
  • 17. [학술지] / 2004 / 문화산업백서 2004
  • 18. [학술지] 백권호 / 2004 / 중국내 한국계 외자 기업의 경영현지화
  • 19. [학술지] 백원담 / 2004 / 동아시아의 문화선택 한류
  • 20. [학술지] / 2001 / 변화하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산업
  • 21. [학술지] / 2004 / 한국사회 이해의 새로운 패러다임
  • 22. [학술지] / 2005 / 동북아 문화공동체의 동아시아 지역 확대를 위한 동남아시아 정치 사회 문화 인프라 연구
  • 23. [학술지] / 2001 / 음안산업 시스템의 지구화와 국지화 한국의 경우
  • 24. [학술지]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 / 2005a / 한류 브랜드자산 측정 및 연관 산업효과 연구보고서
  • 25. [학술지] / 2005b / 한류의 통합적 경제효과 분석 연구보고서
  • 26. [학술지] 안병선 / 2000 / 21c 황금시장 문화산업
  • 27. [학술지] 양영균 / 2004 / 동북아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한국 중국 일본의 대중문화산업에 대한 비교연구
  • 28. [학술지] 양종회 / 2003 / 영국의 문화산업체계
  • 29. [학술지] / 2004 / 미국의 문화산업체계
  • 30. [학술지] 오현리 / 2001 / 중국무협영화 I
  • 31. [학술지] 우실하 / 2004 / 동북공정의 선행 작업들과 중국의 국가 전략
  • 32. [학술지] 유상철 / 2005 / 한류 DNA 의 비밀 - 소프트 파워 소프트 코리아의 현장을 찾아서
  • 33. [학술지] 윤미은 / 2002 / 영화산업의 지리적 집중 및 생산연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 영화제작업체를 사례로
  • 34. [학술지] 이영미 / 1998 / 한국 대중가요사
  • 35. [학술지] 이영효 / 1983 / 민족미술의 행명과 현실 문학과 예술의 실천논리
  • 36. [학술지] 이흥재 / 1998 / 일본 대중문화 유통실태 및 개방에 따른 파급효과
  • 37. [학술지] 임정수 / 2004 / 디지털시대의 미디어 산업 도전과 응전
  • 38. [학술지] / 2004 / 중국은 왜 한류를 수용하나
  • 39. [학술지] 조한혜정 / 2003 / ‘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 40. [학술지] / 2003 / 일본 대중문화 개방 영향분석 및 대응방안
  • 41. [학술지] 최봉현 / 2005 / 영화산업의 경쟁력과 경제적 파급효과
  • 42. [학술지] 최지연 / 1995 / 음반산업에 대한 고찰 한국의 음반산업을 중심으로
  • 43. [학술지] 최진용 / 1994 / 한국 영화정책의 흐름과 새로운 전망
  • 44. [학술지] 한국방송산업연구소 / 2004 / 한국방송산업총람
  • 45. [학술지] 한진만 / 1999 / 21세기에 대비한 방송통신정책
  • 46. [학술지] / 2003 / 한국대중가요사
  • 47. [학술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 2006 / 음악업체 성공창업 및 해외진출 매뉴얼
  • 48. [학술지] / 1995 / 방송산업의 구조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미디어 산업의 연관분석을 중심으로
  • 49. [학술지] 한국방송개발원 / 1995 / 방송산업 관련 기초자료 및 DB구축방안 연구
  • 50. [학술지] / 2004 /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45-1957
  • 51. [학술지] 함한희 / 2005 / 겨울연가와 나비환타지 일본 한류를 만나보다
  • 52. [학술지] / 2000 / 한국영화 100년
  • 53. [학술지] Lee, Leo Ou-fan / 1999 / Shanghai Modern
  • 54. [학술지] Silva, Neluka / 2002 / The Hybrid Island
  • 55. [학술지] / 1995 / Hollywod in the Information Age
  • 56. [학술지] / 2000 / Globalization and Networked Societies: Urban-Regional Change in Pacific Asia
  • 57. [학술지] Zhang, Yingjin / 1999 / Cinema and Urban Culture in Shanghai, 192-1943
  • 58. [학술지] Zukin, Sharon / 1995 / The Cultures of Cities
  • 59. [학술지] / 2003 / 한국문화산업총람 2003
  • 60. [학술지] / 2001 / 우리가 아는 세계의 종언 : 21세기를 위한 사회 과학
  • 61. [학술지] / 2008 / 매일경제신문
  • 62. [학술지] 월러스틴, 이매뉴얼 / 2001 / 우리가 아는 세계의 종언: 21세기를 위한 사회과학
  • 63. [학술지] Canclini, Netor Garcia / 2001 / Consumers and Citizens -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 Conflicts
  • 64. [학술지] Featherstone, Mike / 1990 / Global Culture: Nationalism, Globalism and Modernity
  • 65. [학술지] Mathews, Gordon / 2000 / Global Culture/ Indivudual Identity: Searching for Home in the Cultural Supermarket
  • 66. [학술지] Gershuny, Jonathan / 2000 / Changing Times: Work and Leisure in Postindustrial Society
  • 67. [학술지] Laguerre, Michel S / 2003 / Urban Multiculturalism and Globalization in New York City
  • 68. [학술지] Martinez, D.P.(ed.) / 1998 / The Worlds of Japanese Popular Culture: Gemder. Shifting Boundaries and Global Cultures
  • 69. [학술지] Miller, Mark J./Castles, Stephen / 2003 / The Age of Migration: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dern World(3rd edition)
  • 70. [학술지] 한국문화정책개발원 / 1994 / 일본 대중문화 개방 공개토론회 결과보고서
  • 71. [학술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 2005 / 한.중.일 문화콘텐츠 산업 경쟁력 비교분석
  • 72. [학술지] 곽대영,박광철 / 2000 / 문화산업으로서의 캐릭터 상품의 활성화에 대한 연구 / 미술교육논총 (10) : 275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