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사회학 이론의 부분적 적합성과 그 통합 시도

The Partial Relevance of the Sociological Theory and an Attempt for the Integration of the Sociological Theory

담론201
약어 : -
2011 vol.14, no.4, pp.137 - 159
DOI : 10.17789/discou.2011.14.4.005
발행기관 : 한국사회역사학회
연구분야 : 사회학
Copyright © 한국사회역사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186 회 열람

사회학 이론의 중요한 과제 가운데 하나는 사회의 영향에 의한 개인의 행위,사회의 영향에 대한 개인의 반응을 설명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회학 이론가들은 사회의 영향을 “도덕적인 것”이나 “비도덕적인 것” 어느 하나만을 사회의영향으로 설명하여 왔고, 사회의 영향에 대한 개인의 반응을 “비판․창조의 동기”이나 “일탈․충동의 동기” 어느 하나만을 사회의 영향에 대한 개인의 반응으로 설명하여 왔다. 이 논문에서는 사회의 영향을 도덕적인 것만으로 다루는 사회학 이론을 사회규범론으로, 비도덕적인 것만으로 다루는 사회학 이론을 사회 압력론으로 구분을시도하였다. 그리고 이 두 이론가군은 각각 자신들이 다루고 있는 사회의 영향 이외의 다른 사회의 영향을 사회의 영향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고 그것은 각 이론이부분적 적합성만을 확보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사회의 영향에 의한 개인의 행위에 대한 종합적인 설명을위해서는 사회의 영향의 두 가지, “도덕적인 것”과 “비도덕적인 것” 그리고 사회의영향에 대한 개인의 반응의 두 가지, “비판·창조의 동기”와 “일탈·충동의 동기”는모두 사회의 영향에 의한 개인의 행위를 설명하는 요소로 통합되어야 할 필요성이있다는 사실을 논증하고 있다.

An important task of the sociological theory is to explain the social actions,which are affected by the society and the response of the individual for the social effect. This paper tried to classify the social effect in two, the social norm and the social pressure. And this paper tried to classify the response of the individual for the social effect in two, the critical & creative and the deviant & impulsive. Most sociological theorists explain only one social effect either the social norm or the social pressure. They don't explain the other side of social effect. And most sociological theorists explain only one response of the individual for the social effect, the critical & creative and the deviant & impulsive. They don't explain the other side of the response of the individual for the social effect. Therefore, sociological theories have failed to explain the social actions more completely. This paper attempts to integrate social norm and social pressure in explaining social actions. On the base of the theory of social action from The Rules of Sociological Methods by Emile Durkheim, I especially tried to prove that “the social fact” is formed not only by the moral, but also by the unmoral, or both by social norm and social pressure. “The social fact”, which is composed of not only by the social norm, but also the social pressure, are the collective power which forces individuals to act in a certain way. Even if Durkheim applies the collective power only to social norm, I expanded the concept to explain that social pressure is also another type of the collective power.

사회적 행위, 사회 규범, 사회 압력, 집합적 힘, 에밀 뒤르케임
Social Action, Social Norm, Social Pressure, Collective Power, Emile Durkheim

  • 1. [단행본] 니버, 라인하르트 / 2000 /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문예
  • 2. [단행본] 뒤르케임, 에밀 / 1992 / 종교 생활의 원초적 형태 / 민영사
  • 3. [단행본] 뒤르케임, 에밀 / 2001 / 사회학 방법의 규칙들 / 새물결
  • 4. [단행본] 뚜렌, 알렌 / 1995 / 현대성 비판 / 문예
  • 5. [단행본] 뚜렌, 알렌 / 2000 / 어떻게 자유주의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 당대
  • 6. [단행본] 마르쿠제, 허버트 / 1993 / 일차원적 인간 / 육문
  • 7. [단행본] 만하임, 칼 / 1991 /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 / 청아
  • 8. [단행본] 베버, 막스 / 1996 /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문예원
  • 9. [단행본] 알렉산더, 제프리 / 1993 / 현대 사회 이론의 흐름 / 민영사
  • 10. [단행본] 이홍균 / 2004 / 소외의 사회학 / 한울
  • 11. [학술지] 이홍균 / 2010 / 사회 압력으로서 일반화된 타자들의 사회 기대 / 사회와 이론 (16) : 47 ~ 16 kci
  • 12. [단행본] 퍼트넘, 로버트 / 2009 / 나홀로 볼링 / 페이퍼 로드
  • 13. [단행본] 프롬, 에리히 / 1978 / 소유냐 삶이냐 / 홍익
  • 14. [단행본] 하버마스, 위르겐 / 1983 / 후기 자본주의 정당성 연구 / 청하
  • 15. [단행본] 호네트, 악셀 / 1996 / 인정투쟁 / 동녘
  • 16. [단행본] 호르크하이머, 막스 / 1995 / 계몽의 변증법 / 문예
  • 17. [단행본] Habermas, Juergen / 1973 / Legitimationsprobleme des Spätkapitalismus / Surhkamp
  • 18. [단행본] Habermas, Juergen / 1981 /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I, II / Suhrkamp
  • 19. [기타] Horkheimer, M / 1947 / Dialektik der Aufklaerung
  • 20. [기타] Mead, George Herbert / 1967 / Mind, Self &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