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기독교와 정치 - 미국과 한국의 복음주의를 중심으로

Christianity and Politics: Focused on Evangelical Christians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담론201
약어 : -
2012 vol.15, no.2, pp.109 - 133
DOI : 10.17789/discou.2012.15.2.004
발행기관 : 한국사회역사학회
연구분야 : 사회학
Copyright © 한국사회역사학회
144 회 열람

‘기독교와 정치’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매우 복잡한 주제이다. 교회사를 통해서볼 때, 이 기독교와 정치의 관계를 놓고서 합의보다는 불일치가 한층 빈번하게 나타났다. 현대에도 기독교와 정치의 관계는 기독교 우파와 기독교 좌파 사이에 불일치의 근원이 되고 있다. 이 점에서 한국의 상황도 예외가 아니다. 이 글에서는미국 개신교와 한국의 개신교의 제반 특성 중 특히 최근 부각된 ‘복음주의’의 정치참여와 그 함의를 새롭게 재조명하는 작업을 하였다. 미국 복음주의의 정치참여가내포한 함의를 보다 심층적이면서도 총체적으로 밝히고자 미국의 초기 정치사와종교사에 나타난 ‘종교와 정치의 관계’를 개관하고, 1960년대 이후 2000년대까지 약50년에 걸친 미국의 문화변동과 복음주의 진영의 반응 및 최근 젊은 층의새로운 대응양태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해보았다. 그리고 1945년 해방 이후 최근 2012년 4·11 총선까지 한국 개신교계에서 보수주의 신학의 다수를 대표하는복음주의 진영의 정치참여를, 소수파인 진보주의 진영의 정치행보와 견주어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그런 다음 종교사회학의 관점에서 미국과 한국의 사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로 밝혀진 첫 번째 사실은, 비판의 대상이나 주적이 미국 복음주의에서는 중동의 이슬람인 반면에 한국 복음주의에서는 북한의 정권과남한의 종북주의자였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복음주의는 모두 정치적비판의 대상을 종교적 사탄의 세력으로 인식하고 대적하는 신앙이라는 공통성을보이고 있었다. 둘째로, 최근의 ‘문화전쟁’에서 가족, 이성애, 결혼 등의 전통과 보수적 가치를 옹호하는 대표적 집단으로서 복음주의 진영이 미국과 한국에서 현재 각기 차지하는 위상과 영향력 측면에서 중요한 차이가 존재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and politics is a complex subject on which there has been a lot of disagreement throughout the whole history of church, as dissensus between the right and left-wing Christians these days. South Korea is no exception for this matter. Noting the American legacy in Korean Protestantism, I have delved into some issues with political participation by the evangelical Christian church in the United Sates and South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American evangelicals' recent participation in politics, first of all, I have made special effort to examine cultural change and its implications since the 1960s to the 2000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n I have outlined and contrasted some sorts of political participations by the two factions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namely, the evangelical majority and the progressive minority, from 1945 to the present. Finally, I have tried to compare the evangelicalism of America and Korea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기독교와 정치, 복음주의, 미국 개신교, 한국 개신교, 문화전쟁, 기독교시온주의, 기독교 우파, 기독교 좌파
Christianity and Politics, Evangelicalism, American Protestantism,Korean Protestantism, Culture War, Christian Zionism, Christian Right, Christian Left

  • 1. [단행본] 강인철 / 2007 / 한국의 개신교와 반공주의: 보수적 개신교의 정치적 행동주의 탐구 / 중심
  • 2. [학술대회] 강인철 / 2008 / 한국사회와 한국 기독교의 과제: 한국교회의 정치참여에 관한 종교 사회학적 분석 / 한국기독교협의회 선교훈련원 에큐메니칼 아카데미 제1회 “한국사회와 기독교“ 심포지엄 주제발표 논문
  • 3. [단행본] 권용립 / 1991 / 미국-보수적 정치문명의 사상과 역사 / 역사비평사
  • 4. [단행본] 김성건 / 1996 / 또끄빌과 미국의 시민 종교, In 알렉시스 드 또끄빌을 찾아서: 민주주의와 ‘마음의 습속’에 대한 사상 / 학문과사상사
  • 5. [학술지] 김성건 / 2004 / 영제국의 기독교 선교에 나타난 앵글로색슨의 선민의식과 오리엔탈리즘 / 담론201 / 6 (2) : 163 ~ 2 kci
  • 6. [학술지] 김성건 / 2008 / 9/11 테러 사태 이후 급부상한 '한국판 기독교 시온주의에 관한 고찰 / 현상과 인식 / 32 (1) : 38 ~ 1 kci
  • 7. [학술지] 김성건 / 2009 / 문화적 세계화와 한국사회의 문화전쟁 / 담론201 / 12 (2) : 27 ~ 2 kci
  • 8. [학술지] 김성건 / 2010 / 한국교회의 정치참여: 사회학적 관찰 / 종교와 사회 / 1 : 7 ~
  • 9. [학술대회] 김성건 / 2012 / 미국 복음주의의 정치 참여 / 서울신학대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주최 제 16회 영익기념강좌 주제발표 논문
  • 10. [학술대회] 김성건 / 2012 / 한국 기독교와 정치 참여 / 한반도평화연구원 주최 제33차 KPI 평화포럼 발표논문
  • 11. [단행본] 마틴, 데이비드 / 2002 / 복음주의의 급증과 그 정치적 함의, In 세속화냐? 탈세속화냐? 종교의 부흥과 세계 정치 / 대한기독교서회
  • 12. [학술지] 박인기 / 2010 / 종교는 사적 영역으로 퇴출되었는가?: 미국 복음주의의 공적 종교로서의 역할 연구 / 종교와 사회 / 2 : 103 ~
  • 13. [단행본] 배덕만 / 2007 / 미국 기독교 우파의 정치 운동 / 넷북스
  • 14. [단행본] 배덕만 / 2010 / 한국 개신교 근본주의 / 대장간
  • 15. [단행본] 정갑영 / 1996 / 미국 민주주의의 종교적 성격: 미국 민주주의에 대한 또끄빌의 이해, In 알렉시스 드 또끄빌을 찾아서: 민주주의와 ‘마음의 습속’에 대한 사상 / 학문과 사상사 : 129 ~
  • 16. [학술지] 정태식 / 2009 / 공적 종교로서의 미국 개신교 근본주의의 정치적 역할과 한계 / 현상과 인식 / 33 (1) : 40 ~ 1 kci
  • 17. [기타] 조선일보 / 2012 / 샌토럼을 택한 '성경 벨트' / 조선일보. 2012.3.15
  • 18. [기타] 조선일보 / 2012 / 동성결혼 지지 효과…오바마, 하룻밤에 1500만$ 모금 / 조선일보. 2012.5.12
  • 19. [기타] 크리스천투데이 / 2012 / 바성연 ‘레이디 가가 내한공연 절대 반대’ / 크리스천투데이. 2012.4.5
  • 20. [보고서] 한국갤럽 / 2004 / 한국인의 종교와 종교의식: 제4차 비교조사(2004년도 조사)
  • 21. [단행본] Davie, Grace / 2007 / The Sociology of Religion / Sage Publications
  • 22. [단행본] Gallup, George / 1989 / The People's Religion: American Faith in the 90's / Macmillan
  • 23. [단행본] Hunter, James Davidson / 1991 / Culture Wars: The Struggle to Define America / Basic Books
  • 24. [학술지] Hammond, Phillip / 1976 / The Sociology of American Civil Religion: A Bibliographical Essay / Sociological Analysis / 37 (2) : 169 ~ 2
  • 25. [단행본] Herberg, Will / 1955 / Protestant, Catholic, Jew / Doubleday
  • 26. [학술지] Hoge, Dean R. / 1981 / Trends in College Students' Values Between 1952 and 1979: A Return of the Fifties? / Sociology of Education / 54 (4) : 263 ~ 4
  • 27. [학술대회] Hour, Michael / 2009 / The Politics of Religious Identity in the United States, 1974-2008 / Paper Presented at the 2009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 28. [단행본] Juergensmeyer, Mark / 1993 / The New Cold War? Religious Nationalism Confronts the Secular State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29. [인터넷자료] Lampman, Jane / Mixing Prophecy and Politics /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 30. [단행본] Lindsay, Hal / 1970 / The Late Great Planet Earth / Zondervan
  • 31. [단행본] Marsden, George M. / 1980 / Fundamentalism and American Culture / Oxford University Press
  • 32. [단행본] McKim, Donald K. / 1996 / Westminster Dictionary of Theological Terms / Westminster John Knox Press
  • 33. [인터넷자료] Mead, Walter Russell / God's Country?
  • 34. [학술지] Paul, Gregory S. / 2005 / Cross-national Correlations of Quantifiable Societal Health with Popular Religiosity and Secularism in the Prosperous Democracies / Journal of Religion & Society / 7 : 1 ~
  • 35. [단행본] Putnam, Robert D. / 2010 / American Grace: How Religion Divdes and Unites Us / Simon & Schuster
  • 36. [단행본] Scott, J. / Oxford Dictionary of Sociology / Oxford University Press
  • 37. [단행본] Stott, John / 2006 / Issues Facing Christians Today 4th edition / Zondervan
  • 38. [기타] The Washington Post / 2012 / Obama Gay Marriage Endorsement Mobilizes Christian Conservatives / The Washington Post. May 12. 2012
  • 39. [기타] Time / 2012 / 10 Questions: Jimmy Carter / Time. January 30. 2012
  • 40. [기타] Time / 2012 / The Rise of Nones / Time. March 12. 2012
  • 41. [기타] Time / 2012 / The Crusader / Time. March 19. 2012
  • 42. [단행본] Tocqueville, Alexis D. / 1968 / Democracy in America / Collins
  • 43. [단행본] Tuveson, Earnest Lee / 1968 / Redeemer Nation: The Idea of America's Millennial Role /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