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국사회의 계급갈등과 통합 - 분배와 인정을 넘어서

Class Conflict and Social Integration in Korea: Beyond Redistribution and Recognition

담론201
약어 : -
2015 vol.18, no.4, pp.5 - 34
DOI : 10.17789/discou.2015.18.4.001
발행기관 : 한국사회역사학회
연구분야 : 사회학
Copyright © 한국사회역사학회
113 회 열람

이 연구는 한국사회의 계급갈등 현황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통해 갈등 해소를위한 대안을 폭넓게 탐색해 보자는 동기에서 출발한 것이다. 우선 일상적 분쟁이심각한 갈등으로 비화하는 오늘날 시대 상황을 ‘불안’ 테제를 중심으로 개관한 후, 계급갈등의 성격, 원인 및 진전 과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면서 갈등 해소의 기본원리와 실천 방안을 탐지하였다. 아울러 1200 여명의 전국 성인 표본을 대상으로한 서베이 자료에 근거해, 이론적 논의에서 도출된 주요 명제들을 실증적으로검증하고, 그 내재적 함의를 검토하였다. 단절된 계급들 간의 대결적 상태로 특징지을 수 있는 오늘날 한국사회의 계급갈등은 분배론과 인정론을 주축으로 한 기존 설명체계를 넘어선 확장된 설명틀을필요로 한다. 따라서 응보적 정의론에 입각한 사법적 접근, 분배적 정의에 입각한복지적 접근 및 회복적 정의에 입각한 화해적 접근을 주축으로 한 새로운 사회통합모형을 구성하였다. 여기에 경험적 조사 결과를 적용해 오늘날 한국인의 사회통합 욕구를 분석한결과, 복지적 접근에 대한 욕구가 나머지 두 가지 접근으로 분산 병합되어, 법적・초법적 논리에 준거한 배상적 방안과 심정적 공감에 기초한 화해적 방안이 고(高) 불안 시대에 배가되어가는 계급갈등의 극복을 위한 유력한 대안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ossible alternatives for dealing with conflicts by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class conflicts in Korea. First of all, after the overview of the current society in the light of the insecurity thesis in which a trivial conflict can be transformed into a more serious conflict, we proposed a theoretical framework and practical plans in the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causes, and the process of the class conflict. Based on data from 1,200 adults aged 19 years and over,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major propositions that were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discussion and examined the implications. Today’s Korea society that can be characterized as a tense standoff among segregated classes needs an explanation of expansion that exceeds beyond the current theories of explanations, based on the recognition and distribution. Therefore, we framed a new social integration model focusing on a legalistic approach based on retributive justice, a welfare approach based on distributive justice, and a reconciliatory approach based on restorative justice. Study findings indicated the desire for a welfare approach was divided into two other approache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a liability approach which is based on the logic of legal or supra-legal and a reconciliatory approach which is based on the emotional sympathy are the powerful alternatives that can resolve the rising conflicts in the state of high insecurity

불평등, 갈등, 사회통합, 분배, 인정, 회복, 화해
Inequality, Conflict, Integration, Distribution, Recognition, Restoration, Reconciliation

  • 1. [보고서] 국민대통합위원회 / 2014 / 한국형 사회 갈등 실태 진단 연구
  • 2. [보고서] 국민대통합위원회 / 2015 / 한국형 사회 갈등 실태 진단 2차 연구
  • 3. [단행본] 굴드너, 앨빈 / 1982 / 현대사회학의 위기: 서구사회학의 다가오는 위기와 반성 / 한길사
  • 4. [단행본] 기든스, 앤소니 / 1997 / 현대성과 자아정체성: 후기 현대적 자아와 사회 / 새물결
  • 5. [단행본] 김문조 / 2008 / 한국사회의 양극화 / 집문당
  • 6. [기타] 김문조 / 2014 / 행복세상 정책토론회 발표문 '사회갈등 어떻게 풀어나가나?' / 과학기술회관
  • 7. [학술지] 김문조 / 2010 / 정보혁명의 사회제도적 파장: 유연화 논제를 중심으로 / 사회와 이론 (17) : 347 ~ 17 kci
  • 8. [학술지] 김문조 / 2012 / 불확실성의 시대, 불안한 한국인 / 사회와 이론 (21) : 611 ~ 21 kci
  • 9. [단행본] 김문조 / 2013 / 한국인은 누구인가: 38가지 코드로 읽는 우리의 정체성 / 21세기북스
  • 10. [단행본] 김종길 / 2013 / 현대사회학이론: 패러다임적 구도와 전환 / 다산출판사
  • 11. [단행본] 이일수 / 2009 / 액체근대 / 강
  • 12. [단행본] 부르디외, 삐에르 / 2005 /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 새물결
  • 13. [단행본] 부룩스, 데이비드 / 2001 / 보보스: 디지털 시대의 엘리트 / 동방미디어
  • 14. [보고서] 삼성사회정신건강연구소 / 2014 / 코스모폴리타니즘에 기반한 한국 사회통합의 새로운 패러다임
  • 15. [단행본] 세넷, 리처드 / 2002 / 신자유주의와 인간성의 파괴 / 문예출판사
  • 16. [보고서] 이원태 / 2012 / 디지털 사회갈등의 새로운 양상과 사회통합의 정책방향
  • 17. [단행본] 테일러, 찰스 / 2001 / 불안한 현대사회: 자기중심적인 현대 문화의 곤경과 이상 / 이학사
  • 18. [단행본] 프레이져, 낸시 / 2014 / 분배냐, 인정이냐?: 정치철학적 논쟁 / 사월의 책
  • 19. [단행본] 하홍규 / 2013 / 현대사회학이론: 패러다임적 구도와 전환 / 다산출판사
  • 20. [단행본] 호네트, 악셀 / 2011 / 인정투쟁: 사회적 갈등의 도덕적 형식론 / 사월의 책
  • 21. [단행본] Bauman, Z. / 2000 / Liquid Modernity / Polity
  • 22. [단행본] Beck, U. / 2002 / Individualization: Institutionalized Individualism and its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 Sage
  • 23. [단행본] Braithwaite, J. / 2001 / Restorative Justice and Civil Societ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24. [단행본] Brooks, D. / 2004 / BOBOS in Paradise: The New Upper Class and How They Got There / Simon & Schuster
  • 25. [단행본] Broudieu, P. / 1984 /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 RKP
  • 26. [단행본] Giddens, A. / 1991 / Modernity and Self-Identity: Self and Society in the Late Modern Age / Stanford University Press
  • 27. [단행본] Girth, H. / 1953 / Character and Social Structure: The Psychology of Social Institutions / Harcourt, Brace & World
  • 28. [학술지] Goldstein, J. / 1994 / The Politics if Identity in Late Modern Society / Theory and Society / 23 (3) : 367 ~ 3
  • 29. [단행본] Gouldner, A. / 1970 / The Coming of Western Sociology / Basic Books
  • 30. [단행본] Honneth, A. / 1995 /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The Moral Grammar of Social Conflicts / Polity Press
  • 31. [단행본] Honneth, A. / 2003 / Redistribution or Recognition?: A Political- Philosophical Exchange / Verso
  • 32. [학술대회] McCold, P. / 2003 / In Pursuit of Paradigm: A Theory of Restorative Justice / Paper presented at the XII World Congress of Criminology
  • 33. [단행본] Sennett, R. / 1998 / The Corrosion of Character: The Personal Consequences of Work in the New Capitalism / W. W. Norton & Company
  • 34. [학술지] Swedberg, R / 2012 / Theorizing in Sociology and Social Science: Turning to the Context of Discovery / Theory and Society / 41 : 1 ~
  • 35. [단행본] Taylor, C. / 1991 / The Malaise of Moderni / House of Anasi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