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In the Korean society, the numbers of immigrants and the multicultural family have increased in foreign population since 1990. These foreigners mostly live in Seoul and Gyenggi-do, and among those cities in Gyenggi-do, Pocheon has the highest foreigners rate. As a result of this social change, “Act on the treatment of foreigners in Korea”,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established, and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rights, and social supports which have brought about a huge interest in a diverse society in Korea. This research presents a policy plan through a basic investigation for Korea where it i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Some of the past researches on multicultural family from the legal perspective mainly assessed its support policies and legal system ,and thus, Legislative assessments about multicultural family laws and reviews about multicultural family policies were like questions to solve. This research is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and interpretative approach. However, it is different from that of past analysis in a sense that it has legal problems and its resoluti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the major among foreigners in Korean society. Still, there are some problems concerning this research. The survey method is not formal and the area of study is limited because it has a sampling bias (Pocheon, Gyenggido) due to insufficient funds and time. However, this research contains not only an observation of perception on multicultural family but also the method of study to fulfill the goal an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Furthermore, government statistics are supplemented to substantiate our thesis more logically. Yet, the main research technique is primarily on legal studies about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y. This study provides certain directions for changes in the constitution. First, Korean federal and local governments must advertise and change their people's recognition on multicultual family. Second, this research provides improvement measurements for educational issues. Third, there are also certain alternative solutions for unemployment and children issues. Fourth, constructing infrastructure for multicultural family is necessary. Fifth, specialists for this cultural cases and a social network must form in order to support multicultural family. Lastly, this investigation suggests a plan to unify foreign administrations. To maintain this act, since “Act on the treatment of foreigners in Korea” is about rights and nationality acquisitions for foreign residents and worker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affects only people who are going to acquire Korean nationality, we suggests to regulate these laws to bring about Korean society into a melting pot. Furthermore, we propose for local governments to amend their standardized laws since they are abstract and general. Moreover, Korean government must give incentives for their local governments when they pay grants. Just like a gender equality index to bring about equality in gender, each policy must consider foreigners and multicultural family and adopt foreigner equality index into their acts.

키워드

다문화, 다문화가정, 결혼이민자, 다문화가족지원법, 결혼이민자

참고문헌(36)open

  1. [단행본] 권영호 / 2009 /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가정 관련법에 대한 입법평가-다문화가족지원법에 대한 입법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법제연구원

  2. [학술지] 김원섭 / 2008 / 여성결혼이민자 문제와 한국의 다문화정책-다문화가족지원법의 한계와 개선방안 / 민족연구 (36)

  3. [단행본] 김이선 / 2007 / 다민족ㆍ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1): 한국사회의 수용 현실과 정책과제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 [단행본] 김정순 / 2009 / 외국인 이주민의 사회통합 법제 연구 / 한국법제연구원 :

  5. [단행본] 김혜순 / 2007 /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이론화 / 한국사회학회

  6. [학술지] 김혜순 / 2008 /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험: 최근 다문화담론의 사회학 / 한국사회학 42 (2) : 36 ~ 71

  7. [단행본] 국회입법조사처 / 2010 / 다문화정책의 추진실태와 개선방향

  8. [학술지] 나달숙 / 2009 / 다문화 교육과 법령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 법학논총 33 (2) : 371 ~ 399

  9. [학술지] 배병호 / 2009 /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상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 성균관법학 21 (1) : 765 ~ 782

  10. [단행본] 박세훈 / 2009 / 다문화사회에 대응하는 도시정책 연구(I): 외국인 밀집지역의 현황과 정책과제 / 국토연구원

  11. [단행본] 법무부 / 2007 / 다문화사회 기반 구축을 위한 사회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12. [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 / 2009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모델 및 개선방안 보고서

  13. [학술지] 서종남 / 2010 / 결혼이민자 가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 / 시민교육연구 42 (1) : 103 ~ 126

  14. [학술지] 소 라 미 / 2007 / 指定討論 要旨 / 저스티스 (96) : 43 ~ 53

  15. [단행본] 소성규 / 2009 / 법여성학강의 / 동방문화사

  16. [단행본] 소성규 / 2010 / 포천시 다문화정책을 위한 기초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

  17. [단행본] 엄한진 / 2006 / 전지구적 맥락에서 본 한국의 다문화주의 이민논의. in: 동북아 ‘다문화’ 시대 한국사회의 변화와 통합 / 동북아시대위원회

  18. [학술지] 윤인진 / 2008 /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학 42 (2) : 72 ~ 103

  19. [학술지] 이승우 / 2009 / 다문화 가족의 보호와 지원에 관한 법제 소고 / 가족법연구 23 (3) : 215 ~ 238

  20. [단행본] 이순태 / 2007 / 다문화사회의 도래에 따른 외국인 출입국 및 거주에 관한 법제연구 / 한국법제연구원

  21. [보고서] 이성언 / 2006 / 다문화 가정 도래에 따른 혼혈인 및 외국인 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법제지원방안 연구

  22. [학술지] 이영주 / 2008 / 다문화가족지원법에 관한 고찰 / 법학연구 (31) : 209 ~ 236

  23. [학술지] 이정민 / 2008 /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 및 이주민가족지원법률안에 대한 검토 / 부산법조 (25)

  24. [단행본] 이혜경 / 2007 / 이민정책과 다문화주의: 정부의 다문화정책 평가

  25. [보고서] 임인규 / 2007 / 재한외국인처우 기본법안 검토보고

  26. [학술지] 정상우 / 2009 / 다문화가족 지원에 관한 법체계 개선 방안 연구 / 법학논총 26 (1) : 483 ~ 510

  27. [학술지] 정혜영 / 2008 / 다문화가족자녀의 권리보호 / 안암법학 (27) : 1 ~ 38

  28. [학술지] 최윤철 / 2009 / 다문화 가족 자녀들의 교육을 받을 권리* ― 다문화 가족 관련 법률을 중심으로 ― / 공법연구 38 (1) : 147 ~ 173

  29. [학술지] 표명환 / 2009 / 재한 결혼이주여성의 국가적 보호에 관한 법적 고찰* / 공법학연구 10 (3) : 97 ~ 120

  30. [단행본] 한경구 / 2007 / 한국적 다문화사회의 이상과 현실. in: 동북아 다문화 시대 한국사회의 변화와 통합 / 동북아시대위원회

  31. [학술지] 齊藤一久 / 2002 / ドイツにおける多文化敎育の一斷面 : イスラム敎をめぐる問題狀況 / 日本敎育法學會年報 31

  32. [학술지] 金東勳 / 1985 / 多民族ㆍ多文化社會と在日韓國ㆍ朝鮮人 / 法律時報 57 (5)

  33. [학술지] 飯田文雄 / 2004 / 多文化社會におけるりべラリズム : ウイルㆍキムリカの場合 / 神戶法學雜誌 53 (4)

  34. [단행본] 吉富 志津代 / 2008 / 多文化共生社會の外國人コミュニティの力 / 現代人文社

  35. [단행본] 徐龍遠 / 2006 / 多文化共生社會への展望 / 日本評論社

  36. [단행본] NIRA / 2001 / 多文化社會の選擇 / 日本經濟論評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