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디지털유산 상속 보호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 온라인상의 디지털 저작물/유산을 중심으로 -

A Legislative consideration Study on the Succession of Digital Inheritance - Focused on Digital Works in Online -

법과정책연구
약어 : -
2017 vol.17, no.3, pp.209 - 236
DOI : 10.17926/kaolp.2017.17.3.209
발행기관 : 한국법정책학회
연구분야 : 법학
Copyright © 한국법정책학회
55 회 열람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했다. 나날이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개인의 온라인상의 활동 또한 오프라인에서의 활동만큼 중요한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발전은 소셜네트워크(SNS: Social Network Services)의 발전을 가져와 인간의 인터넷상의 활용영역을 확대하고 일상의 모든 기록들이 사이버공간 어딘가에 남겨지도록 만들고 있다. 이와 같은 인간 생활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필연적으로 사회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여러 분야들을 자극하게 되는데 자율과 규제라는 양면을 가진 법의 분야도 예외일 수 없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지능정보화 시대의 흐름이나 ‘디지털유산’에 대한 인식 확산의 정도를 보면 다가올 최첨단 초지능, 초연결시대에 알맞은 적절한 대응이 곤란할 수도 있는 상황을 맞고 있다. 특히 현재의 법 규정들로서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란 어렵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그 중에서도 디지털유산 상속 처리에 관한 현재의 상황을 긍정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입법방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유산에 관한 일반론적 고찰로써 개념 및 법적성질을 둘러싼 불명확성을 다루어 보았고, 또한 현재의 관련 법률규정에 따른 구체적 상황의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면밀히 검토하여 향후 입법상황에 대한 대처와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요컨대 기본 사항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되, 계약자유의 원칙을 전제로 계약당사자의 의사에 따른 자율규제가 우선하는 방향으로 법규정 개정과 정책변화의 대응이 요구된다.

The arrival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made the remarkable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it makes personal activity on online, as well as on offline, more important. Especially, the evolution of mobile devices, such as a smart-phone, expands human activity on the internet and consequently, all records of human activity are left over somewhere in cyberspace. Such radical change of human life necessarily does not stimulate various social systems, but it also urges the law field in pursuit of both autonomy and regulatory to keep up with trends in the increasingly technological world. The current legal system in Korea may be unable to react satisfactorily to issues related to digital assets or digital legacy. Even though there have been many debates about the succession of 'digital inheritance' over 10 years ago in Korea, discussions about 'digital inheritance' were extremely limited. Among few controversies, one issue is whether or not whether the family of a decedent can inherit digital information of the decedent on the online by succession law. Another issue is whether the family of the deceased can exert a right over digital information on the online left by the deceased, such as email, SNS, blog and comment etc. This paper addresses the overall question of the succession of digital inheritance in Korea as below. First, it is reviewed to the current general theories on 'digital inheritance' in korea. Second, this article considers whether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existing Civil Code is associated with the complete inheritance of digital heritage, unless modified by new legislation of inheritance or modification of Civil Code. Third, following from first and second studies I mentioned, this article proposes that it is time to need a new legislation for maximum protection of 'digital inheritance' of the deceased. To put it more concretely, it is proper to modify the Civil Code to grant control right over relevant individual codes, like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Act, or to enjoin a duty to inform about 'digital inheritance' of the deceased, after realizing the death of the deceased, on digital assets manager.

디지털유산, 디지털자산, 4차 산업혁명, 인터넷(이메일) 계정, 상속,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디지털 저작물, 온라인 저작물, 개인정보보호법, 자율규제
Digital Inheritance, Digital Asset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net[e-mail] Account, Inheritanc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nline Works, Digital Works, Privacy(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Self- Regulation

  • 1. [단행본] 곽윤직 / 1992 / 민법주해(Ⅸ) / 박영사
  • 2. [보고서] 김현수 / 2011 / 디지털유산 법제에 대한 입법평가
  • 3. [단행본] 오병철 / 2005 / 디지털정보계약법 / 법문사
  • 4. [단행본] 이창범 / 2012 / 개인정보보호법 / 법문사
  • 5. [단행본] 지원림 / 2015 / 민법강의 / 홍문사
  • 6. [보고서] KB경영지주 경영연구소 / 2014 / 디지털 유산의 개념과 관련 이슈 점검
  • 7. [학술지] 김기중 / 2010 / 사자의 디지털 유품의 법률문제 / KISO저널 (3)
  • 8. [학술대회] 김기중 / 2010 / 사자(死者)의 디지털 유품의 법률적 한계 및 개선방안 / (사)한국인터넷 자율정책기구 세미나자료집
  • 9. [학술대회] 김장실 의원실 / 2013 / 고인의 디지털 유산 관리와 입법 방향 / 의원입법세미나 자료집
  • 10. [학술지] 김현진 / 2015 / 디지털 자산의 사후 처리에 관한 소고 - 미국 델라웨어 주법을 중심으로 - / 저스티스 / 147 : 270 ~ kci
  • 11. [학술대회] 심영섭 / 2010 / 유럽에서의 사자의 권리보호 / 사자의 디지털유품 관리현황과 개선방안 세미나 자료집
  • 12. [학술지] 안병하 / 2012 / 독일 인격권 논의의 근래 동향 / 한독법학 / 17
  • 13. [학술지] 오대한 / 2014 / 잊혀질 권리'에 관한 법적 고찰 / 민사법연구 / 22
  • 14. [학술지] 오병철 / 2013 / 인격적 가치 있는 온라인 디지털정보의 상속성 / 가족법연구 / 27 (1) : 147 ~ 1 kci
  • 15. [학술지] 유인호 / 2015 / 디지털 시대의 상속권과 잊혀질 권리 / 국제법무 / 7 (1) : 187 ~ 1 kci
  • 16. [보고서] 윤주희 / 2013 / 디지털유산의 승계에 대한 법규정 제정 필요성 고찰
  • 17. [학술지] 윤주희 / 2011 / 디지털유품의 상속성에 관한 민사법적 고찰 / 법학연구 / 14 (1) : 183 ~ 1 kci
  • 18. [학술지] 이성진 / 2014 / ‘잊혀질 권리’에 관한 민사법적 고찰 /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 / 17 (2) : 97 ~ 2 kci
  • 19. [학술지] 이한주 / 2004 / 퍼블리시티권에 관하여 / 사법논집 / 39
  • 20. [학술지] 임채웅 / 2014 / 디지털 유산의 상속성에 관한 연구 / 가족법연구 / 28 (2) : 343 ~ 2 kci
  • 21. [학술지] 최경진 / 2013 / 디지털 유산 입법화 과정의 쟁점 / KISO저널 / 11
  • 22. [학술지] 최경진 / 2011 / 디지털遺産의 法的 考察 - 온라인遺産의 相續을 중심으로 - / 경희법학 / 46 (3) : 253 ~ 3 kci
  • 23. [학술지] 최승재 / 2010 / 퍼블리시티권의 법적 성격과 주요 쟁점에 관한 연구(하) / 언론중재 / 30 (3)
  • 24. [학술지] 한위수 / 1996 / 퍼블리시티권의 침해와 민사책임(상) / 인권과 정의 (242)
  • 25. [학술지] Olivia Y. Truong / 2009 / Virtual Inheritance: Assigning More Virtual Property Rights / SYRACUSE SCI. & TECH. L. REP / 21 : 57
  • 26. [학술지] Tyler G. Tarney / 2012 / A Call for Legislation to Permit the Transfer of Digital Assets at Death / Cap. U. L. Rev / 40 : 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