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STEAM을 적용한 신재생에너지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ew and Renewable Energy Learning Program applying STEAM on the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환경교육
약어 : -
2016 vol.29, no.1, pp.66 - 78
DOI : 10.17965/kjee.2016.29.1.66
발행기관 : 한국환경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환경교육학회
132 회 열람

이 연구는 STEAM을 적용한 신․재생에너지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황 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초등학교 6학년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이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을 하고 난 후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의 환경소양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와 함께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사회에서의 과학자의 역할과 과학의 필요성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향상되었다. 또한 정직성, 호기심, 비판성, 개방성, 자진성과 같은 과학적 태도의 모든 하위 요소에서 본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STEAM을 적용한 신·재생에너지 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및 과학 관련 태도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과학교과를 기반으로 한 통합적 접근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New and Renewable Energy learning program applying STEAM education to environmental literacy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of sixth grade students at a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learning program applying STEAM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Second, this program proved to be an effective tool for improving their attitudes toward science. Third, the program induced a positive change in their attitudes toward scie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gram had overall positive effects on the environmental literacy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of the students.

신재생에너지, 융합인재교육, 환경 소양, 과학 관련 태도
New and Renewable Energy, STEAM, environmental literacy, science-related attitudes

  • 1. [학술지] 길영재 / 2014 /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분석 / 에너지기후변화교육 / 4 (2) : 81 ~ 2 kci
  • 2. [학위논문] 김규현 / 2007 / 토론식 환경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 6학년을 대상으로
  • 3. [학술지] 김효남 / 1998 /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18 (3) : 357 ~ 3
  • 4. [학술지] 박일수 / 2014 / IPCC 제5차 과학평가보고서 고찰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30 (2) : 188 ~ 2 kci
  • 5. [학위논문] 박혜원 / 2012 /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자기효능감, 흥미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 6. [학위논문] 서영주 / 2010 / 신재생에너지학습이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7. [학위논문] 송미혜 / 2015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내의 에너지 빈곤층 지원 정책 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8. [학위논문] 송정범 / 2010 / STEM 통합교육을 위한 교실친화적 로봇교육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9. [단행본] 에너지관리공단 / 2014 / 알기 쉬운 신․재생에너지 / 에너지관리공단
  • 10. [학술지] 에너지경제연구원 / 2015 / / 에너지통계월보 / 31 (9)
  • 11. [학술지] 이성희 / 2012 / STEAM 기반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소양에 미치는 영향 / 환경교육 / 25 (1) : 66 ~ 1 kci
  • 12. [학술지] 이시예 / 2013 / 융합 인재 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과학교육 / 32 (1) : 60 ~ 1 kci
  • 13. [학위논문] 이형민 / 2013 / 과학 기반 STEAM을 적용한 '태양계와 별' 단원 수업이 창의적 사고활동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14. [학위논문] 林憲採 / 1993 / 國民學校 6學年 兒童들의 科學에 대한 態度調査 연구
  • 15. [학위논문] 장진경 / 2014 /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16. [학술지] 장혜진 / 2009 /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독후 활동이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과학교육논총 / 22 (1) : 55 ~ 1
  • 17. [학위논문] 전미정 / 2012 / 신재생 에너지 학습이 초등학생의 STS인식에 미치는 영향
  • 18. [학술지] 전영석 / 2014 / 초등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제시된 에너지 교육 내용 분석: 2007 개정,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사회과, 도덕과, 실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에너지기후변화교육 / 4 (1) : 23 ~ 1 kci
  • 19. [학술지] 채희인 / 2013 / STEAM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과학교육연구지 / 37 (3) : 417 ~ 3 kci
  • 20. [학술지] Dias, R. A / 2004 / Energy education : Breaking up the rational energy use barrier / Energy Policy / 32 (11) : 1339 ~ 11
  • 21. [단행본] Fraser, B. J / 1981 /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Handbook /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 22. [학술지] Hungerford, H. R / 1990 / Changing learner behavior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 21 (3) : 8 ~ 3
  • 23. [기타] / NAAEE
  • 24. [기타] / 1996 / Simm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