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유아교육의 주체로서 어머니와 유아교사에 대한 비판적 고찰: 모성과 보살핌의 담론을 중심으로

A critical approach to the positions of mother and teache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연구
약어 : -
2008 vol.28, no.6, pp.47 - 64
DOI : 10.18023/kjece.2008.28.6.003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유아교육학회
146 회 열람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유아교육 분야에서 조명받지 못했던 유아교육의 주체인 어머니와 유아교사의 위치를 모성과 보살핌의 담론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유아교육에서 어머니의 위치는 ‘아동중심교육’사상과 관련하여 접근할 수 있다. 17세기 이후 근대적 아동관에 근거한 유아교육사상이 도태되었고 이것은 아동중심교육사상으로 이어져 지금까지 유아교육의 근본으로 유지되고 있다. 아동중심교육은 말 그대로 교육에서 중심은 아동이기 때문에 유아기의 양육과 교육을 책임지는 어머니는 유아와의 관계 속에서 헌신하고 희생하는 존재로 규정된다. 더욱이 20세기 이후 심리학의 발달은 과학이라는 이름으로 모성의 절대성을 강화함으로써 여성의 정체성은 어머니의 역할에서 벗어나서 규정될 수 없었다. 19세기 Fröbel이 유치원을 설립·운영함으로써 사적 영역에서 어머니에 의해 배타적으로 이루어졌던 유아기의 보호와 교육이 공적 영역으로 옮겨가게 되고 이 과정에서 유아교사라는 직업이 탄생하였다. 따라서 처음부터 유아교사에게 어린 아동을 돌보고 보살피는 어머니의 역할이 부과되었다. 특히 가정의 교육적 기능이 약화되는 현대사회에서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들은 더 많은 어머니의 역할을 기대 받게 되고 최근에 유아교사의 역할을 논의하면서 ‘보살핌의 윤리’가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유아교사들의 사회적 지위는 매우 열악한 상태에 있으며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은 보살핌을 실천하면서 갈등과 모순과 한계를 느끼고 있다. 유아교사가 하는 일에 대한 적절한 사회적 평가 없이 교사들에게 보살핌의 윤리를 부과한다면 이것은 강요된 이타주의에 지나지 않으며 미래의 유아교육의 질을 보장할 수 없다.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positions of mother and teacher, both long neglected subjec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osition of mothe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been connected to ‘child-center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philosophy of ‘child-centered’ education, children are immature, dependent, still only potential human beings, whose care and education is required of adults, and adults here signifies mothers exclusively. In this view, a woman’s identity is determined by her motherhood. The development of psychology in the twentieth century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by developing concepts such as attachment, maternal deprivation and imprint. In contrast to the assumptions of motherhoo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eminist theory does not suppose that motherhood is an absolute and universal concept but, rather, that it is a social·cultural construction. Yet, despite current, diverse feminist theories, substitute mothering and ‘care ethic’ constitute the dominant approach to the role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The social statu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s very low and they experience conflicts,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in the practice of caring. Without appropriate social evaluation of their work, the ‘care ethic’ imposes a forced altruism on early childhood teachers. But this state does not guarantee quality of care and/o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모성,유아교사, 유아교육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보살핌의 윤리
motherhood, early childhood teacher, feminism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ethic of care

  • 1. [단행본] 곽노의 / 2007 / 유아교육사상 / 문음사
  • 2. [단행본] 김수동 / 2005 / 배려의 교육 / 장원
  • 3. [단행본] 김영천 / 2005 / 별이 빛나는 밤 1:한국교사의 삶과 그들의 세계 / 문음사
  • 4. [학술지] 김진영 / 2003 / 모성의 의미를 통해 본 사회적 양육의 가능성 / 유아교육연구 / 23 (3) : 197 ~ 3
  • 5. [단행본] 박병춘 / 2002 / 배려윤리와 도덕교육 / 울력
  • 6. [단행본] 박은혜 / 2002 / 유아교사의 지식 / 창지사
  • 7. [단행본] 박은혜? / 2003 / 유아교사론 / 창지사
  • 8. [단행본] 송준식,사재명 / 2006 / 유아교육의 역사와 사상 / 학지사
  • 9. [학술지] 양옥승 / 2004 / 보살핌의 텍스트로서 유아교육과정 이해 / 유아교육연구 / 24 (4) : 247 ~ 4 kci
  • 10. [학술지] 양옥승 / 2005 / 아동중심 교육과정의 의미 탐구 / 유아교육연구 / 25 (2) : 103 ~ 2 kci
  • 11. [학술지] 염지숙 / 2005 / 유아교육현장에서 돌봄의 실천과 한계 / 유아교육연구 / 25 (5) : 147 ~ 5 kci
  • 12. [단행본] 유현옥 / 2004 / 페미니즘 교육사상 / 학지사
  • 13. [학술지] 이윤진 / 2004 / 루소 이래 아동중심교육학이 근대 모성이데올로기 성립에 미친 영향 / 교육학연구 / 42 (3) : 185 ~ 3 kci
  • 14. [단행본] 이윤진 / 2006 / 일제하 유아보육사 / 혜안
  • 15. [단행본] 이혜정 / 2002 / 한국 유치원 교육의 이해 / 교육과학사
  • 16. [학술지] 임부연 / 2006 / 유아교사의 여성성 탐구:돌봄과 해방담론의 아이러니 / 유아교육연구 / 26 (5) : 119 ~ 5 kci
  • 17. [단행본] 정옥분 / 2007 / 아동발달의 이론 / 학지사
  • 18. [단행본] Cannella,G.S. / 2002 / 유아교육 이론 해체하기: 비판적 접근 [Deconstruc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Social justice and revolution] / 창지사
  • 19. [단행본] Gilligan,C. / 1994 / 심리이론과 여성의 발달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 창지사
  • 20. [단행본] Gittins,D. / 1997 / 가족은 없다 [The family in question changing households and familiar ideologies] / 일신사
  • 21. [단행본] Goffin, S. G. / 1994 / 유아교사의 새로운 접근 [New perspectiv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 양서원
  • 22. [단행본] Goldstein,L.S. / 2001 / 사랑으로 가르치기: 유아교육에 대한 페미니스트적 접근 [Teaching with love: A femin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 창지사
  • 23. [단행본] Martin,J.R. / 2002 / 교육적 인간상과 여성 [Recaliming a conversation: The ideal of educated women] / 학지사
  • 24. [단행본] Martin, J. R. / 1992 / The schoolhome: Rethinking schools for changing families / Harvard University Press
  • 25. [단행본] Noddings,N. / 1984 / Caring: Feminist approach to ethics and moral education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26. [단행본] Noddings,N. / 2002 / 배려교육론 [The challenge to care in schools] / 다른우리
  • 27. [단행본] Noddings,N. / 2008 / 행복과 교육 [Happiness and education] / 학이당
  • 28. [단행본] Ruddick,S. / 2002 / 모성적 사유 [Maternal thinking] / 철학과 현실사
  • 29. [단행본] Sapon-Shevin,M. / 2000 /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화: 그 대화의 시작 [Reconceptualization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Beginning the dialogue] / 창지사
  • 30. [단행본] Spender,D. / 1981 / Education: The patriarchal paradigm and the response to feminism. In Men's studies modified: The impact of feminism on the academic displine / Pergamon
  • 31. [학술지] Swandener, B. / 1991 / Reconceptualiz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 issue] /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 2 (2)
  • 32. [단행본] Thurer,S.L. / 1996 / 어머니의 신화 [The myth of motherhood] / 까치
  • 33. [단행본] Tong,R.P. / 2000 / 페미니즘 사상 [Feminist thought] / 한신문화사
  • 34. [단행본] Tuttle,S. / 1999 / 페미니즘 사전 [Encyclopedia of feminism] / 동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