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FULL TEXT XML

책무성 관점에서 본 유치원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bout kindergarten evaluation in terms of accountability

유아교육연구
약어 : -
2014 vol.34, no.6, pp.411 - 438
DOI : 10.18023/kjece.2014.34.6.018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유아교육학회
1274 회 열람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이 책무성 관점에서 유치원 평가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유치원 평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및 인근에 소재한 국공립 및 사립 유치원 교사 4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전반적 인식을 살펴본 결과, 유치원 평가 실시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제고 및 노력의 기회 제공’이라 인식하였고, 유치원 평가의 효과에 대해 ‘교사와 운영자에게 자신이 수행하는 교육실제를 평가하도록 하는 평가체제 마련’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유치원 책무 수행에 대한 판단 준거는 ‘교육계획’이라 인식하였고, 유치원 평가 시 중요 역할자는 ‘교사’라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평가 지표 관련 책임당사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교육목표 및 교육계획 수립’, ‘교육활동 및 평가의 실시 및 활용’, ‘유아의 건강관리 및 지도’, ‘유아의 안전관리 및 지도’, ‘유아의 발달’ 항목에서 ‘교사’를 일차적 책임 당사자로 인식하였으며, ‘실내외 교육환경의 구성 및 관리’, ‘교재교구의 구비 및 제공’, ‘교직원의 인사 복지 및 전문성’, ‘예산의 편성 및 운영’, ‘가정ㆍ지역사회 연계 및 방과 후 과정 운영’의 항목에서는 ‘원장’, ‘교육만족도’에 관하여는 ‘학부모’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셋째, 유치원 평가 공개에 관한 인식에서는 외부 공개에 대해 반대하는 비율이 찬성보다 높았으며 그 이유는 ‘외부에 보이기 위한 평가로 변질’이 우려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대상 및 범위에 대해 ‘평가를 받은 해당 유치원 교직원에게만 평가 결과 공개’라는 인식이 높았으며 공개 방법으로는 ‘통과/ 미통과, 순위보다는 유치원의 강점과 약점, 개선사항 공개’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았다. 유치원 평가 결과 활용방법으로는 ‘해당 유치원이 자율적으로 유치원 질을 관리하는데 참고 자료로 활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치원 여건별 범주화 후 평가 실시 및 결과 공개에 대한 인식에서는 찬성이 반대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여건이나 출발선이 비슷한 유치원끼리 묶어서 평가하는 것이 공정한 것이므로’가 주된 의견이었다. 그리고 교사들은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경로로 ‘유치원 홈페이지’, 평가 결과 중 중요 공개 항목으로 ‘교육과정’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평가 결과가 학부모의 유치원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치원 평가가 교사들이 취업할 때 유치원 선택에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해 인식을 조사한 결과,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kindergarten evaluation in terms of accountability,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future improvement of kindergarten evaluation. For this direction,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455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for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Gyeonggi-do province and near the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overall perception about kindergarten evalua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the purpose of kindergarten evaluation as ‘enhancement of kindergarten teachers’ expertise and provision of opportunity for working hard.‘ For effects of kindergarten evaluation, they chose ‘provision of evaluation system assessing educational practices o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he teachers also perceived ‘educational planning’ as a judgment criterion of kindergarten accountability implementation. In addition, they highly agreed with the role of teachers as primary contributor to kindergarten evaluation. Second, in perception about the person directly involved in kindergarten evaluation index, teacher was perceived as a key evaluation person for ‘educational goals and planning’, ‘educational activities and evaluation implementation’, ‘young children’s health management and guidance’, and ‘young children’s development’. Kindergarten director was perceived as a key person in ‘in/outdoor educational environment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nd ‘furnishment/provision of educational materials’, ‘kindergarten staffs’ personnel welfare and expertise’, ‘budget organization and management’, and ‘networking between family and community as well as extra-curriculum management’. Parent was chosen as a key person for ‘education satisfaction’. Third, for opening of the results of kindergarten evaluation, they highly disagreed with open to the public. The reason was found that they concerned about the main direction of evaluation could be changed to a show to the public. For the public offering, in terms of target and range of evaluation results, ‘open the results to the kindergarten staffs only who took evaluation’ was perceived high priority. For the opening methods, ‘pass/fail and opening of kindergartens’ strength and weak points includ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 were highly agreed. In terms of utilization methods of evaluation results, a strong consensus was on ‘evaluated kindergartens utilize autonomically the results as supplementary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kindergarten’s quality’. For opening of the results after categorization of kindergartens by local conditions were marginally agreed. The primary reason was that it is fair to open the evaluation results after categorizing kindergartens in terms of local/starting conditions. Opening path and main contents of kindergarten evaluation opening were chosen as ‘kindergarten homepage’ and ‘curriculum’ respectively. The impact of public offering on parents’ selection of kindergarten was also investigated. The teachers highly agreed with ‘positive impact’ of kindergarten evaluation on parents’ selection. They also agreed with impact of kindergarten evaluation on selection of kindergarten through their job hunting process.

책무성(Accountability), 유치원 평가(Kindergarten Evaluation), 유아교사(Early Childhood Teac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