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FULL TEXT XML

유치원의 자유선택활동 및 바깥놀이에서 사용되는 교재교구의 제작 및 구입, 활용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the kindergarten learning materials for free choice activity and outdoor play: manufacture, purchase, and utilization

유아교육연구
약어 : -
2015 vol.35, no.2, pp.143 - 163
DOI : 10.18023/kjece.2015.35.2.007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유아교육학회
442 회 열람

본 연구는 유치원 교재교구의 제작, 구입, 활용 현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09 개 유치원에 근무하는 409명의 유치원 교사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응답자의 일반적 현황, 제작 및 구입 현황, 활용 현황의 3개 영역 2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카이 검증, t-test, ANOVA, Fisher’s 정확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재교구는 주로 교사가 계획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재교구 제작 시 시간 부족이 가장 큰 어려움이었다. 교재교구 구입 시 의사결정 주체는 공립유치원은 교사 개인이나 교사 간 협의가 많은 반면 사립유치원은 원장(감)이나 원장(감)과 교사의 협의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교재교구 구입 시 문제점은 교육내용에 적합한 교재교구의 부재, 고가의 가격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교재교구의 활용 및 관리는 잘 되고 있는 것으로나타났으며, 세척 및 소독빈도는 실제 이루어지는 것보다 이상적으로는 더 많이 이루어지는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재교구 관리 대장 사용 시 불편사항으로는 교재교구의파손 및 분실된 부분에 대한 파악의 어려움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manufacture, purchase and utilization on kindergarten learning materials.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operated on-line questionaries for 409 teachers in 409 kindergartens.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 data, frequency, chi-square, t-test, ANOVA, fisher’s exact test were used. The result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manufacture and purchase showed that teachers mainly were planned and made learning materials. They deeply troubled by lack of time for making the learning materials. For the public kindergartens, teachers purchased learning materials; however, for the private kindergartens, principals purchased them in consultation with teachers. Also, there were many problems to purchase learning materials like inappropriate things and high price, etc.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utilization showed that there were proper in kindergartens but teachers demanded more often to wash and disinfect frequency than and actual state. And they were in trouble with knowing which learning materials were broken and lost partly by the learning material documents.

유치원, 교재교구, 제작 및 구입현황, 활용현황
kindergarten, learning materials, current status of manufacture and purchase, current status of utilization

  • 1. [기타] 각 시‧도교육청 / 2013 / 2013년도 교재교구비 지급 기준 / 내부자료
  • 2. [학술지] 강미희 / 2011 / 생활용품으로 만든 악기의 음악활동 활용 및 음률영역 비치가 유아의 음악성 발달과 음률영역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열린유아교육연구 / 16 (6) : 69 ~ 6 kci
  • 3. [학술지] 강영식 / 2014 / 유아용 교재·교구 인증에 관한 유아교육현장 인식 및 요구에 대한 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15 (2) : 793 ~ 2 kci
  • 4. [기타] 교육부 / 2014 / 2013년도 유아교육 결산 및 예산 현황 / 내부자료
  • 5. [단행본] 교육부 / 2013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 보건복지부
  • 6. [인터넷자료]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7. [인터넷자료] / 국가법령정보센터
  • 8. [학술지] 김수정 / 2004 /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교사 역할 및 역할 수행의 갈등 / 교육인류학연구 / 7 (2) : 136 ~ 2 kci
  • 9. [보고서] 김영옥 / 2013 / 유아교육발전 5개년 계획수립 정책연구
  • 10. [보고서] 김은영 / 2012 / 교사양성과정 내실화를 위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일과운영 및 교사의직무분석
  • 11. [단행본] 김정원 / 2005 / 영유아를 위한 교재‧교구 연구 및 지도법 / 양서원
  • 12. [학술지] 김정은 / 2014 / 유치원 수학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육아지원연구 / 9 (1) : 177 ~ 1 kci
  • 13. [학위논문] 김지혜 / 2011 / 유치원 과학영역의 활성화를 위한 협력적 실행 연구
  • 14. [단행본] 김혜경 / 2010 / 교구교재 연구 및 지도법 / 공동체
  • 15. [학위논문] 문경남 / 2005 / 제주지역 유아교육기관의 체육 실태 조사 연구
  • 16. [학술지] 박미경 / 2010 /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들이 경험하는 놀잇감의 의미 / 유아교육연구 / 30 (5) : 325 ~ 5 kci
  • 17. [보고서] 박찬옥 / 2009 / 보육프로그램 교재․교구 활용 방안
  • 18. [보고서] 변홍규 / 1983 / 유아를 위한 놀잇감 평가기준 개발
  • 19. [보고서] 서문희 / 2013 / 육아지원기관 관련 산업에 관한 연구
  • 20. [단행본] 심성경 / 2010 / 놀이지도 / 공동체
  • 21. [학술지] 양옥승 / 2003 / 자유선택활동에서 유아의 선택과 의미 / 유아교육연구 / 23 (3) : 131 ~ 3
  • 22. [학술지] 엄정애 / 2002 / 놀잇감의 구조성이 사회적 극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상호주관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연구 / 22 (3) : 195 ~ 3
  • 23. [학술지] 이대균 / 2005 / 유치원의 연령, 생활주제 및 흥미영역별 교구의 실태와 질적 수준 분석 / 인문논총 / 22 : 131 ~
  • 24. [학술지] 이대균 / 2006 / 상품화된 조작 교구를 활용한 유아 수학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 능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 열린유아교육연구 / 11 (2) : 49 ~ 2 kci
  • 25. [단행본] 이대균 / 2002 / 최신 유아교재‧교구 연구 및 지도 / 양서원
  • 26. [단행본] 이인원 / 2010 /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 양서원
  • 27. [단행본] 임은숙 / 2011 / 유아교사를 위한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 태영출판사
  • 28. [단행본] 정연희 / 2011 / 유아 교과교재 및 연구법 / 창지사
  • 29. [학위논문] 정효이 / 2010 / 유치원 수학교재·교구의 구비현황과 실제 교수활용현황
  • 30. [학술지] 최미숙 / 2012 / 실외 모래놀이 영역의 놀잇감 복합성 수준 및 놀이 시기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 생태유아교육연구 / 11 (2) : 87 ~ 2 kci
  • 31. [학위논문] 최지란 / 2013 / 유아교육기관의 과학영역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 32. [단행본] 한성희 / 2005 / 교수‧학습 방법 향상을 위한 영유아 교재‧교구 연구 / 창지사
  • 33. [학술지] 한애향 / 2006 / 유아교육기관의 문해환경 수준에 따른 유아의 문해능력 차이 / 유아교육학논집 / 10 (4) : 279 ~ 4 kci
  • 34. [학술지] 황은희 / 2010 /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유치원 예비교사, 초임교사, 경력교사를 중심으로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48 (3) : 31 ~ 3 kci
  • 35. [학위논문] 황해수 / 2005 / 유치원 수학교육의 운영 실태 및 요구 조사
  • 36. [기타] Australia children’s education & care quality authority / 2013 / Guide to the national qulity standard / ACECQA
  • 37. [기타] National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 2014 / NAEYC early childhood program standards and accreditation criteria & guidance for assessment / NAEYC
  • 38. [인터넷자료] / ECERS materials requirement / Early learning coalition of southwest Florida
  • 39. [인터넷자료] / Toy, play & young children action guide. sixteenth edition / TRUCE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