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유아 공감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A study on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empath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유아교육연구
약어 : -
2015 vol.35, no.3, pp.101 - 126
DOI : 10.18023/kjece.2015.35.3.005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유아교육학회
217 회 열람

본 연구는 유아 공감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여 공감교육 이해와 효과적인 공감교육 운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아 공감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문헌분석 및 유아교육 전문가와의 협의과정을 통해 연구도구인 설문지를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유아 공감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유아 공감교육실태’의 2개 범주로 총 1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225명의 유아교사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χ2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감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는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empath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discuss the way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empathy education for.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literature, research and arrangements with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2 items of 17 questions.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25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empath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inally, ways to promote efficiency of empath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유아공감교육, 공감, 공감능력
early childhood empathy education, empathy, empathy ability

  • 1. [학위논문] 강민주 / 2010 /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과 유아의 공감능력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 2.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12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6호 / 교육과학기술부
  • 3.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 2012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16호 / 교육과학기술부
  • 4. [학술지] 권정윤 / 2013 / 유아를 위한 비폭력 의사소통 프로그램이또래유능성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육연구 / 33 (1) : 361 ~ 1 kci
  • 5. [학술지] 권수영 / 2013 / 기독(목회)상담에서의 공감 : 성육신의 목회 신학적 성찰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10 : 107 ~
  • 6. [학위논문] 김경미 / 2011 / 공감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7. [학술지] 김광수 / 2008 / 초등학생 용서 능력 증진을 위한 공감교육 프로그램 개발 / 교육학연구 / 46 (4) : 207 ~ 4 kci
  • 8. [학술지] 김광수 / 2009 /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초등교육연구 / 22 (4) : 275 ~ 4 kci
  • 9. [학위논문] 김나원 / 2014 /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 친사회적 행동,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10. [학위논문] 김미정 / 2011 /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의 유치원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 11. [단행본] 김붕년 / 2012 / 아이의 친구관계, 공감력이 답이다 / 조선액북조선매거진
  • 12. [학술지] 김은주 / 2011 /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의 유치원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 교사교육연구 / 50 (3) : 119 ~ 3 kci
  • 13. [학위논문] 김지영 / 2013 / 일상적 내러티브를 활용한 유아 극화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14. [학위논문] 김창순 / 2013 / 공감능력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 15. [학위논문] 김해연 / 2009 /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16. [학위논문] 김현아 / 2004 / 주제환상극놀이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감정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 17. [학위논문] 김효정 / 2005 / 타인이해를 돕는 주제환상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 18. [단행본] 류지성 / 2012 / 마음으로 리드하라 : 공감을 부르는 리더십 / 삼성경제연구소
  • 19. [학위논문] 문보숙 / 2004 / 동화를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 20. [학술지] 문연심 / 2004 / 부모-자녀관계 유형이 유아의 공감과 조망수용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연구 / 24 (1) : 115 ~ 1 kci
  • 21. [학위논문] 박동화 / 2012 / 아동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에서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22. [단행본] 박성희 / 2014 / 인간관계의 필요충분조건 : 진정성 수용 공감 / 학지사
  • 23. [학위논문] 박지선 / 2014 / 유아 세계시민교육이 유아의 세계시민의식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24. [학위논문] 박현정 / 2009 / 게임 중심 공감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친사회적 행동과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
  • 25. [학술지] 서현 / 2014 / 그림책을 활용한 마음이해 활동이유아의 공감능력과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육연구 / 34 (5) : 55 ~ 5 kci
  • 26. [학술지] 성지현 / 2015 /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과 발달 수준 및 공감 능력과의 관계 탐색 / 유아교육연구 / 35 (2) : 369 ~ 2 kci
  • 27. [학술지] 송수희 / 2013 / 유아의 공감능력과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 열린유아교육연구 / 18 (6) : 313 ~ 6 kci
  • 28. [학위논문] 송희원 / 2002 / 사회적 역할놀이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29. [학위논문] 유아영 / 2012 / 드라마 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 능력에 미치는 효과
  • 30. [단행본] 유은정 / 2010 / 아이의 마음을 여는 공감대화 / 푸른육아
  • 31. [학술지] 이복순 / 2010 / 독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 능력과 장애아동에 대한 또래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2) : 195 ~ 2 kci
  • 32. [학술지] 이석순 / 1999 / 유아의 공감 발달을 위한 방안연구 / 한국영유아보육학 / 19 : 239 ~
  • 33. [학위논문] 이융희 / 2014 / 초등학생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뮤지컬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 34. [학위논문] 이정선 / 2010 / 인지행동치료 집단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충동성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 35. [학위논문] 임지희 / 2011 / 유아의 공감 및 친사회적 도덕 추론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 36. [학위논문] 임현정 / 2012 / 부모의 애착과 공감이 유아의 마음읽기와 공감에 미치는 영향
  • 37. [학위논문] 장옥남 / 2004 /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 및 감정이입능력에 미치는 효과
  • 38. [학술지] 장상임 / 2014 / 동화를 활용한 상담 프로그램이 기능적 결손가정 아동의 또래갈등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열린교육연구 / 22 (3) : 183 ~ 3 kci
  • 39. [학위논문] 조기영 / 2014 /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40. [학술지] 조은진 / 2012 / 공감중심의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고찰 / 사회과학총논 / 19 : 219 ~
  • 41. [학술지] 지성애 / 2011 / 손인형 극화활동이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육학논집 / 15 (2) : 447 ~ 2 kci
  • 42. [학술지] 최미숙 / 2010 /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의 발달 특징 및 공감능력과의 관계 / 열린유아교육연구 / 15 (6) : 255 ~ 6 kci
  • 43. [학위논문] 한경인 / 2014 / 초등교육과정에 삽입된 공감향상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공감능력 및 공격행동과 통합학급의 학급풍토에 미치는 영향
  • 44. [학술지] 한영숙 / 2008 / 부-자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불안애착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부의 공감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열린유아교육연구 / 13 (4) : 123 ~ 4 kci
  • 45. [단행본] 한국교육개발원 / 2012 / 학교 폭력 조사현황과 과제 / 한국교육개발원
  • 46. [학위논문] 허영진 / 2004 / 장애 유아와의 통합교육이 유아의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47. [학위논문] 허혜진 / 2011 / 공감적 행동 인지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48. [학위논문] 현지영 / 2013 /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 49. [학술지] Batson, C. D. / 1990 / How social an animal? : The human capacity for caring / American Psychologist / 45 : 336 ~
  • 50. [학술지] Barnett, M. / 1980 / Empathy in Young Children : Relation to parents’ Empathy, Affection and Emphasis on the Feelings of others / Developmental Psychology / 16 : 243 ~
  • 51. [단행본] Bettelheim, Bruno / 1987 / A Good Enough Parent : A Book on Child-rearing / Alfred A. Knopf
  • 52. [학술대회] Bell, I. / 1982 / Parental validation as a mediator in adolescent development / Paper presented at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53. [단행본] Covey, Stephen / 2004 / The Seven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 / Simon and Schuster
  • 54. [단행본] Davis, M. H. / 1994 / Empathy: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 Brown and Benchmark
  • 55. [학술지] Eisenberg, N. / 1980 / Altruism and the assessment of empathy in the preschool years / Child Development / 51 : 552 ~
  • 56. [학술지] Feshbach, N. D. / 1995 / Parent Empathy : A key Element in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 Advances in Early Education and Day Care / 7 : 3 ~
  • 57. [단행본] Feuerstein, R. / 2001 / Taxonomy of Basic Concepts, Adaptive Behaviors and skills, and Primary cognitive Behaviors / ICELP Press
  • 58. [학술지] Guzzetta, R. A. / 1974 / Acquisition and transfer of empathy by the parents of early adolescents though structred learning training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 23 : 449 ~
  • 59. [단행본] Hildebrand, V. / 1981 /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 Macmillan publishing Co. Inc
  • 60. [단행본] Hoffman, M. L. / 1987 / Empathy and its development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47 ~
  • 61. [단행본] Hoffman, M. L. / 2001 / 공감과 도덕발달: 배려와 정의를 위한 함의들 / 철학과 현실사
  • 62. [단행본] Howe, D. / 2013 / 공감의 힘 / 지식의 숲
  • 63. [단행본] Rifkin, Jeremy / 2010 / 공감의 시대 / 민음사
  • 64. [단행본] Gordon, Mary / 2010 / 공감의 뿌리 / 샨티
  • 65. [학술지] Miller, P. A. / 1988 / The relation of empathy to aggressive and externalizing/antisocail behavior / Psychological Bulletin / 103 : 324 ~
  • 66. [단행본] Paul R. Ehrlich / 2010 / Humanity on a tightrope thoughts on empathy, family and big changes for a viable future / Rowman & Little field Publishers
  • 67. [단행본] Piaget, J. / 1932 / The Moral judgment of the child / Trench Trubner
  • 68. [단행본] Smilansky, S. / 1968 / The effects of sociodramatic play on disadvantaged preschool children / John Willy
  • 69. [학술지] Strayer, M. / 1989 / Children’s Empathy and role Taking: Child and parental Factor, and Relations to Prosocial Behavior /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 Psychology / 10 : 227 ~
  • 70. [학술지] Trommsdorf, G. / 1991 / Child-Rearing and Children’s Empathy / Perceptual and Motor Skills / 72 : 3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