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유아와 어머니의 성격 강점 특성 및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Character strength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child care center adjustment

유아교육연구
약어 : -
2015 vol.35, no.6, pp.135 - 155
DOI : 10.18023/kjece.2015.35.6.007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유아교육학회
235 회 열람

본 연구는 유아와 어머니의 대표 강점 유형이 어떠하며,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라 유아의성격 강점이 어떠한지, 그리고 어머니의 연령과 취업여부에 따라 어머니의 성격 강점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유아와 어머니의 성격 강점이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만 4-6세 유아와 어머니 446쌍이었다. 유아의 성격강점은 어머니가 자녀의 성격 강점에 대해 자유롭게 기술한 내용을 VIA(Values in Action) 분류체계에 따라 범주화하였고, 어머니의 성격 강점은 VIA-72 (Peterson & Park, 2009; Peterson & Seligman, 2004)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은 유아용 어린이집 적응 평정척도(박영아, 엄서영, 2012)를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대표 강점은 사회성, 친절, 사랑, 희망, 인내였으며, 어머니의 대표 강점은 진실성, 공정성, 사랑, 감사, 친절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연령이 증가하면서 개방성, 사랑, 자기조절, 심미안, 희망이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호기심, 인내, 시민의식은 남아가 더 많이나타내는 반면 개방성, 사회성은 여아가 더 많이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어머니의 연령에따라서는 개방성, 학구열, 인내, 진실성, 영성에서 연령이 높은 어머니가 연령이 낮은 어머니보다 높게 나타났다. 어린이집 적응과 관련 있는 성격 강점은 유아의 경우 개방성, 사회성, 리더십이었고, 어머니의 경우 진실성, 친절, 공정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defines signature strength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analyzes how character strengths of young children vary depending on their age and gender as well as how character strengths of mothers differ from their age and working status. Eventually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young children’s child care center adjustment. The participants were 446 pairs of young children aged 4 to 6 and their mothers. The character strengths of young children were categorized by VIA (Values in Action) classification, based on free descriptions given by their mothers. The character strengths of the mothers were measured using VIA-72 (Peterson & Park, 2009; Peterson & Seligman, 2004), and child care center adjustment was measured by rating scale for child care center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Park & Eom, 2012). As a result, the signature strengths of the young children were social intelligence, kindness, love, hope, and persistence, while those of mothers were integrity, fairness, love, gratitude, and kindness. As young children get old, their open-mindedness, love, self-regulation, appreciation of beauty and excellence, and hope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s, the boys showed more curiosity, persistence, and citizenship, whereas the girls showed more open-mindedness and social intelligence. With regard to the age of the mothers, the older ones showed more open-mindedness, love of learning, persistence, integrity, and spirituality than the younger ones. In case of the children, the character strengths related to child care center adjustment were open-mindedness, social intelligence, and leadership, while those were integrity, kindness, and fairness as for the mothers.

성격 강점, 대표 강점, 어린이집 적응
character strengths, signature strengths, Values in Action, child care center adjustment

  • 1. [학술지] 김성숙 / 2015 /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육아 과정에서 경험하는 행복의 의미 / 유아교육연구 / 35 (4) : 357 ~ 4 kci
  • 2. [학술지] 김영희 / 2008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 - 유아관계가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46 (5) : 73 ~ 5 kci
  • 3. [학술지] 김지영 / 2013 / 성격강점의 인식과 활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32 (4) : 783 ~ 4 kci
  • 4. [학술지] 김현정 / 2014 / 성격강점 및 덕목 그리고 행복 간 관계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11 (1) : 317 ~ 1 kci
  • 5. [학술지] 문용린 / 2008 / 부모가 지각한 아동의 성격강점 및 덕목 분석 / 인간발달연구 / 15 (4) : 17 ~ 4 kci
  • 6. [학술지] 박영아 / 2012 /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평가를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한국영유아보육학 / 70 (70) : 33 ~ 70 kci
  • 7. [학술지] 박영아 / 2014 / 한국과 중국 부모가 지각한 유아의 성격강점 비교 분석 / 유아교육연구 / 34 (6) : 327 ~ 6 kci
  • 8. [학술지] 서현아 / 2013 / 유아교사의 성격 강점이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학논집 / 17 (1) : 435 ~ 1 kci
  • 9. [단행본] 성태제 / 2007 / 현대 기초통계학의 이해와 적용 / 교육과학사
  • 10. [학술지] 윤성민 / 2012 / 한국 수도권 중년여성들의 성격적 강점과 행복과의 관계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24 (1) : 27 ~ 1 kci
  • 11. [학술지] 이유미 / 2014 / 한국과 일본 예비유아교사의 성격 강점과 행복감에 대한 비교 연구 / 아시아문화연구 / 36 : 115 ~ kci
  • 12. [학술지] 이진숙 / 2004 / 유아의 어머니, 교사, 또래와의 관계와 보육시설 적응간의 관련성 / 열린교육연구 / 12 (2) : 217 ~ 2 kci
  • 13. [학술지] 임말자 / 2003 / 유아의 성, 연령, 기질 및 가정환경자극과 유아교육기관적응과의 관계 / 유아교육연구 / 23 (1) : 189 ~ 1
  • 14. [학술지] 임영진 / 2012 / 성격강점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31 (3) : 713 ~ 3 kci
  • 15. [학위논문] 최연화 / 2014 / 유아기 어머니의 성격강점,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
  • 16. [학술지] 현온강 / 2000 / 보육환경의 질과 영유아의 적응-인천시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지 / 38 (3) : 25 ~ 3
  • 17. [학술지] Coplan, R. J. / 2003 / Parenting daily hassles, child temperament, and social adjustment in preschool /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 18 : 376 ~
  • 18. [학술지] Entwisle, D. / 1993 / Entry into school : The beginning school transition and educational stratification in the United States / Annual Review of Sociology / 19 : 401 ~
  • 19. [학술지] Ewing, A. R. / 2009 / The role of child gender and ethnicity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and children’s behavior adjustment in preschool /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 24 : 92 ~
  • 20. [단행본] Holder, M. D. / 2012 / Happiness in children: Measurement, correlates and enhancement of positive well-being / Springer
  • 21. [학술지] Kashdan, T. B. / 2002 / Hope and optimism as human strengths in parents of children with externalizing disorders : Stress in the eye of the beholder /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 21 : 441 ~
  • 22. [학술지] Loker, T. / 2012 / Adopted chinese gilrl’s character strengths from preschool to school age : A longitudinal exploratory study / Michigan Family Review / 16 : 38 ~
  • 23. [단행본] Park, N. / 2005 / What do children need to flourish?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indicators of positive development / Springer : 13 ~
  • 24. [학술지] Park, N. / 2006 / Moral competence and character strengths among adolescents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Values in Action Inventory of Strengths for Youth / Journal of Adolescence / 29 : 891 ~
  • 25. [학술지] Park, N. / 2006 / Character strengths and happiness among young children : Content analysis of parental descriptions /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 7 : 323 ~
  • 26. [학술지] Park, N. / 2004 /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 23 : 603 ~
  • 27. [단행본] Peterson, C. / 2009 / Oxfor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 Oxford University Press : 25 ~
  • 28. [단행본] Peterson, C. / 2004 /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 29. [단행본] Seligman, M. E. P. / 2014 /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 물푸레
  • 30. [학술지] Shimai, S. / 2006 / Convergence of character strengths in American and Japanese young adults /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 7 : 311 ~
  • 31. [학술지] Shoshani, A. / 2012 / The pillars of strength for first-grade adjustment-Parental and children’s character strengths and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 7 : 315 ~
  • 32. [학술지] Toner, E. / 2012 / Character strengths and wellbeing in adolescence : Structure and correlates of the Values in Action Inventory of Strengths for Children /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 52 : 6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