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중재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행동증상, 타이밍, 및 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Interactive Metronome Intervention on Behavior Symptoms, Timing, and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ADHD

첫 페이지 보기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dified Interactive Metronome (IM) program which is applicable to clinical practice based on the IM protocol on the behavioral symptoms, timing and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 : This study used one-group pretest-posttest research design. 13 ADHD children aged 7-12 years in Busa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underwent 24 sessions of 30 minutes intervention, 3 times a week. Evaluation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Measure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Korean-ADHD Rating Scale for behavior symptom, Long Form Assessment (LFA) for the timing, and second version of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BOT-2) for the motor function.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hyperactivity / impulsivity among the behavioral symptom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iming, hand coordination, and body coordination. Conclusion : Modified IM program for clinical applicat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behavioral symptoms, timing and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ADHD.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에게 사용되는 상 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임상에 적용 가능하도록 수정된 IM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행동증상, 타이밍 및 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부산 소재의 기초정신건강증진센터 내에 있는 7-12세의 ADHD 아동 13명을 대상으로 단일 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다. 중재는 회당 30분, 주 3회, 24회기 동안 실시하였 으며, 중재 전과 후의 행동증상, 타이밍 및 운동기능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부모보고형 한국어판 ADHD 평정척도, IM의 Long Form Assessment(LFA),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2판(BOT-2)을 사용하였다. 결과 : 행동증상 중 과잉행동/충동성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고, 타이밍과 손의 협응 및 신체협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향상이 있었다. 결론 : 임상에 적용 가능하도록 수정된 IM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행동증상을 개선하고, 타이밍 및 운동기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과정
4. 분석 방법
Ⅲ. 결과
1. IM의 행동증상에 대한 효과
2. IM의 타이밍에 대한 효과
3. IM의 운동기능에 대한 효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ppendix 1. Interactive Metronome program
Abstract

저자

  • 구기쁨 [ Gu, Kippeum |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 강제욱 [ Kang, Jewook | 부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 이수민 [ Lee, Soomin | 도담 통합발달센터 ]
  • 김경미 [ Kim, Kyeong-Mi | 인제대학교 보건의료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 교신저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설립연도
    1996
  • 분야
    의약학>작업치료학
  • 소개
    학회는 1996년 부터 감각통합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정 개발과 아이들을 위한 "감각통합 Camp", 부모 및 전문가 교육 실시, 학회지 발간 등을 통해 감각통합 전문가들의 지적 능력 향상과 연구를 통한 감각통합의 근거를 마련하였을 뿐 아니라 아이들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에 기여하였습니다. 학회는 감각통합의 "전문성의 일반화"와 "세계속의 한국화"를 Vision 2022로 세우고 국내 감각통합전문가 과정을 시작하였습니다. 현장에서 필요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임상교육 및 슈퍼바이저 교육을 더욱 강화하였고, 깊이 있는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연구과제 지원을 확대하였습니다. 또한 세계 여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국제적인 교육 개최 및 교류를 통해 우리나라의 감각통합을 발전, 확대하고자 합니다.

간행물

  • 간행물명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 간기
    연3회
  • pISSN
    1738-0405
  • eISSN
    2384-115X
  • 수록기간
    2003~2023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513 DDC 616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제15권 제2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