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잊혀진 교육전통, 전심(傳心): 주자학과 불교의 심법(心法) 전승 전통과 교육

'Transmission of Heart-mind' as a Forgotten Educational Tradition: Neo-Confucian and Buddhist Xinfa Tradition and education

교육사학연구
약어 : History of Education
2012 vol.22, no.2, pp.113 - 148
DOI : 10.18105/hisedu.2012.22.2.005
발행기관 : 교육사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교육사학회
171 회 열람

이 논문은 한국교육의 과거를 이끈 주요 사상이었던 주자학과 불교가 교육의 요체를 ‘전심(傳心)’, 즉 마음을 전하는 일로 보았다는 점을 밝히고, 나아가 현대 교육이 그 전통과 어떤 양상으로 단절되어 있는가를 설명하고자 했다. 주자학과 불교가 보여주는 전심의 교육은 내용적으로 마음(心)의 이해 및 실현방법으로서의 심법(心法)의 습득과 전수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 전심의 메시지를 통해, 교육은 무엇보다 마음에 주목하는 일이라는 점, 그리고 그 마음은 의식 차원만이 아니라 초의식 차원을 포괄하고 있고 있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마음의 이해 및 실현방법으로서의 심법을 계발하고 전수하는 일이 교육적으로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주자학과 불교의 전심의 교육전통은 한국의 현대 교육이 육성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내면세계의 범위 및 성격, 가르침과 배움의 본질 및 내용에 대해 근본적이고 전환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준다.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Neo-Confucianism and Buddhism, the main traditional philosophies of pre-modern Korea, regard the key point of education as transmission of heart-mind(xin, 心), and further manifests how modern education is disconnected from those educational tradition. The transmission of heart-mind in Neo-Confucianism and Buddhism implies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xinfa(心法) as the method of understanding and realizing the heart-mind. Neo-Confucian and Buddhist message in the transmission of heart-mind informs us that education is the task to focus on the heart-mind, first of all; next, the heart-mind comprehends not only sub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levels but also superconsciousness level; finally, it is important educationally to develop and transmit the method of understanding and realizing heart-mind. The educational tradition of transmission of heart-mind enable one to retrospect the scope of learners' inner world as educational subject, and the nature or contents of the instruction and learning, in modern education cultures.

전심(傳心), 심법(心法), 주자학, 불교, 마음, 마음교육, 교육전통
transmission of heart-mind, xinfa, Neo-Confucianism, Buddhism, educational tradition

  • 1. [기타] / 中庸章句
  • 2. [기타] / 大學章句
  • 3. [기타] / 大學或問
  • 4. [기타] / 孟子集注
  • 5. [기타] / 朱子語類
  • 6. [기타] / 朱熹集
  • 7. [기타] / 心經附註
  • 8. [기타] / 牧隱文藁
  • 9. [기타] / 退溪全書
  • 10. [기타] / 栗谷全書
  • 11. [기타] / 南冥集
  • 12. [단행본] 東國大韓國佛敎全書編纂委員會 / 2001 / 韓國佛敎全書 / 東國大出判部
  • 13. [단행본] 元曉 / 1991 / 大乘起信論疏 / 일지사
  • 14. [단행본] 普遇 / 1991 / 太古集 / 세계사
  • 15. [단행본] 知訥 / 1987 / 보조국사전서 / 고려원
  • 16. [단행본] 心載烈 / 2007 / 普照法語 / 普成文化社
  • 17. [단행본] 윤홍식 / 2007 / 수심결 강의 / 봉황동래
  • 18. [기타] / 禪家龜鑑
  • 19. [기타] / 儒家龜鑑
  • 20. [단행본] 배규범 / 2003 / 선가귀감 / 예문서원
  • 21. [단행본] 休靜 / 1973 / 禪家龜鑑/西山大師集 / 대양서적
  • 22. [단행본] 鏡虛禪師 / 1999 / 禪門撮要 / 민족사
  • 23. [단행본] 贊寧 / 1987 / 宋高僧傳 / 中和書局
  • 24. [단행본] 慧皎 / 1992 / 高僧傳 / 中和書局
  • 25. [단행본] 야나기다 세이잔 / 1988 / 臨濟錄 / 고려원
  • 26. [단행본] 淸華 / 2003 / 六祖壇經 / 광륜출판사
  • 27. [기타] / 老子
  • 28. [단행본] 고영섭 / 1997 / 원효 / 한길사
  • 29. [단행본] 김종석 / 1999 / 심경강해 / 이문출판사
  • 30. [학술지] 안경식 / 2010 / 한국 고대교육사 연구와 불교 지성으로서 고승 / 종교교육학연구 / 33 : 191 ~ kci
  • 31. [단행본] 예문동양사상연구원 / 2002 / 원효 / 예문서원
  • 32. [단행본] 예문동양사상연구원 / 2002 / 지눌 / 예문서원
  • 33. [단행본] 정재걸 / 2010 / 오래된 미래교육 / 살림터
  • 34. [학술지] 정혜정 / 2012 / 서산 휴정의 삼교(三敎)결합의 심성 이해와 마음도야 / 한국교육사학 / 34 (2) : 123 ~ 2 kci
  • 35. [단행본] 한형조 / 2009 / 심경: 주자학의 마음훈련 매뉴얼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 36. [단행본] 홍원식 / 2007 / 조선시대 심경부주 주석서 해제 / 예문서원
  • 37. [단행본] 홍원식 / 2008 / 심경부주와 조선유학 / 예문서원
  • 38. [학술지] 황금중 / 2001 / 퇴계의 공부론과 『성학십도』 / 한국교육사학 / 23 (2) : 321 ~ 2
  • 39. [학술지] 황금중 / 2002 / 栗谷의 工夫論과 『聖學輯要』 / 한국교육사학 / 24 (1) : 303 ~ 1 kci
  • 40. [학술지] 황금중 / 2002 / 성리학에서의 소학·대학 교육과정론: 주자·퇴계·율곡의 견해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과 문화 / 17 : 353 ~
  • 41. [단행본] 황금중 / 2006 / 조선중기 사림파의 교육사상과 실천, In 한국유학사상대계Ⅴ-교육사상편 / 한국국학진흥원 : 353 ~
  • 42. [학술지] 황금중 / 2007 / 남명의 공부론, 어떻게 주자학적인가? / 한국교육사학 / 29 (2) : 231 ~ 2 kci
  • 43. [학술지] 황금중 / 2008 / 「심경부주」를 통해 본 주자학적 배움의 성격 / 교육철학연구 (43) : 191 ~ 43 kci
  • 44. [단행본] de Bary, Wm. T. / 1989 / The Message of the Mind in Neo-Confucianism / Columbia University Press
  • 45. [단행본] Wilber, Ken / 2007 / 감각과 영혼의 만남 / 범양사
  • 46. [단행본] Wilber, Ken / 2008 / 통합심리학 /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