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일반적으로 김구는 해방에서 분단에 이르는 건국 과정 동안 일관된 민족주의, 자주, 이상주의, 통일 노선의 표상으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 해석은 자주 대 외세, 민족 대 반민족, 분단 대 통일, 현실과 도덕의 양분법에 입각하여 해석해왔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동시에 김구가 말하는 바를 일차자료를 통해 재구성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이분법을 넘는 동시에 일차 자료에 바탕해 분석한 결과 권력의지, 현실성, 정치연합, 선거거부주의와 같은 보편적 준거를 적용할 때 자주, 민족주의, 반공, 통일 중 어느 하나의 단일표제로서 김구의 정치노선을 규정하기는 불가능하다. 건국 시기 동안 김구의 건국 노선은 임정봉대론, 반공반탁론, 단독정부론, 남북협상론, 양군철퇴론으로 매우 빠르게 변화하였다. 김구는 특정 국면과 상황에서 누구보다도 선명하게 단일 표제주의를 추구하였지만 상황의 변화와 함께 또 다른 선명한 단일표제주의를 추구하는 자기부정과 전환을 수차 감행하였다. 특히 그는 1946년 초 가능의 국면에서는 권력독점을 추구하여 주권회수와 북한 공산주의 지도자들에 대한 폭력적 제거를 시도하여 좌우 분열을 최고조로 강화시켰다가 1948년 권력 상실의 시점에서 갑자기 공산주의자와의 연대를 추구하며 선거거부주의를 결행하였다. 반공에서 연공으로, 건국에서 통일 노선으로, 제도건설에서 참여거부로의 급격한 전환이었다. 김구는 남북협상을 추구하기 직전까지 남한 단독정부를 추구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일정부라고까지 정당화하였고, 이승만과의 동일 노선을 강조하였다. 이 과정에서 나타난 김구 건국 노선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들은 자주성의 추구 및 국제성의 결여, 이상주의, 그리고 권력의지와 정치연합 대상의 빠른 변화였다. 특별히 한국문제의 국제적 지역적 본질에 대한 이해의 결여는 그가 추구하는 자주 노선의 이상성을 높인 대신 현실성을 크게 낮추었다. 이는 목적윤리의 추구, 책임윤리의 결여로 요약 가능한 것이었다. 또한 권력의지 문제에 비추어 김구는 권력의 독점, 또는 우파 내의 상당 지분을 추구하다가 패배로의 귀결이 명확해진 순간 정치연합의 대상을 이승만에서 공산주의자들로 전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동시에 선명했던 반공노선을 중단하고 연공으로 전환하였다. 즉 김구의 경우는 이상주의의 전형이 아니라 그것이 어떻게 권력의지와 연결되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였다. 김구의 사례는 한국 민족주의 이상의 한 실패사례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짧은 시기 동안 계속 변화한 단일표제주의를 넘어 그의 건국노선을 균형적으로 해석하여 자유, 평등, 인권, 민주주의와 같은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어떻게 통일을 추구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가려배울 것인가가 현금의 한국민족주의 앞에 놓여있는 중요한 과제라고 하겠다. 그리고 이것이야말로 김구 및 김구민족주의에 대한 오늘의 연구가 갖는 의미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김구, 대한민국, 민족주의, 국가건설, 이상성, 권력의지, 단일표제주의

참고문헌(40)open

  1. [단행본] 백범 김구 전집 편찬위원회 1-12권 / 1999 / 김구 전집 / 대한매일신보사

  2. [단행본] 백범정신선양회 / 1992 / 백범일지 / 하나미디어

  3. [단행본] 백범사상연구소 / 1973 / 백범어록 / 사상사

  4. [단행본] 송건호 / 1980 / 김구 / 한길사

  5. [단행본] 엄항섭 / 김구주석 최근 언론집 / 출판사항 미상

  6. [단행본] 국사편찬위원회 / 1974 / 자료 대한민국사 제6권

  7. [단행본] 김남식 / 1986 / 한국현대사자료총서 7권 / 돌베게

  8. [단행본] 민주주의 민족전선 / 1946 / 조선해방 1년사 / 문우인서관

  9. [단행본] / 1996 / 빨치산 자료집 6권 /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0. [기타] U.S. Department of State / 1977 /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FRUS), Vol.Ⅷ / USGPO

  11. [단행본] 서울시 임시인민위원회 문화선전부 / 1989 / 政黨社會團體登錄綴 / 한국안보교육협의회

  12. [기타] National Archives(NA) / 1946 / 팟쇼∙반민주분자의 정체

  13. [기타] NA / 1948 / 순간 북조선 통신

  14. [학술지] NA / 1948 / 절대비밀 / 정세순보 (17)

  15. [기타] / 레베데프 비망록

  16. [기타] / 경향신문

  17. [기타] / 동아일보

  18. [기타] / 서울신문

  19. [기타] / 조선일보

  20. [기타] / 해방일보

  21. [기타] / 새한민보

  22. [기타] / 조선인민보

  23. [단행본] 고당전∙평양지 간행회 / 1966 / 고당 조만식 / 평남민보사

  24. [단행본] 박명림 / 1996 /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II / 나남출판

  25. [단행본] 서중석 / 1992 /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 역사비평사

  26. [단행본] 송남헌 / 1985 / 해방3년사 / 까치

  27. [단행본] 신우철 / 2008 / 비교헌법사-대한민국입헌주의의 연원 / 법문사

  28. [단행본] 조소앙 / 1979 / 소앙선생문집 하 / 횃불사

  29. [단행본] 조규하 / 1987 / 남북의 대화 / 고려원

  30. [단행본] Hobsbawm, Eric / 1990 / Nations and Nationalism since 1780 /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단행본] Przeworski, Adam / 1985 / Capitalism and Social Democracy / Cambridge University

  32. [단행본] 김성보 / 1995 / 소련의 대한정책과 북한에서의 분단질서 형성,1945-46 in:<<분단 50년과 통일 시대의 과제>> / 역사비평사

  33. [학술지] 서희경 / 2007 / 남한과 북한 헌법 제정의 비교 연구(1947-1948): 한국 근대국가와 입헌주의의 탄생, ‘진정한 민주주의’를 향한 두 가지의 길 / 한국정치학회보 41 (2) : 47 ~ 75

  34. [학위논문] 윤경섭 / 1996 / 1948년 북한헌법의 제정배경과 그 성립

  35. [학술지] 전재호 / 2007 / 해방 이후 김구의 정치이념과 자유주의 / 신아세아 14 (3) : 103 ~ 124

  36. [학술지] 정경환 / 2008 / 백범김구의 문화국가론에 관한 연구 / 한국동북아논총 13 (47) : 101 ~ 125

  37. [학술지] 鄭秉峻 / 2005 / 백범 김구암살 배경과 백의사 / 한국사연구 (128) : 257 ~ 296

  38. [학술지] 정병준 / 2006 / 미국 자료를 통해 본 백범 김구 암살의 배경과 미국의 평가 / 역사와 현실 (61) : 313 ~ 346

  39. [학술지] 최장집 / 1989 / 이탈리아공산당의노선분석 / 경제와사회 2 (1)

  40. [단행본] Li, Gong / 2005 / The Difficult Path to Diplomatic Relations: China’s U.S.Policy, 1972-1978 in Normalization of U.S. - China Relations: An International History / Harvard Univ. Asia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