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trospective Medical Charts Review of 459 Neck Pain Inpatients in Korean Medicine Hospital

경항통으로 한방병원에 입원치료한 환자 459명에 대한 후향적 연구

  • Huh, Gun (Depart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Oh, Min-Seok (Depart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허건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오민석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Received : 2015.03.17
  • Accepted : 2015.04.04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n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Korean medicine hospital due to neck pain. Methods Four hundred fifty nine neck pain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Cheonan Korean Medicine Hospital, Dae-jeon University from 1st, January, 2013 to 31th, December, 2013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ccording to medical charts. Results In this study, people in their 30s, females, within 0~2 weeks after onset, motivated by traffic accident, diagnosed with neck sprain, with no medical history related to neck pain, underwent outpatient treatment at medical institutions, took the highest percentage from each category of patients who admitted to Korean Medicine Hospital due to neck pain. In most (78.77%) of the patients, symptoms were more than improved. Conclusions Neck pain inpatients in Korean medicine hospital, it is difficult to find tendency. This study suggests the characteristics of neck pain in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in Koean medicine hospital.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화, 김효은, 조명제, 김태우, 윤기붕, 김은영. 연부조직 손상으로 인한 경항통 환자의 봉약침 치료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2;19(6):68.
  2. Rubin DI. Epidemiology and rick factors for spine pain. Neruologic Clinics. 2007:353-71.
  3. 손명세, 김종대. 2013년 건강보험 통계연보. 서울: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4
  4. Poterfield JA, DeRosa C. 머리, 목, 어깨의 통증과 치료. 서울:지성출판사. 1998:1-2, 16-8.
  5. 정종도, 노상철. 장기간의 전신진동, 부적절한 작업자세와 관련된 경추부 추간판탈출증. 대한산업의학회지. 2009;21(4): 396-405.
  6. 엄수현. 박동현. 스마트폰 사용 특성이 사용자의 인체적 이상증상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7. 이재훈, 김준수, 양기영, 한상엽, 이차로, 신홍균. 교통사고 후 발생한 경항통에 대한 약침과 추나의 치료효과 비교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2;22(1):75-83.
  8. 전현정, 김성환, 김지현, 이세민, 신화영, 이윤규, 이봉효, 정태영, 김재수, 이경민, 임성철. 교통사고로 유발된 경항 통 환자 197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10; 27(2):143-54.
  9. 유영진, 선승호, 이연희, 최가영, 이선주, 이광호. 경항통 환자에 대한 경추 협척혈 치료 29례. 대한침구학회지. 2010;27(4):239-45.
  10. 송영상, 김경남, 김융기, 임형호. 교통사고로 인한 경항통 환자에 대한 임상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1;12(4): 79-90.
  11. 신정철, 박은주, 나건호, 이동현, 류충열, 윤여충, 채우석, 조명래. 요추부염좌로 진단된 교통사고환자 27례와 비교통 사고환자 33례에 대한 임상적 비교고찰. 대한침구의학회지. 2004;21(3):13-27.
  12. 김기형, 최진봉. 교통사고 환자 51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1;12(4):91-9.
  13. 이지은, 정효근, 류충열, 조명래, 위준, 류미선, 김자영. 교통사고 환자 120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의학회지. 2008;25(6):135-43.
  14.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서울:최신의학사. 2006:946
  15. 문명상, 김인, 한인형, 경추 골극형성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007;8(1):29-38.
  16. 대한GCM연구소. Welcome and introduction to the GCM Basic Course. 2000:2-3, 6-9, 39, 43-6.
  17. 정선희, 박동석, 남상수, 이재동, 최도영, 안병철, 이윤호, 최용태. 항통을 주소로 입원치료한 환자 25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8;15(2):393-406.
  1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3년 진료비통계지표. 서울: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4.
  19. Reginster JY, Khaltaev NG. Introduction and WHO perspective on the global burden of musculoskeletal conditions. Rheumatology. 2002;41(1):1-2. https://doi.org/10.1093/rheumatology/41.S1.1
  20. 이현재, 장선정, 허동석. 한방병원에 입원한 경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치료 및 경제성 평가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3;23(3):159-75.
  21. 장선정, 허동석.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한방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진료비 분석.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2;22(2): 119-32.
  22. 소윤지, 우영근. 목 주위 근육 통증 여부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이 근 피로도와 통증, 목뼈운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4;21(3):28-37. https://doi.org/10.12674/ptk.2014.21.3.028
  23. 신재화, 오민석. 교통사고로 한방병원에 입원한 환자 1,162 명에 대한 후향적 분석.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3; 23(4):233-50.
  24. 황현숙, 김현혜, 신진우, 임정길, 이청, 양홍석 ,이동명. 정형외과 수술 후 통증조절을 위한 진통제 요구량 비교. 대한통증학회지. 2004;17(2):228-33. https://doi.org/10.3344/jkps.2004.17.2.228
  25. 전현정, 김성환, 김지현, 이세민, 신화영, 이윤규, 이봉효, 정태영, 김재수, 이경민, 임성철. 교통사고로 유발된 경항통 환자 197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10;27(2):143-54.
  26. 김상돈, 김미영, 임양의, 이수영, 신병철, 권영달, 송용선, 김형군. 경추추간판 탈출증환자의 견인요법과 추나요법의 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1;11(4):39-48.
  27. 문태웅, 강명진, 공덕현, 김준수, 양기영, 이재훈, 은영준, 김기주. 경추 추간판 탈출증을 진단함에 있어 경추부 자기 공명 영상 소견과 비교한 Spurling test의 진단적 타당성에 대한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9;19(2):203-12.
  28. 척추신경추나의학회. 추나의학. 서울:척추신경추나의학회. 2011:130-4.
  29. 임정균, 이진복, 이형걸, 육태한, 김종욱. 소염약침 복합치료가 교통사고로 인한 초기 경추 편타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11;28(4):9-18.
  30. 이은정, 윤일지. 소염약침으로 치료한 복합부위통증증후군 (CRPS) type 1 환자 1례 증례보고.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9;18(1):109-16.
  31. 이형은, 허동석. 추간판 외상성 파열 환자에 대한 소염약침 병행 치험 2례.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1;21(4):241-56.
  32. 어강. 근골격계 질환의 테이핑 요법. 서울:우진출판사. 1999: 3-19.
  33. 대한약침학회 학술위원회. 약침학. 서울:엘스비어코리아. 2011:3-4, 6-8, 19, 143-4, 150, 181-207.
  34. 문자영, 송주현, 임명장, 강인, 이효은, 조재희, 김학재, 장형석. 한의학적 치료로 호전된 경추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영상의학적 변화 5례. 대한침구학회지. 2007;24(5):229-40.
  35. 김태헌, 박원형, 차윤엽. 교통사고 후 발생한 편타 손상 환자에 대한 신바로약침과 중성어혈약침의 치료효과 비교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3;23(4):1-7.
  36.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서울:군자출판사. 2011: 282, 299, 334-5. 341-6
  37. 김상돈, 김미영, 임양의, 이수영, 신병철, 권영달, 송용선, 김형군. 경추추간판 탈출증환자의 견인요법과 추나요법의 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1; 11(4):39-48.
  38. 박종민,이명종. 경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수술 권유를 받은 환자에게 한의학적 치료가 임상증상 및 삶의 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11;6(1):3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