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퍼포먼스 트러블: 퀴어적 전환과 퀴어 공연미학

Performance Trouble: Queer Turn and The Aesthetics of Queer Performance

한국연극학
약어 : KTSA
2018 vol.1, no.68, pp.5 - 49
DOI : 10.18396/ktsa.2018.1.68.001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연구분야 : 연극
Copyright © 한국연극학회
135 회 열람

이 논문의 목적은 퀴어적 전환(Queer Turn)의 새로운 패러다임 하에 한국 퀴어 공연 미학의 성과와 한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공연 미학이 조망하는 정체성의 정치학을 ‘퍼포먼스 트러블’이라는 개념으로 제안하는 것이다. 여기서 퀴어란 광의적 의미에서 이성애 이외의 비규범적 섹슈얼리티, 몸들, 욕망 주체의 포지션의 범주를 가리키는 포괄적인 용어다. 연구대상은 제3회 퀴어연극제 공연인 <자유의 살롱>, <홍은빌라>, 제1회 페미니즘 연극제 중 하나인 <미아리고개예술극장>, 그리고 이태원 트렌스젠더바의 드랙퀸 퍼포먼스다. 본론에서는 우선 이론적 지평과 실제 공연 미학을 검토하는 부분으로 나뉜다. 이론적 지평을 살펴보는 자리에서 섹스, 젠더, 섹슈얼리티, 그리고 퀴어의 개념 관계들을 정리한 뒤 젠더 트러블이 곧 퍼포먼스 트러블임을 밝힌다. 이어지는 실제 공연 미학을 조망하는 부분에서는 각각 해당하는 공연들의 퀴어 미학의 성과를 헤아려본 후 그 한계점을 고찰하고 ‘퍼포먼스 트러블’이라는 정체성의 정치학을 이러한 공연들이 얼마만큼 달성했는지 가늠하려 한다. 성적 정체성의 구성요소가 매끄럽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간격, 모순, 충돌, 공명, 초과, 열림의 감각을 가지고서 위치될 때 퀴어성(Queerness)은 발현된다. 비규범적 섹슈얼리티의 실천들은 분석 범주로서의 젠더의 안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젠더의 의미를 남성성/여성성의 기존 개념으로 한정짓는 관점들을 반박하게 된다. 반복 자체를 가능케 하는 이성애적 젠더의 규범을 어떻게 탈자연적으로 반복하고 또 위치 변경할 것인가와 관련된 실천적 문제에 퀴어의 섹슈얼리티는 개입할 수 있다. 버틀러가 강조한 것처럼 performativity의 퍼포먼스로의 환원은 명백히 오류이지만, performativity와 퍼포먼스, performativity와 연극성의 두 가지 개념은 서로를 지속적으로 비춰주면서 상호 참조 지점으로 기능한다. 규범화된 이성애적 젠더의 규제적 작업에 반대하는 행위, 법을 다르게 반복 인용하는 ‘수행성(performativity)’의 행위를 통해 젠더에 트러블을 내는 사건적 과정은 수행성에 연극성을 담보로 하는 행위적 속성, ‘연행성(performativity)’이 증식하는 과정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즉 젠더 트러블은 ‘수행성’의 행위에 다층적이면서도 기생적이며 비일관적인 ‘연행성’이 분리된 듯 하면서도 깊이 연루되는 과정, 퍼포먼스 트러블의 또 다른 이름이다. 젠더 트러블, 퍼포먼스 트러블을 통한 젠더 정체성의 해체는 정치성의 해체가 아니라 오히려 정체성이 해체되는 관점 자체를 통해 정치성을 확립한다. 바깥에서의 소속감을 확립하고, 방향상실감을 노동자의 상황에 중첩시켜 외재화하며, 음탕한 축제와 신성성의 비애를 섞는 식으로 일단 기존 퀴어 공연은 퀴어성을 형상화하는 데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이 공연들이 젠더 트러블, 퍼포먼스 트러블을 급진적으로 보여줬는지에 대해서는 쉽게 수긍할 수 없다. 우리의 일상 세계는 실은 친숙한 이성애와 낯선 퀴어적 섹슈얼리티가 충돌하는 유동적 경계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성애자와 대립되는 것으로서 퀴어를 동종화하는 일은 금물이다. 그렇게 되면 퀴어는 또 다른 동일 범주의 정체성이 된다. 가독성과 비가독성이 혼재된 세상을 바라보는 견해의 복잡성, 비결정성을 실현할 수 있는 젠더 트러블, 퍼포먼스 트러블이 과연 퀴어 공연에서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 창작 현실의 면에서나 이론과 비평의 면에서나 숙고가 요청된다 하겠다.

드랙, 섹스, 섹슈얼리티, 수행성, 연행성, 장소상실, 젠더, 퀴어
Drag, Performativity, Placelessness, Queer, Sex, Sexuality

  • 1. [학술지] 게이브 실비안 / 2009 / 한국 이반 연극과 지구지역성 - 연극<무화과꽃>을 중심으로 - / 한국현대문학연구 (27) : 509 ~ 27 kci
  • 2. [학술지] 김순남 / 2013 / 이성애 결혼/가족 규범을 해체/(재)구성하는 동성애 친밀성; 사회적 배제와 ‘독립적’ 삶의 모델 사이에서 / 한국여성학 / 29 (1) : 85 ~ 1 kci
  • 3. [학술지] 김지혜 / 2013 / 역사와 기억의 아카이브로서 퀴어 생애: 『나는 나의 아내다』(I Am My Own Wife) 희곡과 공연 분석 / 여성학논집 / 30 (2) : 205 ~ 2 kci
  • 4. [단행본] 마델, 애슐리 / 2017 / LGBT+ 첫걸음 / 봄알람
  • 5. [학술지] 믹다시, 마야 / 2016 / 퀴어 이론과 영구적인 전쟁 / 문학과 사회 / 29 (4) : 119 ~ 4
  • 6. [단행본] 버틀러, 주디스 / 2008 / 젠더 트러블 / 문학동네
  • 7. [인터넷자료] 아장맨 / 내가 드랙(Drag)을 하는 이유, ’드랙킹‘ 퍼포머의 정체성
  • 8. [인터넷자료] 오혜진 / [‘여성-창작’을 말하다] 작은 체구의 광기어린 남자를 연기하는 희열
  • 9. [학술지] 전연희 / 2004 / 퀴어연극에 나타난 전통의 수용과 도전: 존 립킨(Joan Lipkin)의 Small Domestic Acts / 현대영미드라마 / 17 (2) : 147 ~ 2 kci
  • 10. [단행본] 전준택 / 2008 / 퀴어미학 : 공연문화 퀴어읽기 / 고려대학교 출판부
  • 11. [단행본] 핼버스탬, 주디스 / 2015 / 여성의 남성성 / 이매진
  • 12. [단행본] Ahmed, Sara / 2006 / Queer Phenomenology : orientations, objects, others / Duke University Press
  • 13. [단행본] Butler, Judith / 1990 / Performing Feminisms : Feminist Critical Theory and Theatre /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270 ~
  • 14. [단행본] Butler, Judith / 2013 / The Routledge queer studies reader / Routledge : 18 ~
  • 15. [단행본] Case, Sue-Ellen / 2009 / Feminist and queer performance : critical strategies / Palgrave Macmillan
  • 16. [단행본] Fischer-Lichte, Erika / 1992 / semiotics of theater / Indiana University Press
  • 17. [단행본] Freeman, Elzabeth / 2007 / A companion to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queer studies / Blackwell : 295 ~
  • 18. [단행본] Garber, Marjorie / 1993 / Vested interests : cross-dressing and cultural anxiety / HarperPerennial
  • 19. [단행본] Hall, Donald E. / 2013 / The Routledge queer studies reader / Routledge : 10 ~
  • 20. [단행본] Probyn, Elspeth / 1996 / Outside belongings / Routledge
  • 21. [단행본] Proseer, Jay / 2013 / The Routledge queer studies reader / Routledge : 32 ~
  • 22. [단행본] Reinelt, Janelle / 2003 / Performance : critical concepts in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v. 1 / Routledge : 153 ~
  • 23. [단행본] Schneider, Rebecca / 2001 / Psychoanalysis and Performance / Routledge : 94 ~
  • 24. [단행본] Sedgwick, Eve Kosofsky / 1990 / Epistemology of the closet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25. [단행본] Senelick, Laurence / 2000 / The changing room : sex, drag, and theatre / Routledge
  • 26. [단행본] Shepherd, Simon / 2016 /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performance theor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27. [단행본] Sieg, Katrin / 2002 / Ethnic Drag : Performing Race, Nation, Sexuality in West Germany /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28. [단행본] Walsh, Fintan / 2016 / Queer performance and contemporary Ireland : dissent and disorientation / Palgrave Macmil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