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학습공동체가 학교라는 내적·환경적 맥락 속에서 보여주는 운영 과정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H교육청이 지원하는 교과연구회 ‘한마음연구회’로 활동하고 있는 6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 관찰, 관련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나타난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상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 운영 지속에 대한 구성원들의 내적 동기는 연구회 활동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둘째, 구성원 간의 협력 전략은 학교 현실에 대응하여 ‘분업’과 ‘가상공간에서 만나기’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구성원들은 연령, 학교 내 직위, 낯선 관계 등을 극복하고 수평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활동하였다. 넷째, 연구 활동에서 나오는 아이디어와 연구결과물들의 공유 범위는 매우 한정적이었다. 다섯째, 의무적으로 제출하고 평가를 받아야하는 보고서 작성은 교사학습공동체의 활동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학습공동체가 성공적으로 형성·지속되고, 그들의 학습결과가 학교 현장에 의미 있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키워드

교사학습공동체, 전문가 학습공동체

참고문헌(31)open

  1. [학위논문] 김성천 / 2007 / 교사자율연구모임을 통한 교사 전문성 성장 과정 : 협동학습연구회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2. [단행본] 김영천 / 2008 / 질적연구 : 우리나라의 걸작선 / 문음사

  3. [학술지] 김진규 / 2009 / 교사 학습공동체 활용 평가연수의 실천 전략 / 교육평가연구 22 (4) : 939 ~ 959

  4. [보고서] 박수정 / 2012 / 신개념 맞춤형 교원연수 활성화 방안

  5. [학술지] 서경혜 / 2008 /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 한국교원교육연구 25 (2) : 53 ~ 80

  6. [학술지] 서경혜 / 2009 /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 한국교원교육연구 26 (2) : 243 ~ 276

  7. [학술지] 송경오 / 2008 / Under What School Contexts Do Influence Teachers' Professionalism? / 한국교육 35 (4) : 81 ~ 105

  8. [학술지] 송경오 / 2010 / 초·중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의 측정모형 및 수준 분석 / 한국교원교육연구 27 (1) : 179 ~ 201

  9. [학술지] 이병진 / 1996 / 교직 생애 주기에 따른 교원 연수 체제에 관한 연구 / 교육학연구 34 (1) : 315 ~ 345

  10. [학술지] 이경호 / 2010 / 전문가학습공동체 운영사례와 정책적 시사점 - 미국‘Cottonwood Creek School'의 실천을 중심으로 - / 한국교원교육연구 27 (4) : 395 ~ 419

  11. [학술지] 이석열 / 2007 / 교사의 팀학습 활동 분석과 학습조직의 관계 연구 / 교육행정학연구 25 (4) : 95 ~ 115

  12. [학술지] 이윤식 / 2001 / 현직연수기관에서의 인적자원개발의 효율화 방안 / 국가전문행정연수원 연구논총 19 : 149 ~ 184

  13. [단행본] 조용환 / 2012 /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 교육과학사

  14. [학술지] 최진영 / 2006 /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에 따른 사회과 교수-학습활동에 대한 연구 / 초등교육연구 19 (2) : 217 ~ 240

  15. [보고서] 한마음연구회 / 2012 / 한마음연구회 활동계획서

  16. [보고서] 대전교육과학연구원 / 2012 / 학년도 교과교육연구회(창의인성교과연구회) 지원계획

  17. [보고서] Brookhart, M. / 2009 / Exploring formative assessment

  18. [학술지] DuFour, R. / 2004 / What is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Educational Leadership 61 (8) : 1 ~ 6

  19. [단행본] DuFour, R. / 1998 /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t work: Best practices for enhancing student achivement / ASCD

  20. [단행본] Fullan, M. / 1996 / What's worth fighting for in your school / Teachers College Press

  21. [단행본] Guskey, T. R. / 1995 /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ducation: New Paradigms and Practices / Teachers College Press

  22. [학술지] Habierman, M. / 2004 / Schools as learning communities / Educational Leadership 61 (8) : 52 ~ 56

  23. [단행본] Hord, M. / 2004 / Learning together, leading together: Changing schools through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 Teachers College Press

  24. [보고서] Hord, M. / 1997 /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ommunities of continuous inquiry and improvement

  25. [학술지] Little, J. W. / 1990 / The persistence of privacy : autonomy and initiative in teachers' professional relations / Teachers College Record 91 : 509 ~ 536

  26. [보고서] Popham, J. / 2008 / Exploring formative assessment

  27. [학술지] Redding, C. / 1999 / Just-in-time staff development : One step to the learning organization / NASSP Bulletin 83 : 28 ~ 31

  28. [단행본] Senge, P. / 2010 / School that learns / Crown Business

  29. [학술지] Stoll, L. / 2006 /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a review of the literature / Journal of Educational Change 7 : 221 ~ 258

  30. [단행본] Villegas-Reimers, E. / 2003 /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 an international review of the literature / International Institute for Educational Planning

  31. [학술지] Wiliam, D. / 2007 / Changing classroom practice / Educational Leadership 65 (4) : 36 ~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