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성인문해교육에 참여하는 여성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자아개념이 일상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emale Learner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Adult Literacy Education and Self-Concept on Daily Living Abilities

교육연구논총
약어 : CNUJES
2016 vol.37, no.1, pp.107 - 127
DOI : 10.18612/cnujes.2016.37.1.107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371 회 열람

본 연구는 성인문해교육에 참여하는 여성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자아개념이 일상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대전지역 평생교육기관의 문해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50세 이상 비문해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성인문해교육에 참여하는 비문해 여성의 참여동기와 자아개념이 일상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었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다르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자아개념의 하위변인인 자아존중감에 따른 일상생활능력의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낮은 자아개념의 비문해자를 한 단계 높은 자아개념을 갖도록 유도한다면 일상생활능력에도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 사회의 급속한 노령화, 다문화가족 확대 등으로 우리 사회에서 비문해자는 현재보다 증가할 것인 바, 이들의 수요에 부합하는 확장된 문해의 개념을 포함하는 새로운 성인문해교육 커리큘럼 개발과 비문해자의 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전환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한 문해교육 학습자의 기초문해능력 향상은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 뿐 아니라 일상생활능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향후 계속적인 문해교육 이수 더 나아가 평생교육에의 지속적인 참여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wo independent variables;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elf-concept on dependent variables; daily living abilities. Participation motivation consists of detailed variables of goal orientation, activity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Self-concept consists of detailed variable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For this study, 200 female learners aged over 50 and less than 80 who are receiving adult literacy education in Daejeon area, were chosen as research subjects and 5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were chosen as research institutions. This study result showed that goal orientation, activity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of self-concept of female leaners in adult literacy education did not any significant effect on daily living abilities, whereas self-esteem of self-concep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m. This finding demonstrates that adult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 managers and volunteers have to take various actions to enhance self-esteem of female learners. Moreover, non-literacy learners with high self-esteem would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new world and regain independence through literacy education.

성인문해교육, 여성학습자, 참여동기, 자아개념, 일상생활능력
illiterate, female learners, literacy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concept, daily living abilities

  • 1. [학위논문] 강지애 / 2007 /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2. [단행본] 권두승 / 2006 / 성인교육자론 / 교육과학사
  • 3. [단행본] 권석한 / 2004 /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 학지사
  • 4. [단행본] 김도수 / 1994 / 평생교육 / 양서원
  • 5. [학술지] 김미령 / 2006 /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 58 (2) : 197 ~ 2 kci
  • 6. [단행본] 김신일 / 2005 / 한국의 문해교육 / 문음사
  • 7. [학위논문] 김연미 / 2011 /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 우울의 비교 연구
  • 8. [학술지] 김용래 / 1995 / 자아개념 타당화 분석 / 교육연구논총 / 12 : 43 ~
  • 9. [학술지] 김용래 / 1995 / 자아개념과 학습자 변인의 경향성 분석 / 교육연구논총 / 14 : 5 ~
  • 10. [학위논문] 김정중 / 2008 / 농성인의 문해 능력 실태 조사 연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11. [학위논문] 김진호 / 2003 / 성인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몰입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분석
  • 12. [학위논문] 김종천 / 2006 / 한국의 성인 문해교육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충청지역 성인 문해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 13. [학위논문] 문성숙 / 2008 / 노인요양시설 생활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14. [학술지] 손준종 / 1997 / 정보사회에서의 교육의 의미 : 그 가능성과 한계 / 교육사회학연구 / 7 (8) : 199 ~ 8
  • 15. [학위논문] 신은정 / 2009 /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의 배경요인 및 학습참여 유형과 생활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 16. [학술지] 양병찬 / 2004 / 학습권 관점에서 본 성인 문해교육 지원정책 분석 / 평생교육학연구 / 10 (4)
  • 17. [학술지] 원장원 / 2002 /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고구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의 특징 / 6 (1) : 1 ~ 1
  • 18. [학술지] 이명자 / 2005 / 자기조절학습전략,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학업적 동기와 자기평가의 차이 / 중등교육연구 / 53 (1) : 85 ~ 1 kci
  • 19. [학술지] 이봉진 / 2012 / 노인의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동북아관광연구 / 8 (2) : 139 ~ 2 kci
  • 20. [학위논문] 李貞義 / 1997 / 대학사회교육 참여동기에 관한 연구
  • 21. [학위논문] 조정아 / 2010 / 디지털 시대 문해의 교육적 함의
  • 22. [학술지] 조현 / 2012 / 경남지역 백세인의 장수요인과 일상생활수행능력(ADL) 및 도구적 생활수행능력(IADL)에 대한 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13 (1) : 185 ~ 1 kci
  • 23. [학위논문] 최운실 / 1986 / 成人敎育類型에 따른 敎育參與 特性分析
  • 24. [학술대회] 한복숙 / 2012 / / 2012년 제1회 문해교육 학술포럼 / 4 (16)
  • 25. [학위논문] 홍승우 / 2001 / 노인의 일상생활과 성공적인 노화
  • 26. [학위논문] 황성우 / 2008 / 창의적 무용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27. [단행본] 황종건 / 1994 / 문해 운동의 역사적 의의 / (사)한국문해교육협회
  • 28. [단행본] Bandura, A. / 1997 / Self-efficacy: The exercse of control / Freeman
  • 29. [단행본] Houle, C. O. / 1961 / The Inquiring mind /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 30. [학술지] Lawton, M. P. / 1971 /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Elderly People /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 19 : 4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