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이하 공교육정상화법)은 선행학습과 선행교육을 근절하여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2014년에 법이 고시된 이후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서는 매년 자체 계획을 수립하여 교육청 소속의 모든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선행교육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교육정상화법이 교육 현장에 적용된 지 3년이 되는 시점인 2016년까지 시·도 교육청이 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선행교육 점검의 실태를 조사하고 그 개선 방향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교육 점검과 관련하여 시·도 교육청에서 생산된 문건을 선행교육 점검 대상 학년 및 학교, 선행교육 점검 자료, 선행교육 점검 내용, 선행교육 점검 지원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시·도 교육청 업무 담당자(장학사) 및 초·중·고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분석 항목별로 공교육정상화법 시행 상의 한계와 그 원인을 논의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공교육정상화법에 의거한 선행교육 점검은 현행 대학 입시 제도나 자유학기제와 같은 교육 정책과 갈등을 빚고 있었으며, 선행교육 점검을 위해 정보 공시된 자료를 활용하는 점, 점검 기준의 명확성이 부족한 점, 교과별 점검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한 점 등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키워드

공교육정상화법, 선행교육 점검, 시·도 교육청

참고문헌(18)open

  1. [기타] 교육부 / 2014 /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 매뉴얼 북 – 공교육정상화법 시행

  2. [기타] 교육부 / 2017 /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 매뉴얼 북

  3. [학술지] 김성길 / 2015 / 대학생의 선행학습에 대한 인식 조사 / 미래교육연구 5 (2) : 43 ~ 64

  4. [학술대회] 오수정 / 2016 / 교육지원청의 렌즈로 본 공교육정상화법의 현장 적용 개선 / 공교육정상화법 현장 적용 및 지원 개선 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 : 77 ~ 81

  5. [학술지] 이경옥 / 2015 / 『공교육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안』의 정책의제 형성과정 분석 / 교육행정학연구 33 (3) : 189 ~ 213

  6. [보고서] 이승미 / 2016 / 공교육정상화법’ 적용의 실효성 제고 방안 : 63 ~ 86

  7. [학술지] 이승호 / 2015 / 선행교육금지법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 교육행정학연구 33 (2) : 55 ~ 83

  8. [인터넷자료] 조재익 / 공교육정상화법’ 시행 1년, 교육현장에 안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9. [학술지] 조혜진 / 2016 /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의 정책결정오차와 오차수정 분석 / 교육정치학연구 23 (2) : 55 ~ 75

  10. [보고서] 홍선주 / 2015 / 선행교육 예방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및 평가 개선 연구

  11. [보고서] 홍선주 / 2016 /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외국의 학교 교육 강화 정책 고찰

  12. [인터넷자료] 연합뉴스 / 일선학교 ‘선행교육’ 판단 기준은

  13. [인터넷자료] 조선일보 / 껍데기만 남은 선행학습금지법

  14. [인터넷자료] 한국일보 / 학원들 배만 불리는 선행학습규제법?

  15. [기타] B 교육청 / 2015 / 2015학년도 선행출제 점검 계획(안) 선행출제 점검 서식모음

  16. [보고서] E 교육청 / 2015 / 공교육정상화법 시행에 따른 2015학년도 선행출제 점검 계획

  17. [보고서] N 교육청 / 2015 / 공교육정상화법 관련 교육과정 및 평가 점검 계획

  18. [보고서] Q 교육청 / 2015 / 공교육정상화법 2015학년도 선행출제 점검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