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학교자체평가 과정요인과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chool Self Evaluation Plan, Implementation,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교육연구논총
약어 : CNUJES
2018 vol.39, no.2, pp.1 - 25
DOI : 10.18612/cnujes.2018.39.2.1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126 회 열람

이 연구는 교원이 인식하는 학교자체평가 과정요인(계획, 실행, 결과활용)과 학교자체평가 만족도와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모형을 상정한 후,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564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자체평가 과정요인 중 자체평가 계획요인은 직접적으로 자체평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체평가 계획요인은 자체평가 실행요인과 결과활용 요인을 매개로 자체평가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자율성을 기반으로 한 학교자체평가를 통해 학교교육 책무성과 교육개선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자체평가 과정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평가과정에 대한 교원의 평가 만족도가 향상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chool self evaluation plan, implementation,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A total data of 564 teachers from 30 school in Gyeonggi-do were used in this study.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chool self evaluation plan, implementation,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tail, self evaluation plan factor of school self evaluation process factors did not directly affect self evaluation satisfaction. And self evaluation plan fact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lf evaluation satisfaction through self evaluation implementation factor and utilization factor.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organic relationship of school self evaluation plan, implementation, utilization for improving school accountability.

자체평가 계획, 자체평가 실행, 자체평가 결과활용, 자체평가 만족도
school self evaluation plan, implementation,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 1. [학술지] 김규태 / 2005 / 교육의 책무성 평가의 실제와 대안 : 학교평가 중심으로 / 교육행정학연구 / 23 (3) : 195 ~ 3 kci
  • 2. [단행본] 구자억 / 2013 / 학교자체평가 어떻게 할 것인가 / 한국교육개발원
  • 3. [단행본] 김계수 / 2007 / Amos 7.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 한나래
  • 4. [학위논문] 金成烈 / 1996 / 學校自體評價模型 硏究
  • 5. [학술지] 김순남 / 2003 / 시·도 교육청 주관 학교평가에 대한 인식 조사 / 한국교육 / 30 (1) : 103 ~ 1 kci
  • 6. [학술지] 김진수 / 2009 /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자체평가도구 개발 / 한국기술교육학회지 / 9 (2) : 107 ~ 2 kci
  • 7. [단행본] 문수백 / 2009 /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 학지사
  • 8. [단행본] 박도순 / 1988 / 학교자체평가의 접근방법 / 한국교육개발원
  • 9. [보고서] 박승재 / 2016 / 학교자체평가모형 연구보고서
  • 10. [학위논문] 박진영 / 2007 / 학교자체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비교 : 인천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11. [단행본] 오진석 / 1987 / 학교자체평가연구(Ⅰ) / 한국교육개발원
  • 12. [단행본] 장병연 / 1995 / 특수학교 경영 자체평가 모형 개발 / 충남: 국립특수교육원
  • 13. [학술지] 정규열 / 2017 /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서 본 학교평가 결과와 관련된 평가지표 탐색: A교육청 학교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21 (3) : 81 ~ 3 kci
  • 14. [학위논문] 지광식 / 2010 / 초등학교 학교평가 지표의 내용 분석 및 평가체제에 대한 교원의 인식 조사
  • 15. [학술지] 채재은 / 2012 / 대학 자체평가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질적 요인 탐색 / 교육행정학연구 / 30 (1) : 161 ~ 1 kci
  • 16. [단행본] Fraser, B. J. / 1977 / Augmented evaluation of grass roots innovation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 Rand McNally
  • 17. [단행본] Hair, J. F. / 2006 / Multivariate Data Analysis / Prentice Hall
  • 18. [학술지] Hofman, R. H. / 2005 / School self evaluation instruments: An assessment framework / International Journal of Leadership in Education / 8 (3) : 253 ~ 3
  • 19. [단행본] Macbeath, J. / 2006 / School inspection and self-evaluation : Working with the new relationship / Routledge
  • 20. [학술지] Mortimore, P. / 1987 / New evidence on effective elementary schools /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45 (1) : 7 ~ 1
  • 21. [학술지] Newmann, F. / 1997 / Accountability and school performance / Harvard Educational Review / 67 (1) : 41 ~ 1
  • 22. [단행본] OFSTED / 2012 / Improving outcomes for learners through self-evaluation
  • 23. [단행본] Sobel, M. E. / 1982 /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 Jossey-B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