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브랜드 구축에서 훌륭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조건이다. 아이덴티티를 구성하는 시각적인 요소는 인간이 가진 다섯 가지 감각 중에서 가장 먼저, 가장 많은 정보를 받아들이는 강력한 표현수단이기 때문이다. 언어보다 상징적이고 브랜드를 기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브랜드의 심벌마크나 슬로건, 캐릭터 등을 통해 브랜드로 인식되고 다양한 연상 이미지를 갖게 되며 특정 컬러를 통해 감성적 반응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색채는 형태보다 먼저 지각되며 감정을 자극하고 연상적이고 차별화된 정체성을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현재 부천시가 사용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색채적용에 대해 설문을 통해 몇 가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도시’를 지향목표로 삼고 있는 부천시는 거주민에게는 비교적 긍정적 이미지를 주고 있으나 타도시민에게 부정적인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천시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대해서는 거주지역과 상관없이 슬로건에 대한 인지도만 비교우위로 나타났다. 셋째, 부천시 아이덴티티 디자인 색채 적용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부천시가 지향하는 ‘문화도시’이미지나 아이덴티티가 지향하는 형용사 이미지와의 상관정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부천시는 현재 지향하고 있는 ‘문화 도시’ 이미지를 타 지역민에게도 널리 알리는데 더욱 역점을 두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이를 위해 아이덴티티 디자인, 특히 색채가 주는 정체성과 연상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미지에 맞는 아이덴티티 디자인 색채 적용을 통해 글로벌화 시대에 맞는 경쟁력 있는 도시브랜드를 구축하기를 제안한다.

키워드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색채

참고문헌(18)open

  1. [단행본] 권상구 / 2001 / 시각디자인의 기초 / 미진사

  2. [단행본] 김용선 / 2011 / 뷰티색채디자인 / 예림출판사

  3. [단행본] 강현주 / 2009 / 디자인의 힘 / 한국디자인진흥원

  4. [단행본] 김민수 / 2009 / 한국 도시디자인 탐사 / 그린비

  5. [단행본] 부천문화재단 / 2005 / 지역문화정책과 도시마케팅 / 디프넷

  6. [단행본] 존 헤스켓 / 2005 / 로고와 이쑤시개 / 세미콜론

  7. [단행본] 하라켄야 / 2007 / 디자인의 디자인 / 안그라픽스

  8. [학술지] 김금재 / 2010 / 도시브랜드 강화를 위한 공공정보 디자인 연구 -부천시 사인류 정보디자인을 중심으로-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8 (3) : 163 ~ 174

  9. [학술지] 김선영 / 2008 / 현대패션에 나타난 레드의상의 미적특성에 관한 연구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6 (3) : 1 ~ 12

  10. [학위논문] 김소연 / 2009 / 국내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색채배색에 관한 연구

  11. [학위논문] 김영걸 / 2012 / 도시정체성과 도시브랜드의 영향관계 및 인지특성분석 : 경기도 소재 시군을 중심으로

  12. [학술지] 김효일 / 2011 /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진화와 가변적 변화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1 (4) : 337 ~ 345

  13. [학위논문] 노성수 / 2014 / 색채이미지 제고를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 차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중심으로

  14. [학술지] 류승연 / 2010 / 지방자치단체의 통합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 제안 - 강원도 사례를 중심으로 - / 한국디자인포럼 (27) : 189 ~ 198

  15. [학위논문] 오주환 / 2006 / 지자체의 지역 브랜드 경쟁력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성북구를 중심으로

  16. [학위논문] 전상철 / 2011 / 도시이미지 색채를 이용한 브랜드컬러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17. [학위논문] 이진영 / 2009 / 색채를 이용한 서울의 도시이미지 형성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제정 '서울색'을 중심으로

  18. [학술지] 정수진 / 2013 / 통합적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도시브랜드 전략 연구 -수원시 및 산하단체의 통합 브랜드를 중심으로- / 디자인지식저널 (28) : 297 ~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