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색채 감성의 위계 구조에 대한 탐구

A Study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Color Sensibility

인지과학
약어 : 인지과학
2008 vol.19, no.1, pp.41 - 56
DOI : 10.19066/cogsci.2008.19.1.003
발행기관 : 한국인지과학회
연구분야 : 인지과학
Copyright © 한국인지과학회
139 회 열람

감성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감성 요인들을 추출하는 데에 치중하여 왔으며, 감성의 내적 구조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감성에 감각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이 있으며, 이들이 대상의 속성을 묘사하는 객관형용사와 경험자의 심리를 묘사는 주관형용사에 각각 상응한다고 보았다. 국어학적 분류와 경험적 평정을 통해 최종 선별된 43 개의 객관형용사 군과 21 개의 주관형용사 군에 대해 요인분석을 하여, 감각적 측면(객관형용사)의 다섯 요인과 정서적 측면(주관형용사)의 세 요인을 추출하였다. 두 측면의 요인점수들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감각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 간의 위계 구조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감성의 정서적 측면은 여러 감각적 요인의 결합으로 파악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를 논의하였다.

Previous studies, while investigating factors of sensibility, had rarely considered its internal structure.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sensibility had sensational aspects and emotional aspects and the former corresponded to objective adjectives, describing attributes of objects, and the latter to subjective adjectives, describing psychology of experiencers. Forty-three objective adjectives and 21 subjective adjectives describing color sensibility were selected both by a linguistic criterion and an empirical evaluation. Factor analysis on semantic differential responses to these two groups of adjectives resulted in 5 sensational factors and 3 emotional factors of color sensibility respectively. Hierarchical structure was derived by regressing emotional factor scores on sensational factor scores. In consequence, emotional aspects were interpreted by different combinations of sensational factors.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객관형용사, 주관형용사, 감성 요인, 위계 구조
objective adjective, subjective adjective, sensibility factors, hierarchical structure

  • 1. [학위논문] 권희령 / 1988 / 관계절 문장 이해에 있어 의미 요인의 영향: 공통참조연결과 동사의 원인성의 문제
  • 2. [학위논문] 김영선 / 1998 / 한국어 기본 색이름과 색채공간 표상영역
  • 3. [단행본] 김영희 / 1988 / 한국어 통사론의 모색 / 탑출판사
  • 4. [기타] 김창순 / 1998 / 색/조명환경 제시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부 KRISS-98-124-IR
  • 5. [학술지] 박미자 / 1998 / 감성 측정을 위한 우리말 형용사의 의미구조 / 감성과학 / 1 (2) : 1 ~ 2
  • 6. [학술지] 박창호 / 2002 / 색광에 대한 감성 요인들 / 인지과학 / 13 (3) : 23 ~ 3 kci
  • 7. [단행본] 유현경 / 1998 / 국어 형용사 연구 / 한국문화사
  • 8. [단행본] 이순묵 / 1995 / 요인분석 1 / 학지사
  • 9. [단행본] 조명한 / 2003 / 언어심리학 / 학지사.
  • 10. [단행본] 한광희 / 2007 / 인지공학심리학 / 시그마프레스
  • 11. [학술지] Elliott, L. L. / 1963 / Factor-structure of semantic differential responses to visual forms and prediction of factor-scores from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timulus shapes /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 76 : 589 ~
  • 12. [단행본] Osgood, C. E. / 1957 / The Measurement of Meaning / University of Illinois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