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대화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발화 문장의 감정 분류

Emotion Classification of User's Utterance for a Dialogue System

인지과학
약어 : 인지과학
2010 vol.21, no.4, pp.459 - 480
DOI : 10.19066/cogsci.2010.21.4.002
발행기관 : 한국인지과학회
연구분야 : 인지과학
Copyright © 한국인지과학회
325 회 열람

대화 시스템은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발화 문장으로부터 다양한 형태론적 분석을 시도한다. 하지만 사용자는 발화 문장에 포함된 사전적 의미를 통해 의도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현재 감정 상태에 따라서 사전적 의미와는 다른 의도를 표현하거나 동일한 의미를 갖는 발화에서 다양한 의도를 표현한다. 따라서 대화에서 사용자의 감정을 파악하는 것은 사용자의 의도를 다양한 방향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기계 학습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 발화 문장에 자동으로 감정 범주를 할당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 감정 범주를 정의하기 위해 세부적인 감정 모델로 인정받고 있는 Plutchick의 감정 모델을 사용하여 9개 감정 범주를 재 정의하고 감정 분류를 위한 자질 집합을 문장 자질과 선험적 자질 그리고 문맥 자질로 구분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3가지 자질들의 최적 조합을 구성하고 감정의 자동 분류를 위해 SVM 분류기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제안 시스템은 비교 시스템에 비해 15% 높은 62.8%의 F1-평가치 성능을 나타냄으로서 제안된 방법이 감정 분류에 효과적임을 증명한다.

A dialogue system includes various morphological analyses for recognizing a user’s intention from the user's utterances. However, a user can represent various intentions via emotional states in addition to morphological expressions. Thus, a user’s emotion recognition can analyze a user’s intention in various manners.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 to automatically recognize a user’s emotion for a dialogue system. For general emotions, we define nine categories using a psychological approach. For an optimal feature set, we organize a combination of sentential, a priori, and context features. Then, we employ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that has been widely used in various learning tasks to automatically classify a user’s emotions.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our method has a 62.8% F-measure,15% higher than the reference system.

감정 분석, 음성 대화 시스템, 모바일, 기계 학습, 자동 분류, 로봇
sentiment analysis, spoken dialogue system, mobile, machine learning, automatic classification, robot

  • 1. [학술지] Choi, W. / 2005 / An integrated dialogue analysis model for determining speech acts and discourse structures / IEIC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and Systems / E88-D (1) : 150 ~ 1
  • 2. [학위논문] 김경선 / 2006 / 개선된 자질 추출 및 가중치 부여 방법을 이용한 한국어 화행 분류 시스템
  • 3. [학술지] Wilks, Y. / 2005 / Artificial companions / Interdisciplinary Science Reviews / 30 : 145 ~
  • 4. [학술대회] Pang, B. / 2002 / Thumbs up? Sentiment Classification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 Proceedings of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and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79 ~
  • 5. [학술대회] Turney, P. D. / 2002 / Thumbs up or thumbs down? Semantic orientation applied to unsupervised classification of reviews / Proceedings of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and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417 ~
  • 6. [학술대회] Wilson, T. / 2005 / Recognizing Contextual Polarity in Phrase-Level Sentiment Analysis / Proceedings of Human Language Technologies and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347 ~
  • 7. [학술대회] Narayanan, R. / 2009 / Sentiment Analysis of Conditional Sentences / Proceedings of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180 ~
  • 8. [학술대회] Litman, D. J. / 2004 / Predicting Student Emotions in Computer-Human Tutoring Dialogue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munication Systems : 351 ~
  • 9. [학위논문] 문현구 / 2002 / Hybrid Naïve Bayes HMM 기법을 사용한 텍스트로부터의 감정 분류
  • 10. [학술지] Plutchik, R. / 1980 / EMOTION Theory, Research, and Experience / 1
  • 11. [보고서] Plutchik, R. / 1997 / Circumplex models of personality and emotions
  • 12. [학술지] Plutchik, R. / 2001 / The Nature of Emotions / American Scientist / 89 : 344 ~
  • 13. [단행본] Vapnik, V. / 1995 / The Nature of Statistical Learning Theory / Springer Verlag
  • 14. [학술대회] Zhe, X. / 2002 / Text-to-Emotion Engine for Real Time Internet Communication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munication Systems : 164 ~
  • 15. [학술대회] Liu, H. / 2003 / A Model of Textual Affect Sensing using Real-World Knowledge /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ser Interface : 125 ~
  • 16. [학술지] Fitrianie, S. / 2003 / A Multi-modal Eliza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Emotion Recognition, Proceedings of Text / Speech and Dialog (TSD) / 2807 : 394 ~
  • 17. [학술지] Liscombe, J. / 2005 / Using context to improve emotion detection in spoken dialog systems / Proceedings of Interspeech : 1845 ~
  • 18. [학술지] Pennebaker, J. W. / 2003 / Psychological aspects of natural language use: Our words, our selves / Annual review of psychology / 54 (1) : 547 ~ 1
  • 19. [학술대회] 윤애선 / 2009 / 온톨로지의 구축을 위한 구성요소 분석 / 제 21 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발표 논문집 : 19 ~
  • 20. [학위논문] 김향숙 / 2001 / 한국어 감정 표현 관용어 연구
  • 21. [학술지] 김민정 / 2008 / 한국어 화행 분류를 위한 최적의 자질 인식 및 조합의 비교 연구 /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 35 (11) : 681 ~ 11 kci
  • 22. [학술대회] Weston, J. / 1999 / upport vector machines for multiclass pattern recognition / Proceedings of European Symposium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 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