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온라인에서의 레스토랑 구전정보 작성자와 구전평가 방향에 따른 레스토랑 방문의도와 정보 신뢰도 차이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Restaurant Visit Intention and Information Credibility Based on e-WOM for Restaurants and Directions of Replies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약어 : CSHR
2013 vol.19, no.2, pp.190 - 202
DOI : 10.20878/cshr.2013.19.2.014
발행기관 : (사)한국조리학회
연구분야 : 기타사회과학
Copyright © (사)한국조리학회
247 회 열람

인터넷이 발달하고 대중화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지출에 앞서 온라인 내 타인의 정보를 반영하고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학 실험을 통해, 레스토랑 방문 계획을 가진 소비자들이 인터넷에서 1) 정보의 작성자가 누구인지에 따라(일반 익명의 소비자 또는 전문가), 2) 정보의 방향성에 따라(긍정적인 것 또는 부정적인 것) 레스토랑 방문의도와 정보의 신뢰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목적에 부합되도록 4개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SPSS WIN(v.1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t-test등으로 분석하였다. 2(긍정적 정보vs. 부정적 정보)*2(소비자 작성 정보 vs. 전문가 작성 정보) 실험디자인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정보 작성자에 따른 레스토랑 방문의도(p<.001)와 정보의 신뢰정도(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또한 각각 긍정적 정보와 부정적 정보를 읽은 실험참가자 사이에 레스토랑 방문의도 (p<.001)와 정보의 신뢰도(p<.01)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밖의 연구 결과와 한계점,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e arrival and expansion of the Internet has extended consumers' options and has provided consumers' opportunities to offer their own consumption. Through a laboratory experiment, we investigated questions: 1)do consumers trust the accuracy of reviews posted by anonymous reviewers or experts and 2) do readers trust negative and positive reviews equally? The messages were created as a form of 4 scenarios for this study.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Win(v.16.0) for descriptive analysis, and t-test. Our results from a 2(positive reviews vs. negative reviews)*2(consumer vs. expert) experiment design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sumers' review and experts' one in restaurant visit intention(p<.001) and information credibility(p<.001). Also, between positive review and negative on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restaurant visit intention(p<.001) and information credibility(p<.01). Other result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인터넷 소비자, 레스토랑 방문의도, 온라인 정보, 온라인 정보의 신뢰도
e-WOM, review, valence, source, restaurant visit intention, information credibility

  • 1. [학술지] 김관규 / 2000 / CMC에서의 대인인상 형성에 관한탐색적 연구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5 (1) : 5 ~ 1
  • 2. [학위논문] 이은영 / 2004 / 온라인 구전 수용과 확산 과정에 대한 이중경로 모형에 관한 연구 : 정보 특성요인과 커뮤니티 특성요인을 중심으로
  • 3. [보고서] 한국인터넷진흥원 / 2011 / 2011 인터넷이용실태조사 : 5 ~
  • 4. [학술지] 황의록 / 1995 / 구전커뮤니케이션에 관한문헌연구 / 광고연구 / 26 (봄) : 55 ~ 봄
  • 5. [학술지] Ahluwalia R / 2000 / Consumer response to negative publicity: The moderating role of commitment / J Marketing Res / 37 (2) : 97 ~ 2
  • 6. [학술지] Arndt J / 1967 / Role of product-related conversations in the diffusion of a new product? / J Marketing Res / 4 : 291 ~
  • 7. [단행본] Assael H / 2004 / Consumer behavior: A strategic approach / Houghton Mifflin : 66 ~
  • 8. [학술지] 변현수 / 2008 / 서비스 회복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산업경제연구 / 21 (5) : 2133 ~ 5 kci
  • 9. [학술지] Chatterjee P / 2001 / Online reviews: Do consumers use them? / Advance in Consumer Res / 28 : 129 ~
  • 10. [인터넷자료] Chevalier JA / The effects of word-ormouth on sales: Online book reviews (Workin g Paper) #10148 /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 11. [단행본] Engel JF / 1993 / Consumer behavior / The Dryden Press : 63 ~
  • 12. [학위논문] Elliott KM / 2002 / Understanding consumer-toconsumer influence on the web
  • 13. [학술지] Fishbein M / 1972 / A bayesian analysis of attribution processes / Psychological Bulletin / 82 (2) : 261 ~ 2
  • 14. [학술지] Fiske ST / 1990 / A continuum of impression formation, from category based to individuating process: Influences of information and motivation on attention and interpretation /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 23 : 1 ~
  • 15. [학술지] Godes D / 2004 / Using online conversations to study word-of-mouth communication / Marketing Science / 23 (4) : 545 ~ 4
  • 16. [학술지] Gefen D / 2000 / E-Commerce: The role of familiarity and trust / Inter J Communication Quarterly / 77 (3) : 515 ~ 3
  • 17. [학술지] Gotlieb J / 1991 / Comparative advertising effectiveness: The role of involvement and source credibility / J Advertising / 20 (1) : 38 ~ 1
  • 18. [학술지] Henning T / 2004 / Electronic word of mouth via consumer- opinion platforms: What motivates consumers to articulate themselves on the internet? / J Interactive Marketing / 18 (1) : 38 ~ 1
  • 19. [학술지] Jeong IK / 2009 / Audiences' criteria to evaluate the quality of 'daetgel' / J cyber communication / 26 (2) : 199 ~ 2
  • 20. [학술지] 조영희 / 2007 / 오픈마켓에서 상품정보와 판매자정보가 신뢰와 만족을 매개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e-비즈니스연구 / 8 (4) : 189 ~ 4 kci
  • 21. [학술대회] Kim BJ / 2007 / The effect of product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in the on-line context: The word of mouth effect of product review and consumer replies / The Korean Academic Society symposium,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Industry : 1 ~
  • 22. [학술지] 김창호 / 2010 / 온라인 구전행동에 관한 연구 : 온라인 구전정보탐색, 매장방문, 구매, 정보전달에 관한 구조분석 / 유통경영학회지 / 13 (5) : 55 ~ 5 kci
  • 23. [학술지] 김경민 / 2010 / 친분 없는 구전의 영향력에 대한 소비자의 과도한 조정 효과에 관한 연구 / 마케팅연구 / 25 (3) : 71 ~ 3 kci
  • 24. [학술지] 김기영 / 2008 / 미니홈피를 통한 구전 커뮤니케이션이 외식상품 구매속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조리학회지 / 14 (2) : 86 ~ 2 kci
  • 25. [학술지] 김나은 / 2010 / 온라인 관광 구전정보품질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 호텔경영학연구 / 19 (4) : 59 ~ 4 kci
  • 26. [학술지] 김성훈 / 2003 / 제품 관여도 및 제품 지식에 따른 온라인 구전정보 활용 연구 / 광고학연구 / 14 (1) : 257 ~ 1 kci
  • 27. [학술지] 이은영 / 2005 / 온라인 환경에서의 정보특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비자 제품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광고학연구 / 16 (2) : 145 ~ 2 kci
  • 28. [학술지] 이태민 / 2006 / 온라인 구전정보의 방향성과 유형이 구매영향력에 미치는효과: 한국과 미국의 국제비교 / 마케팅연구 / 21 (1) : 29 ~ 1 kci
  • 29. [학술지] Liu Y / 2007 / Online interaction readiness: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 J Consumer Behavior / 6 (3) : 283 ~ 3
  • 30. [학위논문] Mayzlin D / 2002 / Word of mouth and marketing: Influencing and learning from consumer conversations
  • 31. [학술지] McGarry J / 1974 / Communicator credibility and persuasion / Memory & Cognition / 2 : 82 ~
  • 32. [학술지] 박찬 / 2006 / 온라인에서의 구전커뮤니케이션이 상표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표사용후기와 답글을 중심으로 / 소비자학연구 / 17 (1) : 73 ~ 1 kci
  • 33. [학술지] Sengupta J / 2000 / Disruption vs. Reinforcement: The effects of analysing reasons for brand preferences / J Marketing Res / 37 : 318 ~
  • 34. [학술지] Sung YS / 2002 / The influence of on-line word of mouth information on viewing intention toward motion picture / J Korean Advertising / 57 : 31 ~
  • 35. [학술지] Thurau C / 2004 / Synthesizing movements for computer game characters / In Pattern Recognition / 3175 : 179 ~
  • 36. [학술지] 양성수 / 2008 / 온라인 구전 관광정보의 구전효과 / 관광학연구 / 32 (2) : 109 ~ 2 kci
  • 37. [학술지] Yang Y / 2000 / Effect of word-of-mouth communication on consumer's attitude change / J Korean Advertising / 11 (3) : 7 ~ 3
  • 38. [학술지] Ziqiong Z / 2010 / The impact of e-word-of-mouth on the online popularity of restaurants: A comparison of consumer reviews and editor reviews / Inter J Hospitality Management / 29 (4) : 694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