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국어교육을 위한 스마트러닝의 재개념화와 구현 방안

Smart Learning Strategies for Teaching Korean as a Foreign/Second Language

국어교육학연구
약어 : 국어교육학연구
2014 vol.49, no.1, pp.123 - 145
DOI : 10.20880/kler.2014.49.1.123
발행기관 : 국어교육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국어교육학회
184 회 열람

스마트교육 시대에 한국어교육이 나아갈 지표를 설정하기 위하여 혼재된 용어와 개념을 정리하였다. 스마트교육은 정책적 차원에서 상호작용, 협력, 주도성 등의 가치를 지향하는 교수-학습 체제로, 스마트러닝은 스마트기기와 인프라를 활용한 학습 방법으로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러닝을 한국어교육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기존 스마트기기와 인프라 활용, 전용 콘텐츠 신규 개발, 기존 콘텐츠 변형을 제안하고 각각을 한국어교육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스마트러닝을 한국어교육에 적용했을 때의 효과, 스마트러닝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의 유형, 기존 콘텐츠 변형의 절차와 원리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strategies for realizingsmart learning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second language. I redefinedthe terminology firstly. ‘SMART Education’ is a teaching andlearning system pursuing values such as collaboration, autonomy andinteractivity. Meanwhile, ‘smart learning’ is a type of learning using smartdevices and infra. Next, I suggested three ways to adopt smart learningfor teaching Korean: exploiting the existing devices and infra, developingnew smart learning contents and modifying existing contents into smartlearning contents. For the each way I showed practical options for teachingKorean classes. We lastly suggested the followings for the furtherstudies; effects of smart learning in teaching Korean language, types ofteaching-learning activity and principles of modifying various contentsinto smart learning contents.

한국어교육, 스마트러닝, 스마트교육, 스마트러닝 콘텐츠
Teaching Korean as a Foreign/Second Language, SMART Education, Smart Learning, Smart Learning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