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은 문학교육의 평가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을 문학교육에 내재된 교육관을 중심으로 새롭게 읽어 보고, 현재 문학교육 평가가 겪고 있는 문제들의 극복을 위한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동안 문학교육의 평가를 개선할 수 있는 대안적 평가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평가 방식 역시 적지 않게 달라졌음에도 문학교육의 평가에 대한 의구심이 여전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좀 더 근본적인 차원에서 문학교육 평가론의 역사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본고는 먼저 문학교육 연구에 내재된 교육관을 점검해 보았다. 문학교육에서 전제하고 있는 교육에 대한 관점이 어떤 것이었는가를 기존 연구사에 대한 검토를 통해 살펴, 그 핵심에 공학적 개념의 교육관이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학습자의 변화를 교육의 본령으로 삼고 있는 공학적 개념의 교육관에 비추어 볼 때 기존의 문학교육 평가 연구가 학습자가 도달해야 할 지점에 대해서는 다양한 논의를 진행한 데 반하여 현재 학습자의 상태가 어떠한지, 또한 이러한 상태를 왜 변화시켜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육이 추구하는 변화는 학습자들의 현재 상태에서 필요한 지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따라 그 변화의 방향이 결정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제까지 문학교육의 평가론에서 현재 학습자들의 상태에 대한 충분한 점검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것은 문학교육의 평가가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지 못하였던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학습자의 현재 상태를 충분히 점검하고, 이에 따라 교육과정상의 제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재설정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즉 학습자의 현 상태에 대한 인간학적 검토와 이에 따라 문학교육의 목표와 내용, 그리고 방법이 실제 문학교실에서 일어나는 일을 중심으로 재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 논문의 결론이다.

키워드

문학교육, 평가, 교육관, 교육과정

참고문헌(28)open

  1. [단행본] 구인환 / 1988 / 문학교육론 / 삼지원

  2. [학술지] 김남희 / 2009 / 읽기 능력 평가의 현황과 과제 - 문학 평가와의 유관성을 중심으로 / 독서연구 (22) : 159 ~ 186

  3. [단행본] 김대행 / 2000 / 문학교육원론 / 서울대출판부

  4. [학술지] 김동환 / 2003 / 문학교육과 객관식 평가의 문제 / 국어교육학연구 (18) : 523 ~ 552

  5. [학술지] 김상욱 / 2011 / 문해력, 국어능력, 문학능력 / 한국초등국어교육 (46) : 41 ~ 69

  6. [단행본] 김일렬 / 2006 / 문학의 본질: 고전문학의 이해를 위하여 / 새문사

  7. [학술지] 김정우 / 2009 / 문학능력 평가의 방향-학습과 평가의 연계를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 (28) : 259 ~ 288

  8. [학술지] 김창원 / 1999 / 국어교육 평가의 구조와 원리 / 한국초등국어교육 15

  9. [학술지] 김창원 / 2013 / ‘문학 능력’의 관점에서 본학습자 중심 문학교육학의 철학과 방향 / 문학교육학 (40) : 31 ~ 56

  10. [학술지] 김창원 / 2013 / 문학교육 평가론의 자기 성찰 / 국어교육학연구 (47) : 99 ~ 124

  11. [학술지] 남민우 / 2013 / 고등학교 학생들의 시 학습 경향 및 감상 능력 연구 / 문학교육학 (40) : 239 ~ 267

  12. [학술지] 남민우 / 2013 / 시 작품의 주제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이해와 표현 양상 연구 / 문학교육학 (41) : 239 ~ 268

  13. [학술지] 김현정 / 2014 / 고등학교 학생들의 고전시가 학습 경향과 감상 능력 연구 / 새국어교육 (98) : 523 ~ 571

  14. [단행본] 도정일 / 1994 /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 민음사

  15. [단행본] 박영목 / 1996 / 국어교육학원론 / 교학사

  16. [단행본] 박인기 / 1997 / 문학교육과정론 / 삼지원

  17. [학술지] 염은열 / 2009 / 학습자의 자기 이해를 위한 문학교육 평가 방안 탐색 / 국어교육학연구 (34) : 345 ~ 370

  18. [학술지] 우한용 / 2009 / 문학교육의 목표이자 내용으로서 문학능력의 개념, 교육 방향 / 문학교육학 (28) : 9 ~ 40

  19. [단행본] 이삼형 / 2000 / 국어교육학 / 소명출판사

  20. [단행본] 이홍우 / 1995 / 교육의 개념 / 문음사

  21. [단행본] 정재찬 / 2014 / 문학교육개론 I / 역락

  22. [학술지] 조희정 / 2010 / 고전시가교육 평가 연구 (1) -평가 프레임을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 (31) : 153 ~ 185

  23. [단행본] 정혜승 / 2008 / 국어 교육의 이해 / 사회평론

  24. [학술지] 최인자 / 2009 / 문학 영역의 교실 내 평가 정착을 위한 ‘실제적 평가’의 방향성 / 국어교육연구 (45) : 347 ~ 380

  25. [학술지] 최지현 / 2009 / 문학능력의 위계적 발달ㆍ평가 모형 / 문학교육학 (28) : 41 ~ 93

  26. [단행본] 최현섭 / 1996 / 국어교육학 개론 / 삼지원

  27. [단행본] Dewey, J. / 1987 / 민주주의와 교육 / 교육과학사

  28. [단행본] Hamlyn, D. W. / 1990 / 경험과 이해의 성장 /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