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수퍼바이저와의 협동관계가 사회복지사 (수퍼바이지)의 업무만족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orporativ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on Social Workers (Supervises)' Working Satisfaction and Burnout

한국사회복지학
약어 : -
2008 vol.60, no.2, pp.211 - 230
DOI : 10.20970/kasw.2008.60.2.009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복지학
Copyright © 한국사회복지학회
165 회 열람

수퍼비전의 업무는 사회복지 사업분야, 특히 사회복지 사업에 대한 훈련을 제대로 받지 못한 대다수의 현장 종사자들에게는 클라이언트에게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업무다 (Dolgoff, 2005). 사회복지사업이 대인 관계 및 권한부여에 두는 가치를 고려하면, 수퍼비전은 자원제한으로 특징 지워진 환경 내에서 여러 전문분야 간의 협력을 촉진하는 사회복지 사업의 목표를 달성할 필연적인 수단이 된다.본 연구에서는 수퍼바이저와의 협동작업으로 개념화된 수퍼비전 관계의 특성과 수퍼바이지의 업무만족과 소진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비록 교육상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를 혼합 집단으로 하여 샘플을 구성했을 지라도, 사회복지 사업에 대한 중요한 함축적 의미, 특히 여러 전문분야에 걸친 프로그램에 응용된 것들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수퍼비전 관계가 상호 밀접해질수록, 일선에서 클라이언트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들 간에 높은 업무만족과 낮은 소진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는 일반적인 주장을 지지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 모두가 알고 있는 협동 작업을 수립하는 수단으로 대인 서비스에서의 수퍼비전 관계를 조사함으로써 문헌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한국 내의 사회복지 센터에서 현장 업무를 하는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정식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하지 않고, 더구나 사회복지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 간의 정규적인 수퍼비전이 결핍된 채로 사회복지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실제로 사회복지 업무를 하는 사회복지사 자격증 미소지자들과 사회복지사 수퍼바이저 간의 협동관계를 이들의 업무만족과 소진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즉 본 연구결과가 이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도록 연구 기법을 개발할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supervisory relationship, conceptualized as working alliance, on social workers' working satisfaction and burnout. The consented participants were 68 supervisors and 80 supervises working at Social Servic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es of survey results from supervisors (n=68) and workers (n=80) revealed that the workers' sense of rapport within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is related to working satisfaction. While it was expected that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would also relate to levels of burnout, no association was found in the analyses. However, strong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supervises' feelings of rapport within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and both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The implication of future research and of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were added.

수퍼비전, 협동관계, 업무만족, 소진
Supervision, Corporative Relationship, Working Satisfaction, Burnout

  • 1. [학술지] 강철희 / 2005 / 사회복지 수퍼비전의 방향 및 변인들에 관한 고찰: 연구와 실천 방향을 위한 논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7 (1) : 29 ~ 1 kci
  • 2. [학위논문] 김수미 / 2005 / 수퍼비전 기능이 지역사회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인식 및?수행에 미치는 영향
  • 3. [학술지] 김지연 / 2007 / 학교사회복지사의 학습조직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연구:Senge의 학습조직 구성요소의 적용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9 (1) : 83 ~ 1 kci
  • 4. [단행본] 김융일 / 2002 / 사회복지수퍼비전론 / 양서원
  • 5. [학술지] 류상열 / 1993 / 사회사업실제에 있어서 수퍼비전의 기능과 역할 / 사회복지 / 188
  • 6. [학위논문] 문지은 / 2004 / 사회복지관의 수퍼비전이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7. [학위논문] 박일연 / 1998 / 지역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의 지지적 수퍼비전이 워커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8. [학술지] 양옥경 / 2003 / 사회복지서비스와 전문자격제도 / 사회복지 / 158
  • 9. [학술지] 이명신 / 2004 / 사회복지사의 소진과정(Burnout Process) 모델-직업관련 스트레스 요인, 직무스트레스와 전문직효능성에 의한 소진 경로분석- / 한국사회복지학 / 56 (4) : 5 ~ 4 kci
  • 10. [학위논문] 이은주 / 2004 / 사회복지관에서의 수퍼비전 인식에 관한 연구
  • 11. [학술지] 이종국 / 2001 / 정신보건에 종사하는 인력들의 소진 (Burnout)의 현황과 대책 / 용인정신 의학보 / 8 (1) : 25 ~ 1
  • 12. [학위논문] 이지연 / 2002 / 수퍼비전 만족요인 연구
  • 13. [학위논문] 진동숙 / 2001 /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의 수퍼비전과 사회복지사의 소진과의 관계연구
  • 14. [학위논문] 차은영 / 2001 /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Burnout 과 지지적 수퍼비전의 관계
  • 15. [학위논문] 최미경 / 1999 / 사회복지관에서의 수퍼바이저와 사회복지사간의 수퍼비전의 인식에 대한 연구
  • 16. [단행본] Bordin, E. / 1994 / Theory and research on the therapeutic working alliance: New directions in:The Working Alliance,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 Wiley
  • 17. [학술지] Cole, D. / 2004 /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of licensed social workers: Perceived efficacy as a mediator쟯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oad and job satisfaction / Journal of쟔ocial Service Research / 31 (1) : 1 ~ 1
  • 18. [단행본] Dolgoff, R. / 2005 / An Introduction to Supervisory Practice in Human쟔ervices / Pearson
  • 19. [단행본] Dollard, M. F. / 2001 / Occupational쟔train and Eefficacy in Human Service Workers / Kluwer Academic Publishers
  • 20. [학술지] Efstation, J.F. / 1990 / Measuring the쟷orking alliance in counselor supervision / Journal of Counseling쟑sychology / 37 (3) : 322 ~ 3
  • 21. [학술지] Friedman, C. / 2000 / Burnout in teachers: Shattered dreams쟯f impeccable professional performance / JCLP/in Session Psychotherapy in Practice / 56 (5) : 595 ~ 5
  • 22. [학술지] Gibbs, A. / 2001 / Maintaining front-line workers in child protection: A case쟣or refocusing supervision / Child Abuse Review / 10 : 323 ~
  • 23. [학술지] Harkness, D. / 1995 / The art of helping in supervised practice: Skills, relationships, and outcomes / The Clinical Supervisor / 13 (1) : 63 ~ 1
  • 24. [학술지] Himle, D. / 2000 / The buffering effects of four types of supervisory support on work stress / Administration in쟔ocial Work / 13 (1) : 19 ~ 1
  • 25. [단행본] Jayaratne, S. / 2003 /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in social work in Stress and Burnout in the Human Service Professions / Pergamon Press, Inc
  • 26. [단행본] Kadushin, A. / 1992 / Supervision in Social Work (3rd ed.) / 잺olumbia University Press
  • 27. [단행본] Kadushin, A. / 2002 / Supervision in Social Work (4th ed.) / Columbia University Press
  • 28. [학술지] Kaye, L. / 2001 / Coping skills and learning in social work field education / The Clinical Supervisor / 20 (2) : 31 ~ 2
  • 29. [학술지] Koeske, F. / 1995 / The impact of overinvolvement o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 65 (2) : 282 ~ 2
  • 30. [학술지] Lloyd, C. / 2002 / Social work, stress, burnout: A review / Journal of Mental Health / 11 (3) : 255 ~ 3
  • 31. [단행본] Maslach, C. / 1996 /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Inc
  • 32. [학술지] Mean, C. / 2007 / "The effects of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on worker outcomes /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 34 (1) : 55 ~ 1
  • 33. [단행본] Middleman, R. / 1985 / Competent Supervision: Making Imaginative Judgments / Prentice-Hall
  • 34. [학술지] Mor Barak, M.E. / 2001 / Antecedents to retention and turnover among child welfare, social work, and other human service employees: what can we learn from past research: A review and metaanalysis / Social Service Review / 75 (4) : 625 ~ 4
  • 35. [학술지] Newsome, M. / 1991 / Job satisfaction and the쟷orker-supervisor relationship / The Clinical Supervisor / 9 (2) : 110 ~ 2
  • 36. [학술지] Overholser, J. / 2004 / The four pillars of psychotherapy supervision / Journal of Clinical Supervision / 23 (1) : 1 ~ 1
  • 37. [학술지] Perrault, E. / 2005 / Coaching with social work field education / The Clinical Supervisor / 23 (2) : 47 ~ 2
  • 38. [단행본] Pines, A. / 2003 / On burnout and the buffer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Stress and Burnout in the Human Service Professions / Pergamon Press
  • 39. [단행본] Robinson, V. / 1936 / Supervision in Social Casework / North잺arolina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 40. [학술지] Rauktis, E. / 1994 / Maintaining social worker morale: When쟳upportive supervision is not enough /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 8 (1) : 39 ~ 1
  • 41. [학술지] Riggs, S. / 2006 / Attachment processes in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 Professional Psychology:쟓esearch and Practice / 37 (5) : 558 ~ 5
  • 42. [학술지] Rogers, C. / 1997 /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therapeutic personality change /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 21 : 95 ~
  • 43. [학술지] Siebert, D. / 2005 / Personal and occupational factors in burnout among practicing social workers: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managers /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 32 (2) : 25 ~ 2
  • 44. [학술지] Shouksmith, G. / 1990 / Construction of a쟭ultidimensional scale of job satisfaction / Psychological Reports / 67 (2) : 355 ~ 2
  • 45. [학술지] Sumerel, M. / 1996 / Addressing personal issues in쟳upervision: Impact of counselors' experience level on various aspect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 35 (4) : 268 ~ 4
  • 46. [단행본] Tsui, M. / 2005 / Social Work Supervision / Sage
  • 47. [학술지] Wolpin, J. / 2000 / Is job satisfaction an antecedent or a consequence of psychological burnout / Human쟓 / 44 (2) : 193 ~ 2
  • 48. [학술지] Zunz, J. / 2006 / Resiliency and burnout: Protective factors for human service managers /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 22 (3) : 39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