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사별 후 성장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는것이다. 선행연구 및 기존 척도들을 참고로 문항을 개발하고,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 예비조사를 거쳐 척도의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배우자 사별노인 308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24개의 문항이 결정되었으며, 사별 후 성장척도의 5요인 구조가 도출되었다. 둘째, 공인타당도검증을 위해 비탄반응척도(HGRC: Hogan and Schmidt, 2001) 가운데 ‘개인적 성장’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별 후 성장과 HGRC 개인적 성장은 높은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공인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셋째, 대비집단 타당도 검증을 위해 심리적 안녕감척도(PWB: Ryff and Keyes, 1995)와 슬픔극복척도(GRI: Remondet and Hansson, 1987)의 상·하위 30% 집단 간에사별 후 성장점수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제시되었다. 넷째, 사별 후 성장척도의 내적일치도는 .907(하위요인 .649~.856)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본 척도의 신뢰성을 입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사별 후 성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특히 학력이 가장 강력한 예측요인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별 후 성장척도의 타당도는 높은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척도는 사회복지 및 임상분야 실천가들에게 사별자에 대한 성장지향적인 실천적 개입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개입 시 활용가능한 객관적인 평가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키워드

사별 후 성장, 척도개발, 타당도 검증, 노년기

참고문헌(55)open

  1. [학술지] 강인 / 1998 / 여성의 배우자 사별 스트레스 적응 과정에서 개인 내적 요인들의 중재적 역할 / 대한가정학회지 36 (4) : 95 ~ 107

  2. [학술지] 김보라 / 2010 / 자아탄력성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 (1) : 117 ~ 136

  3. [학술지] 김승연 / 2007 / 노인 집단에서 배우자의 사별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6 (3) : 573 ~ 596

  4. [학술지] 김진수 / 2011 / 친밀한 관계경험과 성장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일반 30 (3) : 793 ~ 809

  5. [학술지] 김태국 / 2012 /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과 의도적 반추에 따른 외상후성장과 문화적응 / 북한학보 37 (2) : 147 ~ 173

  6. [단행본] 노형진 / 2008 / Amos에 의한 공분산구조분석[원리편] / 한올출판사

  7. [학술지] 류정희 / 2007 / 청소년의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그 구조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4 (1) : 55 ~ 77

  8. [학위논문] 박은아 / 2014 / 성인의 대인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낙관성과 관계의 질의 다중매개효과

  9. [학술지] 박혜옥 / 2013 / 부부친밀감에 따른 배우자 사별노인의 사별스트레스가 우울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중재-매개모형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 (4) : 933 ~ 951

  10. [학술지] 박혜원 / 2006 /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영성 및 외상관련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상담학연구 7 (1) : 201 ~ 214

  11. [단행본] 성태제 / 2002 / 타당도와 신뢰도 / 학지사

  12. [학술지] 손의성 / 2007 / 배우자 사별 노인의 대처자원, 배우자 죽음의 질이 사별 적응에 미치는 영향-선택, 최적화, 보상(SOC)의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인간발달연구 14 (3) : 65 ~ 86

  13. [학위논문] 윤인영 / 2010 / 배우자 사별 여성노인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14. [학술지] 손의성 / 2008 / 배우자 사별노인의 종교참여와 대처자원 및 우울에 관한 연구 / 노인복지연구 (41) : 183 ~ 204

  15. [학술지] 송승훈 / 2009 / 한국판 외상후 성장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 (1) : 193 ~ 214

  16. [학술지] 장수지 / 2013 / 노년기 배우자 사별 후 적응과정에서의 개인적 성장 / 한국사회복지학 65 (4) : 165 ~ 193

  17. [학위논문] 최승미 / 2008 /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18. [학술지] 최승미 / 2013 / 인지적, 문제해결적 행동 대처 및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PTSD 증상 수준에 따라 / 인지행동치료 13 (2) : 307 ~ 328

  19. [단행본] Affleck, G. / 1991 / Infants in Crisis: How Parents Cope with Newborn Intensive Care and Its Aftermath / Springer-Verlag

  20. [학술지] Armeli, S. / 2001 / Stressor appraisals, coping, and post-event outcomes: The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stress-related growth /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0 : 366 ~ 395

  21. [학술지] Bonanno, G. A. / 2004 / Loss, trauma, and human resilience: Have we underestimated the human capacity to thrive after extremely aversive events? / American Psychologist 59 : 20 ~ 28

  22. [학술지] Braun, M. J. / 1994 / Meaning reconstruction in the experience of parental bereavement / Death Studies 18 : 105 ~ 129

  23. [학술지] Byrne, G. J. A. / 1994 / A longitudinal study of bereavement phenomena in recently widowed elderly men / Psychological Medicine 24 : 411 ~ 421

  24. [단행본] Calhoun, L. G. / 1998 /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 Changes in the Aftermath of Crisis / Erlbaum : 215 ~ 238

  25. [단행본] Calhoun, L. G. / 2001 / Meaning Reconstruction and the Experience of Loss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157 ~ 172

  26. [학술지] Carr, D. / 2004 / Gender, preloss marital dependence, and older adult's adjustment to widowhood /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 : 220 ~ 235

  27. [학술지] Caserta, M. S. / 2007 /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inventory of daily widowed life(IDWL): Guided by the dual process model of coping with bereavement / Death Studies 31 : 505 ~ 535

  28. [학술지] Davis, C. G. / 1998 / Making sense of loss and benefiting from the experience: Two construals of meaning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 561 ~ 574

  29. [학술지] Edmonds, S. / 1992 / Perceived changes in life meaning following bereavement / OMEGA 25 : 307 ~ 318

  30. [단행본] Gallagher-Thompson, D. / 1993 / Handbook of Bereavement: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227 ~ 239

  31. [학술지] Gerrish, N. / 2009 / Post-traumatic growth and bereavement / Mortality 14 (3) : 226 ~ 244

  32. [학술지] Ghesqiere, A. / 2013 / Outcomes of bereavement care among widowed older adults with complicated grief and depression / Journal of Primary Care and Community Health 4 (4) : 256 ~ 264

  33. [단행본] Havighurst, R. J. / 1972 / Development Tasks and Education / David McKay Company

  34. [학술지] Hobfoll, S. E. / 2007 / Refining our understanding of traumatic growth in the face of terrorism: Moving from meaning cognition to doing what is meaningful /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Journal 56 (3) : 345 ~ 366

  35. [학술지] Hogan, N. S. / 2001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ogan Grief Reaction Checklist / Death Studies 25 : 1 ~ 32

  36. [학술지] Hogan, N. S. / 2002 / Testing the grief to personal growth mode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Death Studies 26 : 615 ~ 634

  37. [학술지] Kawaai, C. / 2004 / Adjustment to spousal bereavement and successful aging: A 16-year longitudinal study / The Japanese Journal of Psychology 75 (1) : 49 ~ 58

  38. [학술지] Linley, P. A. / 2004 /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7 : 11 ~ 21

  39. [학술지] Nolen-Hoeksema, S. / 2004 / Theoretical and methological issue in the assessment and interpretation of posttraumatic growth / Psychological Inquiry 15 : 60 ~ 64

  40. [학술지] Remondet, J. H. / 1987 / Assessing a widow's grief: A short index /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3 (4) : 30 ~ 34

  41. [학술지] Rosenblatt, P. C. / 2000 / Parents talking in the present tense about their dead child / Bereavement Care 19 : 35 ~ 38

  42. [학술지] Ryff, C. D. / 1995 /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4) : 719 ~ 727

  43. [학술지] Sakaguchi, Y. / 2002 / The role of meaning in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bereavement: An examination of benefit finding effect / The Japanese Journal of Psychology 73 (3) : 275 ~ 280

  44. [단행본] Schaefer, J. A. / 2001 / Handbook of Bereavement Research: Consequences, Coping, and Care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145 ~ 167

  45. [단행본] Schneider, J. M. / 1994 / Finding My Way: Healing and Transformation Through Loss and Grief / Seasons Press

  46. [학술지] Shakespeare-Finch, J. / 2010 / Trauma type and posttrauma outcomes: Differences between survivors of motor vehicle accidents, sexual assault, and bereavement / Journal of Loss and Trauma: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Stress and Coping 15 (2) : 69 ~ 82

  47. [학술지] Stroebe, M. / 1999 / The dual process model of coping with bereavement: Rationale and description / Death Studies 23 (3) : 197 ~ 224

  48. [학술지] Talbot, K. T. / 1999 / Mothers now childless: Personal transformation after the death of an only child / OMEGA 38 : 167 ~ 186

  49. [학술지] Tedeschi, R. G. / 1996 /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 (3) : 455 ~ 471

  50. [학술지] Tedeschi, R. G. / 2004 /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 Psychological Inquiry 15 (1) : 1 ~ 18

  51. [학술지] Thompson, L. W. / 1991 / The effects of late-life spousal bereavement over a 30-month interval / Psychology and Aging 6 : 434 ~ 441

  52. [학술지] Vable, A. M. / 2015 / Does the widowhood effect precede spousal bereavement? Results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older adults /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ic 23 (3) : 283 ~ 292

  53. [단행본] Worden, A. J. W. / 2008 / A Handbook for the Mental Health Practitioner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 83 ~ 120

  54. [학술지] Yalom, I. D. / 1991 / Bereavement and heightened existential awareness / Psychiatry 5 : 334 ~ 345

  55. [학술지] Zoellner, T. / 2006 /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sychology: A critical review and introduction of a two component model / Clinical Psychology Review 26 (5) : 626 ~ 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