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대학교수의 시연수업을 통한 수업 능력 향상 방안

A Study on the Improving Teaching Ability by Professors' Demonstrative Lessons

한국초등교육
약어 : -
2009 vol.19, no.2, pp.49 - 69
DOI : 10.20972/kjee.19.2.200901.49
발행기관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121 회 열람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대학교수들의 수학 시연수업을 통하여 예비교사, 현직교사들의 수업 능력과 수업과 관련한 교수들의 강의의 질 향상을 탐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초등수학교육의 실제라는 강의를 담당하고 있는 두 교수들이 학기 중에 강의한 내용을 중심으로 예비교사들의 실습 동안에 시연수업을 하였다. 시연수업은 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 및 대용부설초등학교 초등학교에서 실시하였으며 이는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제고는 물론 교수 자신의 교수법 강의에 대한 반성해 보도록 하였다. 대학교수들의 시연수업은 현장과 보다 밀접하게 연계한 강의를 하도록 함으로써 강의의 질 향상을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의 기간은 2006년 2학기부터 2007년 2학기까지 교육 실습 중 교수들이 각각 시연수업 18번과 12번 실시하여 시연수업과 실습 전반에 대한 반응을 설문 및 면담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과 현직교사들은 실습 중 대학교수의 시연수업에 대하여 강의시간에 강조한 것을 실제 현장에서 실제 수업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이론과 실제가 어떻게 교실에서 구현이 될 수 있는지를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로 보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첫째, 대학교수들의 초등학교에서의 시연수업은 대학에서의 이론과 현장의 실제 간의 연계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보았다. 그러나 보다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둘째, 보다 체계적인 교수 시연수업과 교육실습의 효율화를 위하여 실습 전담 교수제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셋째, 수업능력 향상을 위하여 교수 시연수업을 포함한 종합적인 교육정보를 제공할 실제적인 포털 사이트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teaching quality of teachers and professors using professors' demonstrative lessons. Two professors demonstrated their mathematics lessons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ring the pre-service students teaching periods. After their demonstrative lessons, the researchers surveyed and interviewed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eachers, and parent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at the lesson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professors' demonstrative lessons shows some models of lessons and thus the pre -service teachers could have opportunities to connect theories to practices. Second, professors could reflect experiences on their lectures by learning students' thinking while teaching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In addition, professors could teach pre-service teachers practice -oriented lessons. Finally, professors' demonstrative lessons help refresh the atmospheres of schools by invigorating the life of students and teachers.

교수 시연수업, 수업 능력.
Professors' Demonstrative Lesson, Teaching Ability.

  • 1. [학술대회] 경인교육대학교 / 2008 / 수학 수업 컨설팅 워크샵 / 대한수학교육학회 워크샵 프로시딩
  • 2. [보고서] 김명수 / 2004 / 수업실기능력 인증제 도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초등교사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3. [보고서] 김지자 / 2004 / 양성교육과 현직교육과의 연계 프로 그램의 개발 및 적용. 초등교사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695 ~
  • 4. [학술지] 김지자 / 2001 / 초등 예비교사 교육 실습에 관한 연구 / 학생생활연구 / 27
  • 5. [학술지] 박만구 / 2005 /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수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8 (2) : 291 ~ 2 kci
  • 6. [보고서] 박영만 / 2003 / 교육실습제도 개선 연구
  • 7. [보고서] 박영만 / 2004 / 교육실습제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8. [학술지] 박은혜 / 1998 / 초임 교사를 위한 입문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 한국교사교육 / 15 (1) : 220 ~ 1
  • 9. [학위논문] 박현숙 / 1997 /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적응에 관한 연구
  • 10. [보고서] 배종수 / 2005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실습기간 확대 및 교수전담제 운영 방안 연구
  • 11. [기타] 배종수 / 2008 / 교수 시연수업에 대한 수업 전, 수업 후 학생, 예비교사, 교사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자체 연구
  • 12. [단행본] 서근원 / 2003 / 수업을 왜 하지? / 우리교육
  • 13. [보고서] 송광용 / 2001 / 교원양성대학 교육실습 지도교 수제 연구. 2000년 초등교육연구소 자체과제 연구보고서
  • 14. [보고서] 심우엽 / 2004 / 교육대학과 초등학교와의 연계 프로 그램의 개발 및 적용.초등교사교육 내실화 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719 ~
  • 15. [단행본] 아리타 가츠마사 / 2003 / 교사는 어떻게 단련되는가 / 우리교육
  • 16. [학위논문] 안지선 / 2006 /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수학불안에 관한 연구-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 17. [학술지] 윤기옥 / 2001 / 반성적 교육실습프로그램에 대한 협력교사․초임교사․교생의 지각분석 / 초등교육연구 / 14 (3) : 317 ~ 3
  • 18. [학술지] 안금조 / 2001 / 초등 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과 수학수업의 관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5 (1) : 121 ~ 1 kci
  • 19. [학위논문] 이승복 / 1998 / 초임교사의 교직 적응에 관한 연구
  • 20. [학술지] 이주연 / 2003 / 초등 초임교사의 교직생활에 대한 인식과 정서 / 교육과학연구 / 34 (1) : 125 ~ 1 kci
  • 21. [학위논문] 이지현 / 2002 /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적응과 지원체제에 관한 연구
  • 22. [학위논문] 이천규 / 1996 /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현장적응력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 23. [학위논문] 장인옥 / 2001 /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 과 교수 실제에 관한 사례 연구
  • 24. [기타] 전효선 / 2008 / 다문화가정 교육 지원계획. 한국 교육과정평가원(한국일보 2008년 6월 3일) / 한국 교육과정평가원
  • 25. [학술지] 정혜영 / 2002 / 미국 초등학교 신임교사의 ‘교사間 협력 (Collegiality)'에 관한 인식 연구 / 초등교육연구 / 15 (2) : 457 ~ 2 kci
  • 26. [기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005 / PISA결과에 대한 해석. 6-3 http://classroom.kice.re.kr/kice/content02 /second03/data01/link.jsp에서 2008년 10월 20일에 발췌
  • 27. [기타] 한국교육신문 / 2006 / 서울교대 교수들의 새로운 시도. 2006년 6월 3일
  • 28. [단행본] 허혜자 / 1996 / 수학불안 요인에 관한 연구 / 경문사
  • 29. [기타] Cooper, S. / 2004 / Designing an innovative regional teacher preparation program: Reflections on early phases / West Campus (Bunbury)
  • 30. [학술지] Ginsberg, R. / 2003 / University faculty in partner schools /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 54 (2) : 150 ~ 2
  • 31. [학술대회] Jyrhama,R / 2001 / What are the right questions and the right answers in teaching practice supervision? / The International Study Association on Teachers and Teaching Conference. Faro, Portugal, September 21-25. ED 457-159
  • 32. [단행본] Ma, L. / 2002 / 초등학교 수학 이렇게 가르쳐라 / 승산
  • 33. [단행본]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 1991 /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 34. [단행본]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 2000 / Principles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 35. [단행본] Pelletier,C.M / 2004 / Strategies for successful student teaching / Pearson Education, Inc
  • 36. [기타] The International Study Center Boston College / 2006 / Mathematics benchmarking report. http://timss.bc.edu/timss1999b/mathbench_ report/t99bmath_ chap_4_4. html에서 2008 년 11월 5일에 발췌
  • 37. [기타] TIMSS International Study Center / 1995 / TIMSS highlights from the primary grades. http://timss.bc.edu/timss1995i/TIMSSPDF/P1HiLite .pdf에서 2008년 10월 25일에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