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에서는 최단비, 김경성(2015)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용 자기조절력 척도가 성별과 학년에관계없이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척도인지 검증하고자 한다. 또 잠재평균분석을 통하여 성별과학년 집단에 따라 잠재평균 차이를 보이는 지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연구대상으로 초등학생 1186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중 남학생은 589명, 여학생은 597 명이었으며, 5학년은 447명, 6학년은 739명이었다. 연구결과, 첫 번째로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학년과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용 자기조절력 척도의 구인동등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본 척도를 성별과 학년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두 번째, 성별에 따른 자기조절력의 잠재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네 가지 구성요인인 인지조절, 행동조절, 정서조절, 동기조절모두에서 성별 간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세 번째, 학년에 따른 자기조절력의 잠재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6학년 학생들이 5학년 학생보다 인지조절, 행동조절, 동기조절의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별과 학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초등학생용 자기조절력 척도를 타당화 했다는 점과 척도의 오차를 고려하여 집단 간의 평균 차이를 파악했다는 점에서 다른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이로써 본 연구의 자기조절력 척도를 통해 초등학생들이 자신의 자기조절력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자기조절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준점으로 삼을수 있다. 또 교육자는 각 학생들의 자기조절력 수준을 파악하고 맞춤식 자기조절력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년 간 자기조절력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점은 학년에 따라 차별화된 자기조절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함을 시사한다.

키워드

자기조절력,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 구인동등성, 잠재평균분석, 초등학생

참고문헌(21)open

  1. [단행본] 김주환 / 2009 /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 커뮤니케이션북스

  2. [학술지] 손승아 / 2006 /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과 심리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청소년연구 17 (1) : 127 ~ 148

  3. [학술지] 손원숙 / 2002 / 차별기능문항 기법의 응용:교육 및 심리검사의 번안과정에서 / 교육평가연구 15 (1) : 207 ~ 225

  4. [학위논문] 오보선 / 2010 / 무용 정서지능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검증

  5. [단행본] 우종필 / 2012 /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 한나래 출판사

  6. [학위논문] 윤영신 / 2007 /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 관련변인 연구

  7. [학술지] 이금호 / 2013 /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한 기질 및 성격 검사(TCI)의 구인동등성 분석 및 잠재평균분석 / 교육연구논총 34 (2) : 57 ~ 77

  8. [학위논문] 이영주 / 2008 /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발달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연구 : 아동의 자아개념과 부모, 교사, 친구의 관계를 중심으로

  9. [학술지] 정현희 / 2001 / 아동의 기질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 (5) : 1 ~ 14

  10. [학술지] 최단비 / 2015 / 초등학생용 자기조절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한국초등교육 26 (4) : 59 ~ 81

  11. [학위논문] 허정경 / 2004 / 학령기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척도 개발과 관련 변인 연구

  12. [학술지] 홍세희 / 2005 /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잠재평균분석 / 교육심리연구 19 (4) : 1159 ~ 1177

  13. [단행본] Cohen, J. / 1988 /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 Lawrence Erlbaum

  14. [단행본] Eccles, J. S. / 1998 /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III / Wiley : 1017 ~ 1095

  15. [학술지] Gralinski, J. H. / 1993 / Everyday rules for behavior : Mother's requests to young children / Developmental Psychology 29 (3) : 573 ~ 584

  16. [학술지] Hong, S. / 2003 /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3 (4) : 636 ~ 654

  17. [학술지] Kopp, C. / 1989 / Regulation of distress and negative emotions : A developmental view / Developmental Psychology 25 : 343 ~ 354

  18. [단행본] Shaffer, D. R. / 1999 / Developmental psychology : Childhood and adolescence / Cole

  19. [학술지] Paris, S. / 1990 / Developmental asp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 Educational Psychologist 25 : 87 ~ 102

  20. [단행본] Zimmerman, B. J. / 1990 / Attaining self-regulation :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 Academic Press

  21. [학술지] Zimmerman, B. J. / 1990 /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1) : 51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