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2015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특수 국어 교과 교육의 방향

The Issues and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초등교육
약어 : -
2017 vol.28, no.2, pp.77 - 92
DOI : 10.20972/kjee.28.2.201706.77
발행기관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160 회 열람

본 연구는 일반 국어과 교육을 연구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일반 국어과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점 중에서 초등 특수 국어 교과 교육에서 강조했으면 하는 점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 특수 교과 교육은 일반 국어 교과 교육의 연장선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깊은 관련을 맺고있기 때문에 우선 일반 초등 국어과 교육에서의 강조점에 대한 논의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동안의 선행 논의들을 근거로, 국어과 교육에서 쟁점이 되어 왔던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중에서도 도구 교과와 내용 교과의 논쟁, 영역 구분의 문제, 맥락과 태도 설정의 문제 등에 대해살펴보았다. 이는 앞으로 초등 특수 국어 교과 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점을 설정하는 데 의의가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 다음, 초등 특수 국어 교과 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점으로, 텍스트 생산과 수용 중심의 국어교육, 과정 중심의 국어교육, 통합적 국어교육, 활동 중심의 국어교육, 자기 주도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국어교육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각 원리의 쟁점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각각의 문제에 깊이 있게 탐색하거나근거를 밝히기보다는 초등 특수 국어과 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방향을 거시적으로 설정하는 데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should be emphasized in elementary special Korean language education. Among the points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gene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oints to be emphasized i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are examined. First, I looked at the problems that have been an issu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sputes of subject matter and content subject, problem of area classification, problem of setting context and attitude. In addi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ext production and acceptance cente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cess - orien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ctivity - orien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elf - 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suggested as points to be emphasized in elementary special Korean language curriculum education . We discussed the issues of each principle and the ways to implement them.

국어 교과 교육, 텍스트 중심, 도구 교과, 활동 중심, 자기 주도, 통합적 국어교육
Korean language curriculum, Text center, Instrument curriculum, Activity center, Self-led,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 1. [단행본] 김동일 / 2011 / 특수 교육학 개론 / 학지사
  • 2. [보고서] 김창원 / 2015 /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Ⅰ
  • 3. [단행본] 노명완 / 1988 / 국어과교육론 / 갑을출판사
  • 4. [단행본] 신헌재 / 2011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개발과정과 전망 / 미래엔
  • 5. [보고서] 엄해영 / 2014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개발의 쟁점과 개선 방안 연구
  • 6. [학술대회] 이경화 / 2006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과 전개 방식 탐색, <국어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점검 및 교과서 개발 방향 / 학술대회 자료집
  • 7. [단행본] 이재승 / 2002 / 글쓰기교육의 원리와 방법 / 교육과학사
  • 8. [단행본] 이재승 / 2004 / 아이들과 함께하는 독서와 글쓰기 교육 / 박이정
  • 9. [단행본] 전병운 / 2013 / 장애 학생을 위한 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 학지사
  • 10. [단행본] 김명순 / 2001 / 과정 중심 독서 지도 / (주)교학사
  • 11. [학술지] Flower L. S. / 1981 / cognitive process theory of writing /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32 : 365 ~
  • 12. [단행본] Goodman K. / 1986 / What whole in whole language / Heinema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