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초등학교 6학년 EFL 학습자들이 겪는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와의 학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n the Grade Six Korean EFL Learners' Learning Experiences with a 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

한국초등교육
약어 : -
2017 vol.28, no.3, pp.35 - 47
DOI : 10.20972/kjee.28.3.201709.35
발행기관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187 회 열람

본 연구는 현상학적 분석의 방법을 통해 초등학교 6학년 EFL 영어 학습자들이 겪는 원어민영어 보조교사와의 학습 경험의 본질을 탐구하였다. 서울 A초등학교 6학년 학생 6명을 연구 참가자로 선정했다.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와의 수업을 관찰하고 관찰노트를 기록하였으며, 반구조화된 개별 심층 면담 및 집단 면담을 실시하고 녹음 후 전사하였다. 면담 자료 전사, 중요 발화선정 및 의미 추출, 주제 발견의 순서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와의 영어학습 경험의 의미를 6가지의 대주제(성공과 좌절의 반복, 영어 학습자로서의 나에 대한 성찰, 수업에서 가로새기, 영어학습, 문화학습, 이상적인 교사상의 확립)와 12가지의 소주제(성공, 좌절, 영어 학습에 대한 성찰, 더 넓은 시공간으로 나를 옮겨두기, 해방, 필요성 회피, 실제적인 영어의사용, 영어 지식의 확장, 우리나라에 대한 외국인의 시선 확인,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차이 확인, 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성찰, 온정적 대화에의 참여)로 구조화했다. 이로부터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와의 학습은 기존 연구들에서 주로 초점을 맞춰온 영어 능력 및 영어 학습에 대한 인지적·정의적인 측면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 측면, 인간적인 관계 형성에 대한 성찰 등에 까지 폭넓은 영향력을 행사함을 확인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어 학습의 본질을 반영한초등 영어 교육 관련 정책, 초등 영어 교수학습의 방법과 내용, 초등 영어 교사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며, 관련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n phenomenological exploration of the grade six Korean EFL learners' experience with a 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 To achieve the purpose, participants (N=6) were chosen using a purposeful sampling strategy.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classroom observations were conducted. Interview data was transcrib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Field notes were taken for each observation. Data triangulation, peer debriefing, and member checking techniques were used to establish validity. As a result, six themes and twelve sub-themes were established to describe the meanings of the grade six Korean EFL learners’ learning experiences with a 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 On the basis of the result,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the researches and practice in the future.

영어 학습 경험,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 현상학적 연구, 초등학교 EFL 학습자
English learning experience, 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 Phenomenological study, Korean EFL lear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