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초등교사의 프로젝트 학습 수행에 대한 체험연구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 of Project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미술과 교육
약어 : -
2008 vol.9, no.2, pp.115 - 140
DOI : 10.20977/kkosea.2008.9.2.115
발행기관 :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연구분야 : 미술
Copyright ©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40 회 열람

본 연구는 프로젝트 학습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5명의 초등교사의 체험을 그 과정에서 겪은 아동과 교사의 이미지 등 교사의 삶 전반에 대한 변화를 그들을 인터뷰한 기록 자료를 바탕으로 해석학적 현상학에 의해 드러낸 연구이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아동 개개인의 주관성을 바탕으로 아동들의 상황을 존중하는 프로젝트 교수-학습과정을 통해 강하고 유능한 아동을 발견하게 됨으로써 현 학교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에 대해 반성하는 계기를 갖게 된다. 정해진 교육과정의 틀에서 교육을 해오면서 아동위에 있다는 권위적인 생각을 버리고 더 이상 교사는 지식 전달자요, 학습을 안내하는 안내자가 아니라 지식의 공동 구성자임을 이해하게 된다. 그에 따라 아동을 면밀히 관찰하고 그들의 말에 귀 기울이며 기록 작업을 통해 스스로 반성하고 활동 자료를 수집하고 동료 교사와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여 끊임없이 토론하고 해석하게 되는 열린 자세의 교사가 되어간다. 또 아동의 의미는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더욱 민감해지고 새롭게 구성된 아동관과 교사관이 바탕이 되어 교사의 삶에 총체적인 변화까지 체험하게 된다. 그리고 교사들은 이러한 체험을 통해 교사 자신 안에 잠재되어 있던 능력 또한 발견하게 되고, 자존감과 자신감을 갖고 학교생활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 속에서도 긍정적이며 자긍심을 가지고 생활해가는 변화를 겪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they conducted project learning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profound changes experienced by teachers throughout this experience. To address this research question,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was applied because thi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makes it possible to approach subjects in a more practical and holistic way. In additi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ocus on the nature of experiences, existential investigation, reflection on hermeneutic phenomenology, and wr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hermeneutic phenomenology. The subjects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never offered project learning before. From the teachers, in‐depth interview data, journals, letters, and articles were gathered from September 2006 through November 2006. Analysis of the teachers’ statements revealed three themes: “kids who give lessons,” “embracing kids deep in heart,” and “listening to oneself,” The three themes were classified into subcategories. Four major findings resulted from this study. First, project learning chang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s of their children. Although they previously considered many of their students to be feeble and passive, they now viewed them as competent and as having elastic potential. As a result of project learning, teachers believed that children had the spirit of inquiry, were full of curiosity, and could lead their own learning. Second, project learning chang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 of the role of teachers in education. They came to regard children as joint constructors of knowledge who could take the initiative in projects, and as life companions. Teachers listened to them and understood them deeply, which allowed them to have a deeper relationship with them and back them up in a discreet way. Third, the fulfillment of project learning brought a change to the overall live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experience enabled them to find their hidden abilities, and to live in a manner becoming of a teacher, with confidence and self-esteem. Fourth, the experience of fulfilling project learning gave teachers perspective about the images of themselves that they projected in their classrooms.

체험연구, 강하고 유능한 아동, 지식의 공동구성자로서 교사, 교사다운 교사
the methodology of lived experience, strong and competent child, teacher as a co-constructer of the knowledge, teacher of teacherly

  • 1. [학위논문] 고전 / 1996 / 교사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2. [단행본] 김광자 / 2005 / 교육학 개론 / 집문당
  • 3. [단행본] 김규수 / 1996 / 아동 중심적 유아교육론 / 학지사
  • 4. [학술대회] 김시혜 / 1995 / 아동?가족 연구를 위한 최신통계기법 / 제 17차 한국아동학회 추계워크샵
  • 5. [학술지] 김용식 / 1994 / Heidegger 철학에서 본 가르침의 예술적 의미 / 인천교육대학교 논문집 / 28 (5) : 341 ~ 5
  • 6. [학위논문] 손승아 / 2000 / 첫 어머니됨의 체험 연구
  • 7. [학술지] 양미경 / 1998 / 교육과 시간: 시간의 의미에 대한 교육적 이해 / 교육원리연구 / 3 (1) : 1 ~ 1
  • 8. [단행본] 서우석 / 1992 / 지각의 현상학 / 청하출판사
  • 9. [학술지] 오만석 / 1986 / 현대 해석학적 관점에서 본 의미소통의 과정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이론 / 1 (1) : 85 ~ 1
  • 10. [학술대회] 오문자 / 2006 / 어린이들의 삶과 교육 보육과정의 운영: 사회-구성주의적 접근 / 한국유아 교육학회 정기 총회 및 정기 학술대회 자료집
  • 11. [학위논문] 오종숙 / 2003 / 레지오에밀리아 교육 사상과 그 실천에 관한 연구
  • 12. [학술지] 오종숙 / 2007 / 소그룹 프로젝트에서 아동의 표현전략 고안을 위한 교사의 지원전략에 관한 연구 / 미술과 교육Journal of Research in Art and Education / 8 (1) : 131 ~ 1
  • 13. [단행본] 이영자 / 1999 / 유아 교수?학습 방법 / 창지사
  • 14. [단행본] 이현림 / 2005 / 새 교육학 개론 / 원미사
  • 15. [단행본] 정영근 / 2002 / 교육학 개론 / 문음사
  • 16. [단행본] 진권장 / 2005 / 교수ㆍ학습과정의 재개념화: 해석학적 관점에서의 반성적 이해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 17. [단행본] 최명선 / 2005 / 해석학과 교육 / 교육과학사
  • 18. [단행본] 최한수 / 2000 / 아동 중심 교육과 존 듀이 / 문음사
  • 19. [단행본] 한전숙 / 1998 / 현상학 / 민음사
  • 20. [단행본] 황윤한 / 2003 / 교수-학습의 패러다임적 전환 / 교육과학사
  • 21. [학술지] 허숙 / 1995 / 교육과정의 재개념화를 위한 이론적 탐색 / 교육학 연구 / 33 (15) : 217 ~ 15
  • 22. [단행본] 허숙 / 1997 / 교육현상의 재개념화 / 교육과학사
  • 23. [단행본] Entwistle, H / 1991 / Child-centred education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24. [단행본] Gdamer, H / 1996 / Truth and method / The Continnum Publishing Company
  • 25. [단행본] Gardner, H / 1993 / 마음의 틀Frames of mind / 문음사
  • 26. [단행본] Malaguzzi, L / 1993 / 레지오 에밀리아의 유아교육The hundred languages of children: Reggio Emillia approach to childhood education / 정민사
  • 27. [학술지] Munhall, P / 1988 / Ethical consideration in qualitative research / Journal of Nursing Research / 10 (2) : 150 ~ 2
  • 28. [단행본] Heidegger, M / 1998 / 예술 작품의 근원Der Ursprung des Kunstwerkes aus Holzwege / 예전사
  • 29. [기타] Rinaldi, C / 1996 / 레지오에밀리아 교육철학 / 연구자 현지연수 강의 기록
  • 30. [학술지] Rinaldi, C / 1998 / 교육적 프로젝트의 구성 / 한국 레지오 어린이 뉴스레터
  • 31. [단행본] van Manen, M / 1994 /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 방법론Researching lived experience / 동녘
  • 32. [단행본] von Glasersfeld, E / 1995 / Radical constructivism: A way of knowing and learning / Fal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