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초등 미술교육이라는 강의를 통해 만난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 표현 기능 부족에 대한 불안감, 그로 인한 미술 교수에 대한 두려움의 원인을 찾고 그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방안으로 이론적으로는 “이해로서의 미술”과 “삶을 위한 미술”의 의미를 살펴보고, 실천적 방안으로는 “삶을 위한 미술 프로젝트: 미술을 통한 자기 정체성의 이해”라는 예비 초등교사들을 위한 미술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과 결과를 소개한다. 아동의 미술 경험에 예비 초등교사들이 끼칠 수 있는 영향력, 중요성을 생각할 때, 현재의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점검과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의 논의는 구체화될 필요성이 크다. 이 연구에서 소개되는 정체성 이해 프로젝트는 앞으로 예비 초등 교사들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키워드

삶을 위한 미술, 정체성, 예비 초등 교사를 위한 미술교육, 교육과정 개발

참고문헌(13)open

  1. [단행본] 교육과학기술부 / 2009 /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V) / 미래엔 컬처그룹

  2. [단행본] 권근영 / 2011 / 나는 예술가다 / 세미콜론

  3. [단행본] 박정애 / 2008 / 의미 만들기의 미술 / 시공사

  4. [학술지] 박정애 / 2009 / 비평적 교수법: 삶의 텍스트 안에서의 의미 만들기 / 미술과 교육 10 (2) : 119 ~ 136

  5. [학술지] 정옥희 / 2010 / 한국 학교 미술교육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미술과 교육과정을 둘러싼 제도적 쟁점 고찰 / 예술교육연구 8 (1) : 71 ~ 94

  6. [단행본] Anderson, T / 2005 / Art for life.New York / McGraw-Hill

  7. [단행본] Check, E / 2002 / In the trenches, in Contemporary issues in art education / Prentice Hall : 51 ~ 58

  8. [단행본] Congdon, K. G / 2002 / Mapping identity for curriculum work, in Contemporary issues in art education / Prentice Hall : 108 ~ 118

  9. [학술지] Duncum, P / 1997 / Art education for new times / Studies in Art Education 38 (2) : 69 ~ 79

  10. [단행본] Gardner, H / 1980 / Artful scribbles:The significance of children's drawings.New York / Basic Books

  11. [학술지] Jeffers,C.S / 1999 / What happens when we ask,"what is art?"Art / what is art?” Art Education 52 (1) : 40 ~ 44

  12. [단행본] Lawler, S / 2008 / Identity: Sociological perspectives / Polity Press

  13. [학술지] Brent Wilson / 2009 / Honoring Artworks with Inspired Interpretations and Writing Visual Culture within the Texts of Our Lives / 미술과 교육 10 (2) : 1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