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장애유아를 위한 협력교수의 수행요소와 전제조건에 관한 연구

Co-teaching Components and Premise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특수아동교육연구
약어 : -
2007 vol.9, no.1, pp.173 - 201
DOI : 10.21075/kacsn.2007.9.1.173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특수아동학회
220 회 열람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장면에서 교수방법으로 논의되는 협력교수를 직접 적용하고 있는 일반유아교사와 특수유아교사들에게 협력교수 경험과 조망을 통하여 협력교수에 필요한 협력교수의 수행요소와 전제 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장애유아 완전통합교육 장면에서 최초로 협력교수를 시작하여 9년간 실시해온 학교의 일반유아교사와 특수유아교사 7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통해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협력교수의 수행요소는 : (1) 철학과 신념에 대한 토론: 철학과 신념, 동등성 확인, 협력교수의 이점과 목표 확인; (2), 역할과 책임의 한계 설정: 협력교수 유형, 역할과 기대 및 책임; (3) 의사소통 기술 공유: 아동문제 해결과 관련된 의사소통, 교수 전반에 관한 의사소통; (4) 문제해결 방법의 공유: 아동의 문제행동 대처, 교사 간 갈등 해결; (5) 시간확보 및 관리 전략의 공유: 협력교수 계획, 아동 평가, 수업 평가; (6) 공동 협의에 의한 교수계획: 개별 아동의 목표 확인, 교수내용 및 목표 확인, 교수내용과 방법 및 환경의 수정이었다. 또한 협력교수의 수행요소들을 수행하기 이전의 전제 조건은 협력교수의 자원 및 교사간 상호지명이 가능한 학교의 행정적 지원이 준비된 협력교수 상황에서 교사간의 신뢰형성이 중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제안된 협력교수의 수행요소와 전제는 협력교사들, 협력교수를 실시하려는 행정가, 교사 양성과정의 적용 및 협력교사 관계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teaching components and premise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urrent practice of co-teaching in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of co-teachers related to components and premise of co-teaching, this study clarified the premise and components of co-teaching, and discussed the premise required for voluntary spontaneity, administrators support co-teaching, open-minded respect and trust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ditio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t components required for discussion on difference of philosophical basis, shared communication, shared problem solving, identified roles and responsibilities, effort to reserve and create time for co-teaching.

협력 교수, 협력교수의 수행 요소, 협력교수의 전제 조건
Co-teaching, Co-teaching components and premise

  • 1. [학위논문] 김라경 / 2001 / 협력교수가 일반아동과 학습장애아동의 사회과 학업 성취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2. [학위논문] 김영옥 / 2003 / 공동교수 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연구
  • 3. [단행본] 김재은 / 1995 / 연구 방법 / 교육과학사
  • 4. [학위논문] 김현숙 / 2006 / 통합교육을 시행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협력교수 실태 연구
  • 5. [학술지] 박숙영 / 2004 / 통합에 대한 장애유아부모와 유아통합기관 전문가들의 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 유아특수교육연구 / 4 (1) : 5 ~ 1
  • 6. [학술지] 박은혜 / 2000 / 통합교육의 한 방법론으로서의 협력교수:개념과 실행에 관한 논의 / 특수교육연구 / 7 : 47 ~
  • 7. [학술지] 박현옥 / 2000 / 장애영유아 통합 교육의 성공적 실행을 위한 특수교사-일반 교사간 협력 / 교육과학연구 / 31 (1) : 37 ~ 1
  • 8. [학술지] 방명애 / 1999 / 특수학급 아동의 교육적 통합을 위한 방법론 / 특수교육연구 / 6 : 171 ~
  • 9. [학위논문] 우정한 / 2003 /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웹기반 협력교육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10. [학위논문] 유장순 / 2001 / 통합교육 효율화를 위한 초등학교 협력교수 수행과정 연구
  • 11. [학술지] 유장순 / 2006 /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협력교수 실행에 과한 협력교사들의 인식 분석 / 특수아동교육연구 / 8 (2) : 1 ~ 2
  • 12. [학술대회] 이숙향 / 1999 / 학교에서의 통합교육 협력체제 / 제6회 국제 세미나: 장애학생의 통합을 위한 최상을 실제 : 55 ~
  • 13. [학술지] 이소현 / 2000 /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일반교사간 협력 모형: 구조적 측면을 중심으로 / 특수교육연구 / 7 : 68 ~
  • 14. [학술지] 임동진 / 2004 / 협력교수가 지적 장애학생의 수학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 정신지체연구 / 6 : 37 ~
  • 15. [학위논문] 최미숙 / 2002 / 학습 장애아동의 완전 통합을 위한 협력 교수 적용에 관한 연구
  • 16. [학술지] 최승숙 / 2004 /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협력교수 실제 / 특수교육학연구 / 39 (3) : 269 ~ 3 kci
  • 17. [학술지] Adams, L. / 1993 / Effectiveness indicators of collaboration in special education/general education co-teaching / Preventing School Failure / 35 (4) : 37 ~ 4
  • 18. [학술지] Bauwens, J. / 1989 / Cooperative teaching : a model for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integration /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 10 (2) : 17 ~ 2
  • 19. [단행본] Bauwens, J. / 1995 / Cooperative teaching: Rebuilding the schoolhouse for all students / Pro-ed
  • 20. [학술지] Bauwens, J. / 1993 / IEP's for cooperative teaching : Developing legal and useful documents / Intervention in School and Clinic / 28 (50) : 303 ~ 50
  • 21. [학술지] Bondy / 1995 / Elementary and Special Educators Learning to Work Together: Team Building Processes / Teacher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 18 (20) : 91 ~ 20
  • 22. [학술지] Cook, L. / 1991 / Principles for the practice of collaboratio in schools / Preventing School Failure / 35 (4) : 6 ~ 4
  • 23. [학술지] Cook, Lynne / 1995 / Co-teaching: Guidelines for Creating Effective Practices / Focus on Exceptional Children / 28 (3) : 1 ~ 3
  • 24. [학술대회] Cook, Lynne / 2004 / Co-teaching: Principles, Practices and Pragmatics / New Mexico Public Education Department Quarterly Special Education Meeting Albuquerque
  • 25. [단행본] David Straus / 2005 / 협력의 기술 / 하서출판사
  • 26. [기타] Diez, Mary E. / 2002 / Collaboration for Teacher Development :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dvanced master's programs / National Council for Association of Teacher Education
  • 27. [학술지] Fager, PL. / 1993 / Teamed to teach : Integrating teacher training through co-operative teaching experiences at an urban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 / Teacher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 16 (1) : 51 ~ 1
  • 28. [학술지] Friend, M / 1992 / The new mainstreaming / Instructor / 101 (7) : 30 ~ 7
  • 29. [단행본] Friend, M / 1992 / Interactions: Collaboration Skills for school professionals / Longman
  • 30. [단행본] Friend, Marilyn / 2002 / Includ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 Practical Guide for Classroom Teachers / Allyn & Bacon, A Pearson Education Company
  • 31. [학술지] Gately, Frank, J. Jr. / 1993 / Developing Positive Co-Teaching Environments : Meeting the Needs of and Increasingly Diverse Student Population /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 93 : 1 ~
  • 32. [학술지] Gately, Susan E. / 2001 / Understanding Coteaching Components /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 33 (4) : 40 ~ 4
  • 33. [학술지] Idol, Jacobs, L. / 1991 / Education collaboration : A catalyst for effective schooling / Intervention in School and Clinic / 27 (2) : 70 ~ 2
  • 34. [단행본] Spradley J. P. / 1988 /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 대한교과서주식회사
  • 35. [학술지] Jellinek, M. S. / 1990 / School consultation: Evolving issues /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29 : 311 ~
  • 36. [단행본] John W. Creswell / 2005 /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전통 / 학지사
  • 37. [단행본] Johnson, D. W. / 1987 / Joining together: Group theory and group skills / Prentice-Hall
  • 38. [학위논문] Marti O'Dell / 2002 / A Case Study of Inclusion: Its Time to Get Mad
  • 39. [학술지] Neubert, G. A. / 1987 / Team coaching : Staff development side by side / Educational Leadership / 44 (5) : 29 ~ 5
  • 40. [학술지] Price, Joseph P. / 1991 / Effective Communication / Preventing School Failure / 35 (4) : 25 ~ 4
  • 41. [단행본] Pugach, M. C. / 1995 / Collaborative practitioners, collaborative schools / Love
  • 42. [학술지] Reddit, S. / 1991 / Two teachers working as one / Equity and Choice / 8 (1) : 49 ~ 1
  • 43. [학술지] Salend, S. / 1997 / Cooperative Teaching The Voices of Two Teachers / Remecial and Special Education / 18 (1) : 3 ~ 1
  • 44. [단행본] Sandall, Susan R. / 2003 / 장애유아 통합교육방법 / 양서원
  • 45. [기타] Violet W. Johnson / 2000 / The Effectiveness of a Collaborative-cooperative Approach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The University of Georgia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 46. [인터넷자료] / 네이버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