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시지각 능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erceptual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특수아동교육연구
약어 : -
2007 vol.9, no.4, pp.295 - 309
DOI : 10.21075/kacsn.2007.9.4.295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특수아동학회
283 회 열람

본 연구는 시지각 능력과 학업성취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1개 초등학교 3-6학년 아동 81명이었다. Gardner의 시지각 기능 검사(TVPS-R)를 검사도구로 사용하였고, 시지각 기능 검사의 총점, 각 하위 영역(시각변별, 시각기억, 공간관계, 형태항상성, 순차기억, 도형배경, 시각통합) 점수와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점수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년과 과목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시지각 능력과 학업성취도가 유의한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학업성취도와 시지각 능력의 관련성이 낮아지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6학년의 경우 순차기억 영역 점수가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부진이나 학습장애 아동을 교육하거나 치료할 때 이들에게 시지각 문제가 있는지 점검하고, 시지각 문제가 있을 경우 이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erceptual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study administered the TVPS-R tests to 81 children between 3 grade and 6 grade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As a test instrument, TVPS-R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were used. Based on the test results,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VPS-R score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score. Correlation between TVPS-R subtest score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score was significant in Language,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Visual perceptual skills are related to the academic achievement.

시지각, 시지각 기능 검사(TVPS-R), 학업성취도
Visual perceptual skills, Test of Visual Perceptual Skills-Revised (TVPS-R), Academic achievement

  • 1. [단행본] 강수균 / 2004 / 감각․운동․지각훈련 / 대구대학교출판부
  • 2. [학술지] 김민경 / 1995 / 벤더-게스탈트 검사에 대한 한국 아동의 발달적 규준 및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예비 연구 / 한국임상심리학회지 : 임상 / 14 (1) : 149 ~ 1
  • 3. [학술지] 김태련 / 1995 / 한국아동의 VMI-3R 발달검사 규준에 관한 예비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 8 (1) : 12 ~ 1
  • 4. [학술지] 김태련 / 1996 / 한국아동의 VMI-3R 발달검사 규준에 관한 예비연구 Ⅱ /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 9 (2) : 20 ~ 2
  • 5. [학술지] 신종호 / 2002 / 학습장애아동 조기 선별을 위한 인지판단 그림검사의 타당도 연구 / 교육학연구 / 40 (1) : 7 ~ 1 kci
  • 6. [학술지] 이경숙 / 2004 / 일반아동의 DTVP-2와 MVPT-R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12 (1) : 43 ~ 1
  • 7. [보고서] 이나미 / 1990 / 학습장애아의 특성분석과 진단도구개발
  • 8. [학위논문] 이윤정 / 1989 / 시각-운동통합능력 검사의 타당도 연구
  • 9. [단행본] Gardner, M. F. / 1996 / Test of visual-perceptual skills-revised / Academic Therapy Publications
  • 10. [학술지] Goldstein, D. J. / 1994 / Visual-motor coordination and intelligence as predictors of reading, mathematics, and written language ability / Perceptual and Motor Skills / 78 : 819 ~
  • 11. [학술지] Hung, S. S. / 1987 / The performance of learning-disabled and normal young men on the test of visual perceptual skills /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 41 (12) : 790 ~ 12
  • 12. [학술지] Kavale, K. / 1982 /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erceptual skills and reading achievement /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 15 (1) : 42 ~ 1
  • 13. [단행본] Kephart, N. C. / 1971 / The slow learner in the classroom / Charles E. Merrill Books
  • 14. [단행본] Kirk, S. A. / 1996 / 학습장애아 교육 / 형설출판사
  • 15. [학술지] Larsen, S. C. / 1975 / The relationship of selected visual-perceptual abilities to school learning /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9 (3) : 281 ~ 3
  • 16. [단행본] McWhirter, J. J. / 1988 / The learning disabled child : A school and family concern / University Press of America
  • 17. [단행본] Schneck, C. M. / 2001 / Visual perception, In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 Mosby : 382 ~
  • 18. [학술지] Watson, C. S. / 2003 / Sensory, Cognitive, and Linguistic Factors in the Early Academic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Benton-IU Project /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 36 (2) : 165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