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특수교육연구에 있어 베이지안 통계 분석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Bayesian Statistics for Research about Special Education

특수아동교육연구
약어 : -
2009 vol.11, no.3, pp.341 - 356
DOI : 10.21075/kacsn.2009.11.3.341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특수아동학회
134 회 열람

본 연구는 특수교육연구에 있어서 베이지안 통계 분석법의 적용가능성을 이론적으로 탐색한 것이다. 베이지안 통계 분석법은 빈도함수론에 기반한 전통적인 통계기법의 대안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데, 전통적인 통계기법의 논리적 기반이 되는 객관적 확률 이론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주관적 확률 이론에 그 논리적 기초를 형성하고 있다. 베이지안 추론의 기본구조는 일반적으로 모수의 사전분포 결정, 데이터 확률모형과 사전분포를 이용한 사후분포의 계산, 사후분포를 이용한 모수의 추론의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후분포는 사전분포와 우도의 곱에 비례한다고 본다. 이런 베이지안 추론은 해석의 용이성, 우도원리의 적용, 지속적인 학습데이터 생성, 소표본 활용가능성 등의 측면에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베이지안 통계분석법은 특수교육연구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영과잉 자료, 중도절단자료, 소표본 자료 연구에 있어 방법론적 우월성을 가지고 있고, 빈도함수론과 함께 보다 효과적인 다변량 통계분석법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장애적격성 판정에 활용할 수 있는 양성예측도 추론에 용이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bayesian statistics in the research of special education. Recently, bayesian methods had been most widely used for the analysis of complicated statistical models because rapid development of stochastic integration methodology. Bayesian statistics, which be based on the subjective probability theory, allowed us to analyze how the newly obtained data revise the decision makers previous belief and could be considered a statistical methods for analyzing, especially, censored data and zero-inflated data. Though bayesian method had a few disadvantage, it could be used to in actual research of special education.

베이지안 통계 분석법, 특수교육, 연구방법론
Bayesian Statistics, Research Method, Special Education

  • 1. [단행본] 김달호 / 2005 / R과 WinBUGS를 이용한 베이지안 통계학 / 자유아카데미
  • 2. [학술지] 김용대 / 2001 / 베이지안 통계학의 과거, 현재, 미래 / 한국통계학회 논문집 / 8 : 47 ~
  • 3. [학위논문] 김정훈 / 1992 / 사후확률 형성 방법의 고찰을 통한 수정 베이지안 접근법의 구상
  • 4. [단행본] 김종호 / 1987 / 마르코프 체인 / 동국대학교 출판부
  • 5. [학술지] 나종화 / 2002 / 베이지안 비선형회귀모형의 선택과 진단 / 응용통계연구 / 15 (1) : 139 ~ 1 kci
  • 6. [학술지] 박래현 / 1994 / 중도 절단 자료에서의 역추정 문제 / 응용통계연구 / 7 (1) : 1 ~ 1
  • 7. [학술지] 이인석 / 1994 / 비모수적 베이지안 추정량을 이용한 생존함수의 추정 / Journal of Statistial Theory & Methods / 5 : 29 ~
  • 8. [학위논문] 이희주 / 2004 / 계층적 영과잉 자료의 평균과 신뢰구간에 대한 계층적 베이지안 추론
  • 9. [학술지] 장학진 / 2008 / 영과잉 회귀모형에 대한 베이지안 분석 / 응용통계연구 / 21 (4) : 603 ~ 4 kci
  • 10. [단행본] 장인식 / 2001 / 베이즈 추론 / 고려대학교 출판부
  • 11. [학술지] 정호용 / 1991 / 연구방법론으로서 확률/통계학의 의의와 과제 / 논문집 / 16
  • 12. [단행본] Berger, J. O / 1985 / Statistical Decision Theory and Bayesian Analysis / Statistical Decision Theory and Bayesian Analysis, 2nd edition
  • 13. [단행본] Folks, J. L / 1981 / Ideas of Statistics / John wiley & Sons
  • 14. [단행본] Hacking, I / 1986 / The Emergence of Probability-A Philosophical Study of Early Ideas About Probability, Induction and Statistical Inferenc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5. [단행본] Gelman, A / 2003 / Bayesian Data Analysis, 2nd edition / Chapman & Hall
  • 16. [단행본] Gill,J / 2002 / Bayesian Methods: 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Approach / Chapman & Hall
  • 17. [단행본] Kvanli, A. H / 1982 / Deriving a Confidence Interval with Highly Skewed Data, Proceedings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Decision Science / American Institute for Decision Sciences
  • 18. [학술지] Kvanli, A. H / 1998 / Construction of Confidence Intervals for the Mean of a Population Containing Many Zero Values /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Journal of Business & Econometric Statistics / 16 (3) : 362 ~ 3
  • 19. [학술지] Lindley, D. V / 1976 / Inference for Bernoulli process / American Statistics / 30 : 112 ~
  • 20. [기타] Peter, M. L / 1988 / Bayesian statistics: An Introduction
  • 21. [단행본] Popper, K / 1959 / 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 Harper & Row
  • 22. [학술지] Wanzhu, T / 2002 / Zero-inflated data / Encyclopedia of Environmetrics / 4 : 23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