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전환요구평가의 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여 장애청소년의 전환계획을 위한 전환평가도구 개발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전환요구평가도구 4가지 (Transition Behavior Scale-2, Enderle-Severson Transition Rating Scale-Revised, LCCE Performance and Knowledge Battery, 그리고 Transition Planning Inventory-2-Revision)를 분석하고 이 도구들로부터 총 63개의 문항을 추출하여 내용타당도 검증과 문항제시/표현 방식 및 문항의 내용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해 문항의 타당도가 낮게 나타난 10개의 문항을 삭제하고 3개의 문항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새롭게 구성된 평가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타 문항과의 중복성을 이유로 두 개의 문항이 삭제되었으며, 나머지 문항의 경우 .80이상의 높은 타당도를 보여 해당 문항들이 장애청소년의 전환요구를 진단하기에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전환요구평가도구의 표준화 과정의 전 단계로서 검사문항들의 내용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으며,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연구 및 실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키워드

전환평가, 종합적 전환계획, 내용타당도

참고문헌(23)open

  1. [학술지] 배성직 / 2004 / 우리나라 전환교육 평가 연구들의 경향과 과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5 (3) : 265 ~ 284

  2. [단행본] 성태제 / 2002 / 타당도와 신뢰도 / 학지사

  3. [학술지] 조인수 / 2001 /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및 전환교육의 운영실태와 개선방향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2 (1) : 111 ~ 145

  4. [학술지] 조인수 / 2002 / 성과중심 전환교육의 지원고용 프로그램 관리와 평가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3 (1) : 83 ~ 106

  5. [단행본] Brolin, D. A / 2004 / Life-centered career education performance and knowledge battery /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6. [인터넷자료] Cameto, R. / Transition plan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special topic report of findings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Transition Study-2 (NLTS2)

  7. [단행본] Clark, G. M / 2007 / Assessment for transition planning (2nd ed.) / PRO-ED

  8. [단행본] Clark, G. M. / Transition Planning Inventory-2-Revision / PRO-ED

  9. [단행본] Clark, G. M. / 2000 / Informal assessments for transition planning / PRO-ED

  10. [단행본] Enderle, J. / 2003 / Enderle-Severson transition rating scale / ESTR Publications

  11. [학술지] Fehring, R. J / 1987 / Methods to validate nursing diagnoses / Heart and Lung 16 (6) : 625 ~ 629

  12. [학술지] Kortering, L. / 2008 / Age appropriate transition assessment: A look at what students say / Journal of At Risk Youth 17 : 27 ~ 35

  13. [학술지] Mazzoti, V. L. / 2009 / Linking transition assessment and postsecondary goals: Key elements in the secondary transition planning process /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42 (2) : 44 ~ 51

  14. [단행본] McCarney, S. B. / 2000 / Transition behavior scale (2nd ed.) / Hawthorne Educational Services

  15. [학술지] Neubert, D. A / 2003 / The role of assessment in the transition to adult life proces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Exceptionality 11 (2) : 63 ~ 75

  16. [단행본] Rowe, D. A. / Transition Assessment for Instruction, In Evidence-base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ransition /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 14 ~ 16

  17. [학술지] Sitlington, P. / 2007 / The transition assessment process and IDEIA 2004 / Assessment for Effective Intervention 32 : 133 ~ 142

  18. [단행본] Sitlington, P. L / 2007 / Assess for success: A practitioner’s handbook on transition assessment (2nd ed.) / Corwin Press

  19. [학술지] Sitlington, P. / 2004 / Information needed by postsecondary education: Can we provide it as part of the transition assessment process / Learning Disabilities: A Contemporary Journal 2 (2) : 1 ~ 14

  20. [학술지] Sparks, S. / 1994 / Modification of the diagnostic content validity model / Nursing Diagnosis 5 : 31 ~ 35

  21. [단행본] Test, D. W / 2006 / Transition methods for youth with disabilities /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22. [단행본] Turnbull, H. R., III / 2007 / Free appropriate public education: The law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7th ed.) / Love Publishing Company

  23. [단행본] Wehman, P / 2011 / Transition: An Overview and Background, In Essentials of transition planning /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 2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