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예비 초등특수교사의 수감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Number Sense of Pre-Servic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특수아동교육연구
약어 : -
2015 vol.17, no.4, pp.273 - 295
DOI : 10.21075/kacsn.2015.17.4.273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특수아동학회
213 회 열람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 초등특수교사의 수감각 능력과 수감각 전략사용 수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4개시 소재 대학 초등특수교육 전공 1학년∼4학년 학생 127명을 대상으로 수감각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 및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초등특수교사의 수감각 능력은 수학관련 과목 수강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둘째, 예비 초등특수교사의 수감각 전략사용 수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규칙 기반 전략을 사용하는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감각 요소에 따라 살펴보았을 때에도, 규칙 기반 전략의 사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수학 성취수준에 따른 전략 사용의 빈도를 살펴본 결과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모두 규칙 기반 전략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예비 초등특수교사의 수감각 교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교사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논의하였다.

※ 교신저자 : Kim, Ja-Kyoung(jakyoung@pusan.ac.k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number sense level and the use of number sense strategies by pre-servic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 analyzed number sense tests for 127 university students from grades 1 to 4 studying at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in the four regions. We conducted independent-sample t-test and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18.0 statistics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in the number sense level of pre-servic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whether they took math-related classes. Second, when solution methods for all items were analyzed, it was also found that pre-servic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eferred using rule based methods the most. When solution methods for each number sense components were analyzed, they preferred using rule based methods the most. Third, when solution methods for students’ number sense achievement levels(high level, low level)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both groups preferred using rule based methods the most. We discussed about this results.

예비 초등특수교사, 수감각
pre-servic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number sense

  • 1. [단행본] Bender, W. N. / 2013 / Differentiating Math Instruction, K-8 / Corwin
  • 2. [학위논문] Borden, M. L. / 1993 / The preschool teacher's use of children's books to introduce and enhance the teaching of mathematical concepts
  • 3. [학술지] 최진성 / 2011 /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양식과 수학문장제 문제의 오류유형 및 관계분석 / 지적장애연구 / 13 (2) : 201 ~ 2 kci
  • 4. [학술지] Even, R. / 1993 / Subject-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Prospective secondary teachers and the function concept /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 24 (2) : 94 ~ 2
  • 5. [학술지] Even, R. / 1995 / Subject-matter knowledge and knowledge about students as sources of teacher presentations of the subject-matter /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29 (1) : 1 ~ 1
  • 6. [학술지] Gersten, R. / 1999 / Number sense : Rethinking arithmetic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mathematical disabilities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33 (1) : 18 ~ 1
  • 7. [학술지] Hiebert, J. / 1999 /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 and the NCTM standards /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 30 : 3 ~
  • 8. [학술지] Howden, H. / 1989 / Teaching number sense / The Arithmetic Teacher / 36 (6) : 6 ~ 6
  • 9. [학술지] Jordan, N. C. / 2007 / The need for number sense / Educational Leadership / 65 (2) : 63 ~ 2
  • 10. [학술지] 정대영 / 2011 / 초등학교 수학학습장애아동과 수학학습부진아동의 수감각과 작업기억 비교 / 특수교육학연구 / 45 (4) : 71 ~ 4 kci
  • 11. [학술지] 강현영 / 2011 / 좋은 수학수업을 위해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교사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조사 / 학교수학 / 13 (4) : 633 ~ 4 kci
  • 12. [학술지] 강명희 / 2008 / 사고력 신장을 위한 초등수학 교과서 개발과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고찰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8 (2) : 1 ~ 2 kci
  • 13. [학술지] 강옥기 / 2007 / 예비 중등수학교사의 수학 및 수학교육에 관련한 신념 분석연구 / 수학교육학연구 / 17 (4) : 381 ~ 4 kci
  • 14. [학술지] Kamii, C. / 1993 / Primary Arithmetic : Children Inventing Their Own Procedures / Arithmetic Teacher / 41 (4) : 200 ~ 4
  • 15. [학술지] 김희선 / 2000 / 수감각 발달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초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 교과교육학연구 / 6 : 219 ~
  • 16. [학술지] 김영국 / 2002 / 수학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의 이상과 현실 / 학교수학 논문집 / 14 : 453 ~
  • 17. [학술지] 이대현 / 2013 /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신념 분석 / 학교수학 / 15 (1) : 201 ~ 1 kci
  • 18. [학술지] 이동환 / 2015 / 초등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수학적 과제 설계 : 기하 판 위의 정삼각형이 가능한가? / 수학교육학연구 / 25 (4) : 675 ~ 4 kci
  • 19. [단행본] 이경림 / 2008 / 시각장애학생 교육의 이해와 실제 / 서현사
  • 20. [학술지] 이미숙 / 2012 / 초등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사의 수학과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분석 / 특수아동교육연구 / 14 (2) : 311 ~ 2 kci
  • 21. [학술지] 이윤미 / 2008 / 수감각 발달을 위한 조기 수학 교수가 수학 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수개념과 연산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초등교육연구 / 21 (3) : 287 ~ 3 kci
  • 22. [학술지] Leutzinger, L. P. / 1999 / Developing thinking strategies for addition facts /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 6 (1) : 14 ~ 1
  • 23. [학술지] Markovits, Z. / 1994 / Developing number sense : An intervention study in grade 7 /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 25 (1) : 4 ~ 1
  • 24. [단행본] NCTM / 1989 /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 NCTM : 38 ~
  • 25. [학술지] 박효수 / 1999 / 청각장애아의 수학학습 특성과 지도방법 / 수학교육논문집 / 8 : 519 ~
  • 26. [학술지] 박경옥 / 2010 /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이 경험하는 수학과 지도의 어려움과 교사교육에 대한 인식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1) : 47 ~ 1 kci
  • 27. [학술지] Reys, B. J. / 1994 / Promoting number sense in middle grades / Teaching Mathematics in the Middle School / 1 (2) : 114 ~ 2
  • 28. [학술지] Reys, R. / 1999 / Assessing number sense of students in Australia, Sweden, Taiwan, and the United States /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 99 (2) : 61 ~ 2
  • 29. [학술지] Reys, R. E. / 1998 / Relationship between computational performance and number sense among sixth-and eighth-grade students in Taiwan /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 29 : 225 ~
  • 30. [학술지] Şengül, S. / 2012 / An investigation of 5th grade Turkish students’ performance in number sense on the topic of decimal numbers /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 46 : 2289 ~
  • 31. [학술지] Şengül, S. / 2012 / Evaluation of number sense on the subject of decimal numbers of the secondary stage students in Turkey / International Online Journal of Educational Sciences / 4 (2) : 296 ~ 2
  • 32. [학술지] Şengül, S. / 2013 / Identification of number sense strategies us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Educational Sciences : Theory & Practice / 13 (3) : 1965 ~ 3
  • 33. [학술지] 성승현 / 2008 / 수감각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효과 분석 / 수학교육 / 47 (1) : 61 ~ 1 kci
  • 34. [학술지] 선춘화 / 2005 /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수감각 실태 조사 / 수학교육 / 44 (4) : 595 ~ 4 kci
  • 35. [학술지] Swanson, H. L. / 2006 / Math disabilities : A selective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 76 (2) : 249 ~ 2
  • 36. [학술지] Tsao, Y. L. / 2004 / Exploring the connections among number sense, mental computation performance, and the written computation performance of elementary preservice school teachers / Journal of College Teaching & Learning / 1 (12) : 71 ~ 12
  • 37. [학술지] Tsao, Y. L. / 2005 / The number sense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College Student Journal / 39 (4) : 647 ~ 4
  • 38. [학술지] Yang, D. C. / 2003 / Teaching and learning number sense-an intervention study of fifth grade students in Tai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 1 (1) : 115 ~ 1
  • 39. [학술지] Yang, D. C. / 2005 / Number sense strategies used by 6th‐grade students in Taiwan / Educational Studies / 31 (3) : 317 ~ 3
  • 40. [학술지] Yang, D. C. / 2004 / A study of teaching and learning number sense for sixth grade students in Tai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 2 (3) : 407 ~ 3
  • 41. [학술지] Yang, D. C. / 2009 / Number sense strategies used by pre-service teachers in Tai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 7 (2) : 383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