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5%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9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워라밸 세대의 특성과 여가생활 현황, 그리고 이들의 여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직업의 안정성에 따라 여가가 워라밸 세대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차별적임을 보여주었고, 워라밸 세대, 소확행, 욜로, 코스파와 같은 용어의 등장에는 장기화된 경기불황과 높은 청년실업률이 부분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분석 결과, 워라밸 세대는 다른 세대보다 대체적으로 여가시간은 많고 경제활동 시간은 적으며, 교제활동, 문화 및 관광활동, 컴퓨터 및 모바일 게임활동에 많은 여가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워라밸 세대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 여가시간의 증가는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 하였으나, 이들을 상용직과 비상용직으로 재구분한 뒤 시행한 분석에서는 워라밸 세대 중 상용직인 집단에서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여가시간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오히려 비상용근로자일 경우 여가시간 보다는 소득, 교육수준과 같은 사회계층과 관련된 변수들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안정적인 직장과 소득이 있을 때는 여가시간의 증가가 행복감의 증진과 연계될 수 있으나 직업의 안정성이 떨어질 때는 여가경험보다는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추구함으로써 행복감을 향상시키고자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요즘 청년세대가 외치는 “현재를 즐기자”와 맥을 함께하는 여러 슬로건들이 불안정하고 척박한 이 시대를 살아가기 위한 그들만의 생존전략일 수 있다고 해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of leisure life of the Work-Life Balance generation (“WLB-generation”), as well as the effect of their leisure on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this study showed that the effect of leisur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WLB-generation wa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stability of occupation by using the data of 〈Time Use Survey 2014〉of Statistics Korea. At the same time, it argued that the emergence of terms such as the WLB-generation, Sohwakheng, Yolo, and Cospa was partially attributed to prolonged recession and high youth unemployment rat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WLB-generation was found to generally have more leisure time but less time for economic activities, while spending more leisure time in relational activities, cultural and tourism activities, and computer and mobile game activities than other generations. In addition, when the whole WLB-generation was analyzed, the increase in leisure tim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ut after dividing them into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and analyzing them, the positive effect of leisure time on satisfaction was found in a regular-worker group among the-WLB generation. Rather, in the case of non-regular workers, the variables related to social class such as income and education lev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rather than leisure time.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3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