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브랜딩을 위한 매장 경험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ore Experience Design Solution for Branding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약어 : JIDR
2012 vol.11, no.3, pp.133 - 147
DOI : 10.21195/jidr.2012.11.3.011
발행기관 :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64 회 열람

기업의 성공은 우수한 제품력뿐만 아니라 브랜드 전략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매장은 브랜드가 가지는 이미지와 소비자가 인식하는 브랜드 연상의 갭을 좁힐 수 있는 이상적 도구로 활용 될 수 있다. 따라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매장의 감각요소의 활용과 매력적 연출은 브랜드와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을 유도하여 이상적인 브랜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매장 경험디자인을 통한 브랜드이미지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로써 국내 브랜드의 매장 경험디자인 접근 방안을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소비자가 브랜드 공간을 체험함으로써 브랜드를 어떻게 해석하고 어떤 요소가 그들의 구매에 매력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소비자 감성과 매장 디자인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기업은 제품의 질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 매장을 하나의 배경으로 인식하고 있는 실정이었으며, 시각적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브랜드를 표현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해외 기업의 매장 경험은 유무형적 디자인 요소와 브랜드의 개성이 결합되어 긍정적인 브랜드 연상요인으로 작용되었다. 설문을 통한 매장 경험디자인의 분석결과 소비자가 인지하는 국내 브랜드 제품에 대한 연상은 아직은 매장 환경의 연출에 상관없이 긍정적인 매장 경험 평가를 내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우수한 제품의 질이 잘 드러나게 진열하는 것뿐만 아니라 최종 구매 행위를 이루는 장소인 매장에서 무형적 요소들도 함께 고민하여 각자 브랜드만의 고유한 개성을 공간에 구현한다면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연상을 관리하여 장기적으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잘 고안된 브랜드의 매장 경험은 소비자의 체험 속에 브랜드가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하여 매력적 공간의 체험을 제공 할 뿐 만 아니라 새로운 브랜드 가치를 창출하게 한다.

Brand store is the ultimate place for branding and it gives companies a chance to change the views of the buyers. How successful a business enterprise is depends not only on the product but also on strategic design. The store is a place for brands and the way these are presented to the consumer can have an impact on their decision of what to purchase because it narrows down their association of ideas. From this perspective, the design of a store's user experience is a way of creating a mix between the brand itself and the consumer. The research of the content below is about the experience a store has in designing strategies when creating an image. This then proceeds to suggest the revitalization of domestic brands. For the research, information about the interrelation of when consumer experiences a brand was analyzed. This included how people interpret different brands and which elements affect their chances of buying a product. A customer's emotion towards a store's design was also analyzed. The results gave information about topics such as : the quality of research materials to how the quality of research materials relates to how a brand experience is created, and the scale of effect a store’s design has on brand emotional identity. The case study result is about how to get a consumer to experience a brand's element. It delivers an image of the brand and can potentially affect a customer's style of behavior. This in turn can potentially revitalize a domestic brand.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value of domestic brands will improve and become a pivotal figure in successful business.

경험디자인,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연상
Brand Association, Experience Design, Brand Image

  • 1. [단행본] 김선아 / 2009 / 디자이너의 디자인경영 / 비쥬얼스토리공장 출판부
  • 2. [학술지] 김선영 / 2008 / 브랜드스케이프 환경 구축과 스토어 디자인 콘텐츠 / 기초조형학연구 / 9 (3) : 25 ~ 3 kci
  • 3. [단행본] 김영한 / 2009 / 고객경험관리 / ㈜밀리언하우스
  • 4. [학술지] 김이석 / 2011 / 브랜드 경험을 구성하는 디자인 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9 (2) : 263 ~ 2 kci
  • 5. [단행본] 데이비드 아커 / 2003 / 데이비드 아커의 브랜드경영 / 비즈니스북스
  • 6. [단행본] 매튜 힐리 / 2009 / 무엇이 브랜딩인가 / 고려닷컴
  • 7. [단행본] 번트 H 슈미트 / 2002 / 체험마케팅 / 세종서적
  • 8. [단행본] 번트 H. 슈미트 / 2004 / CRM을 넘어 CEM으로 / 한언
  • 9. [기타] / 유니타스브랜드. Unitas BRAND, 1(13)
  • 10. [기타] 이민재 / 2010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 11. [단행본] 전헌 / 2006 / 일주일 만에 끝내는 브랜드 전략 / 이콘
  • 12. [학위논문] 최현서 / 2009 /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공간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13. [단행본] 표현명 / 2008 / 서비스 디자인 시대 / 안그라픽스
  • 14. [단행본] 황선창 / 2010 / 美, 코스트코에서 배우는 선택과집중 전략 / Kotra
  • 15. [단행본] 홍성용 / 2007 / 스페이스 마케팅 / 삼성경제연구소
  • 16. [학위논문] 홍성진 / 2009 / 브랜드 연상관리를 위한 브랜드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 17. [단행본] Aaker / 1996 / Building Strong Brand / Free Press
  • 18. [단행본] Marc Gobe / 2003 / 감성디자인 감성브랜딩 / 김앤김 북스
  • 19. [인터넷자료] / 삼성디지털프라자
  • 20. [인터넷자료] / 코데즈컴바인
  • 21. [인터넷자료] / 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