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Repertory Grid Technique을 활용한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의 사용자 중심 사용성 평가 항목 개발

Development of User-Centered Items for Evaluating the Usability of Smartphone Navigation App Based on Repertory Grid Technique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약어 : JIDR
2016 vol.15, no.1, pp.9 - 20
DOI : 10.21195/jidr.2016.15.1.001
발행기관 :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43 회 열람

연구배경 최근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함께 차량용 내비게이션보다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앱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앱의 사용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수준에 그치고 있고 그나마 대부분 디자이너의 입장만을 반영하고 있어 사용자 중심의 사용성 평가를 필요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Repertory Grid Technique(RGT)을 활용하여 내비게이션 앱의 사용자 중심 사용성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RGT를 사용하여 도출한 101개의 사용자 인지구조를 중복제거와 유사의미의 통합을 통해 35개의 인지구조로 도출하였다. 도출한 인지구조를 설계원칙에 따라 조직화하여 기존 연구에서 개발된 내비게이션 사용성 평가항목과 비교한 결과 RGT를 활용한 방법은 기능적 측면, 감성적 측면 및 사용맥락에 관련하여 차별화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도출된 인지구조를 직무단계 및 디자인영역 관점에서 조직화해서 다각적인 사용성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결론 내비게이션 앱의 사용자 중심의 분석적인 사용성 평가를 지원할 수 있도록 RGT기법을 활용해 사용성 평가 항목을 도출하였고 이를 세 가지 관점에서 조직화하였다. 이렇게 세 가지 관점에서 다르게 조직화된 평가항목은 평가목적, 평가초점 등에 따라서 유연하게 종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Background As a smart phone has become an essential device for everyday lives, people tend to use a smartphone navigation app more frequently than a car navigation system. Thus, the usability of a navigation app is increasingly important.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how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a navigation app systematically. As is in other IT devices, heuristic-based analytic evaluation can be a favourable approach to designers of a navigation app. Although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velop a set of heuristics for evaluating the usability of a navigation app, those heuristics have not been identified from a point of view of users. It can therefore be said that they are insufficient to conduct a user-centered evaluation for a navigation app. Method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et of user-centered evaluation criteria reflecting users’ subjectiveopinions and feelings about the usability of a navigation app, by using Repertory Grid Technique (RGT) that is a method for eliciting personal constructs. Result We identified 101 users’ cognitive constructs and then classified them into 35 cognitive constructs. Each of the 35 cognitive constructs identified can be used as an evaluation criterion for evaluating the usability of a navigation app. In comparison with other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those 35 cognitive constructs reflect more aspects of functionalities, aesthetics and contexts of use of a navigation app. In order to helpusability practitioners use those 35 cognitive constructs, this study categorized and organized them from three perspectives: design principles, interface design areas, and task steps for using a navigation app. Conclusion The three differently organized sets of the same 35 cognitive constructs can be flexibly and collectively used, depending on evaluation purposes, evaluators’ focuses, etc.

내비게이션, 사용성, Repertory Grid Technique, 사용성 평가, 사용자중심설계
Navigation, Usability, Repertory Grid Technique, Usability Evaluation, User-Centered Design

  • 1. [단행본] 김진우 / 2012 / Human-Computer Interaction 개론 / 안그라픽스
  • 2. [학술지] 박일권 / 2014 /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앱의 주행사용 중 User Interface 조작요소의 사용성 평가 / 기초조형학연구 / 15 (2) : 217 ~ 2 kci
  • 3. [학술지] 성주은 / 2009 / 네비게이션 GUI 디자인에 있어서 POI정보의 효율적 전달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연구 / 22 (3) : 177 ~ 3 kci
  • 4. [학술지] 이지혜 / 2015 / 카노모델(Kano Model)을 활용한 사용자 중심의 내비게이션 기능 요구사항 분석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14 (3) : 9 ~ 3 kci
  • 5. [단행본] 정병용 / 2012 / 디자인과 인간공학 / 민영사
  • 6. [학위논문] 정예슬 / 2013 / AHP 기법을 이용한 모바일 내비게이션의 사용성 평가 척도에 관한 연구
  • 7. [학술지] Crudge, S. E / 2007 / Using the repertory grid and laddering technique to determine the user’s evaluative model of search engines / Journal of Documentation / 63 (2)
  • 8. [학술지] Curtis, A. M / 2008 / An overview and tutorial of the repertory grid technique i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 23 (3)
  • 9. [단행본] Dunn, W. N. / 1986 / Policy Analysis: Perspectives, Concepts, and Methods / JAI Press
  • 10. [학술지] Fallman, D / 2010 / Capturing user experiences of mobile information technology with the repertory grid technique / Human Technology / 6 (2)
  • 11. [단행본] Fransella, F / 2003 / A Manual for Repertory Grid Technique / Wiley
  • 12. [보고서] Green, P / 1993 / Measure and methods used to assess the safety and usability of driver information systems
  • 13. [학술지] Hassenzahl, M / 2000 / Capturing design space from a user perspective: the repertory grid technique revisited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 12 (3&4)
  • 14. [학술지] Heo, J / 2009 / A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usability of mobile phones based on multi-level, hierarchical model of usability factors / Interacting with Computers / 21 (4)
  • 15. [학술지] Pike, S / 2003 / The use of repertory grid analysis to elicit salient short break holiday attributes / Journal of Travel Research / 42 (3)
  • 16. [단행본] Rogers, Y. / 2011 / Interaction Design / Wiley
  • 17. [학술지] Tan, F. B. / 2002 / The repertory grid technique: a method for the study of cognition in information systems / MIS Quarterly / 26 (1)
  • 18. [인터넷자료] / 교통안전정보관리시스템
  • 19. [인터넷자료] / 안전운전 1:교통법규위반-많이 하는 위반 1위는 ‘휴대폰사용’ / 오토인사이트
  • 20. [인터넷자료] / 퇴출 위기에 몰리는차량용 내비게이션 / 컨슈머인사이트
  • 21. [인터넷자료] 케이티에이엠지 / 네비게이션어플비교
  • 22. [인터넷자료] Zhang, Z. / Overview of usability evaluation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