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배경: 최근 스마트 모바일 기술의 등장으로 기존 PC나 별도의 하드웨어에서만 구현이 가능했던 장애인용 소프트웨어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개발되어지면서 장애인들의 스마트 모바일 접근성을 한층 높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스마트 모바일 기기 기반의 AAC 디자인 연구들은 많지 않은 상태이며, 기존의 디자인 연구들은 인터페이스(interface) 디자인 요소만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인터페이스적 디자인 관점에서의 기존 AAC 기기 연구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해 사용자와 AAC 기기의 다양한 인터랙션 방식을 네 가지 관점으로 분류하여 그 개념을 정리하였다. 또한 각 분류를 중심으로 하여 실제 AAC 기기 사례들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AAC 인터랙션 방식에 대한 분류 프레임워크를 제안함으로써 앞으로의 AAC 인터랙션 디자인 발전방향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한 AAC의 개념 이해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AAC의 인터랙션 방식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짚어본다. 둘째,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AAC 기기의 다양한 인터랙션 방식을 분류하기 위해 네 가지 인터랙션 관점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인터랙션관점을 바탕으로 각 관점이 강조된 AAC 중점 사례를 선정하여 AAC의 네 가지 인터랙션 방식을 좀 더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앞으로의 AAC 인터랙션 디자인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한 AAC의 인터랙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뷰캐넌이 제시한 인터랙션 프레임워크에 AAC를 대입하고, AAC에 대한 인터랙션 관점을 라이트가 제시한 상호작용 목적을 바탕으로 재정립하여 AAC에 대한 네 가지 인터랙션 관점을 요구, 표현, 경험, 반영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네 가지 인터랙션 관점을 통해 기존의 AAC 사례들을 분석해 본 결과 AAC는 하나 혹은 두 가지의 인터랙션에 집중하는 경향성을 알 수 있었고 대부분의 AAC가 인터랙션의 요구적 관점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결론: 앞으로 AAC의 발전방향은 인터랙션의 요구적 관점뿐만 아니라 다양한 관점의 인터랙션을 고려하여 사용자들의 목적과 상황에 맞는 소통을 할 수 있도록 발전해 나가야한다.

키워드

스마트 모바일 기기, 보완대체 의사소통, 인터랙션 디자인

참고문헌(18)open

  1. [학술지] 강성중 / 2005 / 공간에서의 인터랙션 디자인 개념 적용에 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4 (3) : 234 ~ 241

  2. [학술지] 강우정 / 2011 / 국내 보완·대체의사소통 연구 동향 분석: 1994년부터 2011년까지 / 자폐성장애연구 11 (3) : 131 ~ 161

  3. [학술지] 박동규 / 2013 / 보완대체 의사소통도구를 위한 상황인식 모바일 시스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17 (7) : 1740 ~ 1746

  4. [학술지] 백경란 / 2016 / 상황중심 보완대체 의사소통 앱 사용이 중도․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9 (1) : 155 ~ 182

  5. [학술지] 윤형준 / 2015 / AAC와 Kakao Talk의 연동을 통한 모바일 메신저 활용 /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3 (2)

  6. [학술대회] 이지호 / 2013 / 한국형 AAC 마이토키의안드로이드 UI 설계 /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2013 (1)

  7. [학술지] 이희연 / 2012 / 태블릿 PC 기반 한국형 하이테크 AAC 소프트웨어의 사용성 평가 / 한국HCI학회 논문지 7 (2) : 35 ~ 42

  8. [단행본] 오병근 / 2008 / 정보 디자인 교과서 / 안그라픽스

  9. [학술지] 전가일 / 2014 / 장애 영유아용 스마트 디바이스 AAC 앱 사용경험을 통한 AAC 사용의 어려움과 그 의미에 관한 초점집단(F.G.I.) 사례 연구 / 아동교육 23 (3) : 81 ~ 103

  10. [인터넷자료] 정봉근 / 눈에 띄는 장애인용 스마트모바일 IT 기술

  11. [학술지] 최정은 / 2015 / 그림 상징체계에 대한 유아들의 도상성 인식 조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8 (4) : 217 ~ 247

  12. [단행본] Beukelman, D. / 2013 / 보완대체의사소통 / 학지사

  13. [단행본] Garrett, J. / 2008 / 사용자 경험의 요소 / 인사이트

  14. [단행본] Goffman, E. / 1979 / Facial Engagements / Harper&Row

  15. [단행본] Dewey, J. / 2003 / 경험으로서의 예술 / 책세상

  16. [학술지] Light, J. / 1988 / Interaction involving individuals us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s : State of the art future directions /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4 (2)

  17. [보고서] Light, J. / 2010 / Improving the Design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Technologies for Young Children

  18. [학술지] Mccord, M. / 2004 / Perceptions of AAC: an ethnographic investigation of Mexican-American Families /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2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