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스마트폰 앱의 스플래시 화면에 나타난 브랜드 경험디자인의 활용성 분석

Analysis on the Usability of Brand Experience Design in Splash Screen of the Smart Phone APP

한국디자인포럼
약어 : -
2018 vol.23, no.2, pp.37 - 48
DOI : 10.21326/ksdt.2018.23.2.004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146 회 열람

연구배경 디지털 모바일 환경에서의 브랜드 경험은 기존 제품 구매 또는 서비스 경험에서 스마트 미디어를 통한 브랜드 경험으로 경험적 요소의 영역을 넓히고 있다. 스마트 앱은 현재 어떠한 도구보다 브랜드 경험의 접촉점으로 활발히 활용되고 있으며 브랜드 가치를 확장하고 소비자와의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기업들은 브랜드 노출 빈도가 높은 스마트 미디어를 통해 소비자에게 새로운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브랜드는 규격화되어 있는 스마트 미디어 앱 시장에서 브랜드 이미지를 극대화할 수단으로 스플래시 스크린(Splash Screen)을 브랜드 경험의 접점으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시대에 도래한 현재의 브랜드 경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스플래시 화면에 활용되는 브랜드 경험디자인의 효과적인 방향성과 총체적인 활용성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브랜드 디자인의 개념과 분석 모듈을 문헌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스플래시 스크린에 나타난 브랜드 경험 디자인의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브랜드 경험의 전략적 모듈에 근거하여 브랜드 경험 디자인의 활용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플래시 화면에서 인지적 경험 유형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미학적 요소가 큰 모션 그래픽을 활용한 감각적 경험의 특징이 다른 경험 유형에 많이 결합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스플래시 스크린을 이용한 브랜드 경험디자인의 활용은 이미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인지적 경험 이외의 다른 경험적 요소들을 적절하게 융합하여 새로운 브랜드 경험디자인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브랜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In digital and mobile environments of brand experience has grown from its original product purchase or service experience to a more varied experience through smart devices. Smart apps are being used ad a brand experience of touchpoints. They are actively used more than any other tools for brand experience and serve as a channels to connect with the consumers. Corporations are providing new brand experience to consumers through highly accessible smart media. The brands are using splash screen as a means of brand experience in order to maximize the brand image in a standardized smart media app market. This research recognizes the necessity of working on the current brand experience in the mobile era and The purpose is to present the effective orientation and overall usability of the brand experience design that is used for splash screens. Methods This research focuses on literature research about the concept of brand design and analysis modules of brand experience as well as an analyses on the usability of brand experience designs based on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according to case studies in splash screens. Result Results have shown that the think experience was being used most in the splash screens, and also that sense experience with motion graphics, which mostly consists of aesthetic elements, appeared in combination with other experience categories. Conclusion Conclusively, the use of splash screens for brand experience designs will be able to merge appropriately with other elements of experience, other than think experience, to provide a new brand experience design for consumers and develop the competitiveness of the brand itself.

스플래시 화면, 스마트폰 앱, 브랜드 경험디자인
Splash Screen, Smart Phone APP, Brand Experience Design

  • 1. [단행본] 권민 / 2013 / Brand eXperience 브랜드 경험 / Unitas Brand
  • 2. [학위논문] 권선희 / 2012 / 전략적 체험모듈을 적용한 복합금융공간 디자인 연구 : 현대카드 금융공간 브랜드 강화를 중심으로
  • 3. [학위논문] 권승경 / 2014 / 브랜드 트랜스-액션을 통한 미디어 경험 확장과 관계적 효용성 연구
  • 4. [단행본] 김우성 / 2012 / 브랜드와 고객체험 / 이담북스
  • 5. [학술지] 김찬숙 / 2014 / 브랜드 경험(BX)에 대한 개념적 고찰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12 (3) : 121 ~ 3 kci
  • 6. [단행본] 손일권 / 2003 / 브랜드 아이덴티티 / 경영정신
  • 7. [학위논문] 이하나 / 2013 / 스마트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의 전략적 체험모듈(SEMs)적용 효과 연구 : 브랜드앱의 사용성을 중심으로
  • 8. [학위논문] 정혜숙 / 2015 / 디지털 환경변화에 따른 브랜드경험디자인의 확장성 연구
  • 9. [학위논문] 조진희 / 2006 / 영화 오프닝 타이틀 디자인의 시퀀스 애니메이션에 관한 연구
  • 10. [학위논문] 하은경 / 2010 /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공간체험의 몰입구조에 관한 연구
  • 11. [단행본] Schmitt, B.H. / 1999 / Experiential Marketing / 세종서적
  • 12. [단행본] Schmitt, B.H. / 2007 / 번 슈미트의 미학적 마케팅 : 브랜드 아이덴티티, 이미지의 전략적 관리 / 김앤김북스
  • 13. [인터넷자료] Campus Job&joy / 야놀자·여기어때‘숙박앱 시장 놓고 혈투’
  • 14. [인터넷자료] NAVER / Splash Screen
  • 15. [인터넷자료] thebell / '이용자수 1위' SK플래닛, 올해 적자 줄인다
  • 16. [인터넷자료] ZDnet / '4천만명 돌파' 스마트폰 이용자, 얼마나 더 늘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