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강원지역의 효제문자도를 활용한 패턴디자인 개발

A Study on Pattern Design Development using Hyojae Munjado of Gangwon-do

한국디자인포럼
약어 : -
2018 vol.23, no.4, pp.183 - 196
DOI : 10.21326/ksdt.2018.23.4.016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118 회 열람

연구배경 본 연구는 잊혀져가는 강원지역의 효제문자도를 모티브로 현대적인 패턴디자인으로 개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효제문자도에는 유교사상의 바탕이 되는 삶의 덕목과 교육지침이 담겨있다. 현재 대한민국은 인문학의 활성화를 통하여 현대인들의 삶의 가치에 대한 자양분을 채워주려 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인들에게 윤리의식을 고취시키고 우리 선조들이 향유하였던 아름다운 문화를 재인식 시킬 수 있는 효제문자도의 발굴은 인문학의 부재로 인한 폐단을 극복하려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시대적 상황과도 일맥상통 한다. 연구방법 첫째, 효제문자도의 배경 및 강원효제문자도 중 가장 대표적인 작가로 황승규를 선정하고 문자를 활용한 패턴디자인과 패턴디자인의 응용사례를 연구한다. 둘째, 8글자의 효제문자도에 표현된 글자원형과 상징적 이미지를 모티브로 설정한다. 셋째, 분석된 이미지를 해체 조합하여 텍스타일 기본 전개방식으로 기초 패턴디자인 을 한다. 넷째, 완성된 디자인을 다양한 패션소품에 적용한다. 연구결과 강원의 효제문자도 특유의 산악숭배사상에 근간을 둔 주술적 상징성이 돋보인 석강 황승규의 작품을 선정하여 그의 작품을 모티브로 이미지를 분석하고 해체, 조합하여 다양한 패턴디자인으로 도출해 냈다. 개발된 패턴디자인은 문화관광제품에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텍스타일 디자인 상품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효,제,충,신,예,의,염,치 8글자 속에 소통과 정신적 균형의 의미를 담은 강원지역의 효제문자도를 모티브로 활용하여 시각적인 이미지와 상징적인 의미가 담긴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개발하였다. 잊혀져가는 역사문화원형을 활용한 새롭고 다양한 관광상품의 개발은 지역의 이미지 개선뿐만 아니라 우리의 전통문화를 보호 계승한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것이라 생각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modern pattern design with the motif of the forgotten character in the Gangwon area. The Hyojea Munjado was genre of life and education guidelines that form the basis of confucian thought. At present, the Republic of Korea is trying to fill the nourishment of the value of life of modern people through activation of humanities. Therefore, the excavation of Hyojae Munjado can inspire the ethics of modern people and re-recognize the beautiful culture that our ancestor enjoyed. This is in line with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re being carried out to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the absence of humanities. Methods First, we select Hwang Seung-gyu as the most representative artist among the backgrounds of Hyojae Munjado and Kangwon Hyojae Munjado, and study application examples of pattern design and pattern design using texts. Second, I set the motif of the letter driginaiiy and the symbolic image expressed in the 8 Hyojae Munjado. Third, the analyzed pattern is disassembled, and basic pattern design is done by textile basic development method. Fourth, the finished design is applied to various fashion accessories Result The works of Hwang Seung-gyu of Seokgang, which has a shamanistic symbolism based on the unique totemism cult idea, were selected. Use his work motif was analyzed, disassembled, and combined, resulting in various pattern designs. The pattern design is presented as a variety of textile design products that can be utilized in cultural tourism products. Conclusion This study was developed as a differentiated pattern design that contains visual image and symbolic meaning by using the character of Hyojae Munjado in Gangwon area as a motif. The 8 Munjado of Hyo, Jae, Chung, Shin, Ye, Ui, Yeom, Chi meaning of communication and mental balance is contained in. This is a new and diverse tourism product utilizing the forgotten historical culture prototype, so it is improve the image of the region but also to protect our culture.

효제문자도, 황승규, 패턴디자인
Hyojae Munjado, Hwang Seung-gyu, pattern design